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7.24
페이지
208쪽
상세 정보
시를 어렵게만 느꼈던 분들을 위한 특별한 안내서이다. "시는 잘 몰라서요…"라고 자신 없게 말해왔다면 김연덕, 강우근 두 시인의 다정한 안내와 함께 시 읽기의 즐거움을 느껴보자. 이 책은 시를 어떻게 읽어야 한다고 가르치지 않는다. 대신 ‘이해하지 않아도 좋아할 수 있다’고, ‘잘 몰라도 괜찮다’고 말해준다.
두 시인이 시를 처음 만났던 순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시는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어떤 시집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같은 독자들의 질문에 솔직하게 답한다. 또한 황인찬, 김리윤, 차도하, 문보영 등 지금 이 시대를 써내려가는 시인들의 작품과 함께, 각 시마다 해석이 아닌 감상을 끌어내는 질문을 제공한다. 정답 없는 시 읽기, 내 감정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 읽기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추천 게시물
이정빈
@jbjb0619
설국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미지
@meejy312v
오래된 책 읽기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아벨
@abell
데미안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31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독서 소모임] 책너울 신규 부원 모집
무료 · 5 /제한 없음
사유(남양주 다산동)
무료 · 1 /10명
엇음이랑 읽겟음
무료 · 185 /제한 없음
정모/행사 매일매일 독서하기
9월 9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 /10명
분당&판교 독서모임
무료 · 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8 /70명
정모/행사 하루 한 장면 챌린지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8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3-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1 /180명
상세정보
시를 어렵게만 느꼈던 분들을 위한 특별한 안내서이다. "시는 잘 몰라서요…"라고 자신 없게 말해왔다면 김연덕, 강우근 두 시인의 다정한 안내와 함께 시 읽기의 즐거움을 느껴보자. 이 책은 시를 어떻게 읽어야 한다고 가르치지 않는다. 대신 ‘이해하지 않아도 좋아할 수 있다’고, ‘잘 몰라도 괜찮다’고 말해준다.
두 시인이 시를 처음 만났던 순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시는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어떤 시집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같은 독자들의 질문에 솔직하게 답한다. 또한 황인찬, 김리윤, 차도하, 문보영 등 지금 이 시대를 써내려가는 시인들의 작품과 함께, 각 시마다 해석이 아닌 감상을 끌어내는 질문을 제공한다. 정답 없는 시 읽기, 내 감정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 읽기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출판사 책 소개
시가 좋아진 당신에게,
두 젊은 시인이 건네는 다정한 시 읽기 안내서
황인찬, 문보영, 김리윤, 차도하…
시인들이 뽑은 시를 함께 읽으며 시와 한 걸음 가까워진다
《우리 모두 처음엔 시를 몰랐습니다》는 시를 어렵게만 느꼈던 분들을 위한 특별한 안내서입니다. 텍스트힙 시대라는데, 시를 좋아하고 싶은 마음은 있는데, 시집을 열면 괜히 자신감이 떨어지나요? "시는 잘 몰라서요…"라고 자신 없게 말해왔다면 김연덕, 강우근 두 시인의 다정한 안내와 함께 시 읽기의 즐거움을 느껴보세요.
이 책은 시를 어떻게 읽어야 한다고 가르치지 않습니다. 대신 ‘이해하지 않아도 좋아할 수 있다’고, ‘잘 몰라도 괜찮다’고 말해줍니다. 두 시인이 시를 처음 만났던 순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시는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 "어떤 시집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같은 독자들의 질문에 솔직하게 답합니다. 또한 황인찬, 김리윤, 차도하, 문보영 등 지금 이 시대를 써내려가는 시인들의 작품과 함께, 각 시마다 해석이 아닌 감상을 끌어내는 질문을 제공합니다. 정답 없는 시 읽기, 내 감정 그대로 받아들이는 시 읽기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살면서 어긋나는 순간들을 경험합니다. 당신의 삶 속에는, 당신의 이야기 속에는 이미 너무 많은 시가 깃들어 있어요.” _본문 속에서
시가 어렵지만 그럼에도 시를 좋아하고 싶은 여러분이, 이 책을 통해 조금 더 시 가까이에 머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러다 시를 읽게 되었습니다. 읽고 처음 든 생각은 이것이었어요.
‘뭐야, 나만 이상한 게 아니잖아?’」
이름 붙일 수 없는 감정을 어루만지는
시 읽기의 즐거움을 찾아서
★ 시를 어렵게 느껴온 독자들에게 두 시인이 건네는 다정한 시 읽기 안내서
★ 가장 주목받는 젊은 시인 8인의 작품을 함께 읽는다
"시는 어떻게 읽어야 하죠?" 시 읽기가 어렵게만 느껴진다면
"시는 잘 몰라서요." 시를 좋아하고 싶지만, 어렵고 낯설다는 이유로 시집을 덮어버린 경험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입니다. 《우리 모두 처음엔 시를 몰랐습니다》는 바로 그 지점에서 출발합니다. 시의 언어는 익숙하지 않습니다. 낯설고 어려운 것이 당연합니다. 젊은 두 시인 김연덕과 강우근이 시를 처음 만났던 순간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시를 읽고 쓰며 축적된 기쁨과 슬픔들을 나눕니다. 시를 좋아하고 싶지만 감상에 확신이 없는 이들에게 정답 없는 시 읽기의 즐거움을 보여줍니다.
3단계로 시와 가까워지는 특별한 구성
〈시에게서 나에게로〉 - 두 시인의 에세이로 시작합니다. 시를 처음 읽고 쓰게 된 계기, 시를 이해하려 애쓰던 시절의 고민, 그리고 시가 삶에 들어오게 된 과정을 솔직하게 담았습니다. 시가 특별한 이들만의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진솔한 고백입니다.
〈시, 어떻게 읽어야 할까요?〉 - "이해하지 말고 느끼라는데 그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요." “제목을 해석하는 방법이 있나요?” 등 시에 대해 흔히 품는 질문에 두 시인이 대담 형식으로 답합니다. 각자의 리듬으로 시와 마주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나에게서 시에게로〉 - 두 시인이 직접 고른 시를 함께 읽고, 독자가 감상을 확장해볼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는 장입니다. 해석이 아니라 감상을 끌어내는 구성으로, 독자가 부담 없이 시를 읽고 자신만의 언어로 반응할 수 있게 돕습니다.
현재 가장 주목받는 젊은 시인 8인의 작품과 함께
정답 없는 시 읽기의 즐거움을 발견하다
이 책은 시를 '배워야 하는 대상'으로 삼지 않습니다. 대신, 시를 읽는 경험 자체를 열어주는 책입니다. 시인들이 직접 고른 황인찬, 김리윤, 마윤지, 안태운, 조해주, 김복희, 차도하, 문보영의 시를 함께 읽으며, 각 시마다 독자 스스로 감상을 확장해볼 수 있도록 질문을 건넵니다. 도시와 자연, 실내와 실외, 일상과 사라진 공간, 그리고 세계에 없는 공간까지, 다양한 시적 공간을 통과하며 정답 없는 시 읽기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시가 어렵게 느껴졌지만 좋아하고 싶다는 마음을 가진 분들이 조금 더 시 가까이에 머물 수 있기를 바라는 책입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