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7.7
페이지
288쪽
상세 정보
서울을 떠나 제주에 정착한 한 여행작가의 이야기. 바람에 따라 계획을 바꾸고, 햇살에 따라 하루를 정하는 삶, 삶은 여행이 될 수 있고, 제주는 한 사람의 삶의 태도가 될 수 있다
제주의 바람과 돌담길, 사람, 고양이, 시장, 음식, 계절이 엮인 하루하루를 따라가는 ‘제주 생활’ 에세이다. 작가는 제주에서 중고 물건을 사러 애월에 가고, 자동차 수리를 맡기고는 함덕해변에서 커피를 마시며, ‘살아가는 일’과 ‘여행하는 마음’을 동시에 품는다.
표선목욕탕 아주머니들과 나누는 식사, 뒷마당에서 줍는 동백씨, 오일장에서 흥정하는 갈치, 고사리 따러 나서는 중산간의 봄, 해질녘 금능해변의 아름다움에 멈춰 선 발걸음…… 이 모든 순간이 여행이 되고, 일상이 될 때, 제주는 더 이상 낯선 섬이 아닌 삶으로 다가온다.
제주의 느긋한 시간 속에서 ‘삶은 결국 익숙해지는 일’임을 배워가며 쓰게 된 이 기록은 제주에서의 한 철, 한 끼, 한 순간을 통해 ‘살아간다는 건 결국 어디서든 익숙해지는 일’임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한다. 그리고 제주를 동경하고 그리워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공감과 위로를 건넨다.
제주에 살고 있는 독자라면 “그래, 이게 제주지” 하고 공감하게 될 것이고, 제주를 그리워하는 독자라면 “나도 저기에 살고 싶다”라는 마음이 들 것이다.
삶은 여행이 될 수 있고, 제주는 한 사람의 삶의 태도가 될 수 있다.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는 그 사실을 가르쳐 준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단유
@danyuvsyv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
1명이 좋아해요
단유
@danyuvsyv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서울을 떠나 제주에 정착한 한 여행작가의 이야기. 바람에 따라 계획을 바꾸고, 햇살에 따라 하루를 정하는 삶, 삶은 여행이 될 수 있고, 제주는 한 사람의 삶의 태도가 될 수 있다
제주의 바람과 돌담길, 사람, 고양이, 시장, 음식, 계절이 엮인 하루하루를 따라가는 ‘제주 생활’ 에세이다. 작가는 제주에서 중고 물건을 사러 애월에 가고, 자동차 수리를 맡기고는 함덕해변에서 커피를 마시며, ‘살아가는 일’과 ‘여행하는 마음’을 동시에 품는다.
표선목욕탕 아주머니들과 나누는 식사, 뒷마당에서 줍는 동백씨, 오일장에서 흥정하는 갈치, 고사리 따러 나서는 중산간의 봄, 해질녘 금능해변의 아름다움에 멈춰 선 발걸음…… 이 모든 순간이 여행이 되고, 일상이 될 때, 제주는 더 이상 낯선 섬이 아닌 삶으로 다가온다.
제주의 느긋한 시간 속에서 ‘삶은 결국 익숙해지는 일’임을 배워가며 쓰게 된 이 기록은 제주에서의 한 철, 한 끼, 한 순간을 통해 ‘살아간다는 건 결국 어디서든 익숙해지는 일’임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한다. 그리고 제주를 동경하고 그리워하는 사람들에게 특별한 공감과 위로를 건넨다.
제주에 살고 있는 독자라면 “그래, 이게 제주지” 하고 공감하게 될 것이고, 제주를 그리워하는 독자라면 “나도 저기에 살고 싶다”라는 마음이 들 것이다.
삶은 여행이 될 수 있고, 제주는 한 사람의 삶의 태도가 될 수 있다. 『나도 양 제주에 살암수다』는 그 사실을 가르쳐 준다.
출판사 책 소개
여행이 끝나고 남은 건 풍경이 아니라 삶이었다
한 끼, 한 철, 한 계절로 배워가는 제주
여행이 끝나도 여행은 계속된다. 이번에는 삶이라는 이름으로
제주살이에는 여유만 있는 게 아니다. 낯설음, 호기심, 생활력, 사람 냄새가 고루 섞여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진짜 제주살이에 대한 기록, 여행이 끝난 자리에 다시 시작된 ‘생활의 기록’이다.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살고 싶은 섬’을 하나 만들어주는 다정한 에세이다. 익숙함에 젖기보다는 새로움을 향해 열린 마음으로 살아가는 태도, 속도를 내려놓고 계절과 리듬에 귀 기울이는 자세, 그리고 매일의 소소한 일을 여행처럼 마주하는 감각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여행 작가였던 저자는 제주로 삶의 기반을 옮기고, 천천히 ‘도민의 언어’와 ‘섬의 리듬’을 익혀간다. 이 책에는 제주에 정착한 한 작가가 보고 듣고 느낀 제주의 일상들이 소박하고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무엇보다 이 책이 특별한 이유는 ‘관찰자의 시선’이 아닌 ‘생활자의 언어’로 쓰여 있다는 점이다. 표선목욕탕 언니들이 챙겨주는 여름 쌈밥, 고사리를 따러 중산간 도로에 빼곡히 늘어선 자동차들, 낚시꾼의 손에 들려 돌아오는 조과, 이름도 생소한 ‘고즐맹이’ 한 손 가득 안고 집으로 돌아오는 시장길. 이 모두가 느슨하지만 분명하게 제주를 이루는 조각들이다. 작가가 그려내는 제주의 삶은 때로는 유쾌하고, 때로는 사려 깊으며, 무엇보다도 생생하다.
관광지로만 알았던 제주의 참모습, 도민들이 살아가는 진짜 풍경을 엿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제주에서는 일하는 날도, 만나는 약속도, 날씨에 따라 정해진다. 비가 오면 농사를 미루고, 바람이 불면 계획을 바꾼다. 오일장에서 아강발을 사고, 성산읍 어귀에서 고사리 앞치마를 발견하며, 함덕해변에서 커피를 마시다 문득 계절을 자각하는 순간들. 제주에서는 시간의 흐름이 바람처럼 불고, 사람의 인사는 바다처럼 밀려왔다가 사라진다.
그 유연함이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작가는 점점 “그래도 괜찮다”는 마음을 배우게 된다. 그렇게 삶은 조금씩 단단해지고, 마음은 조금씩 느긋해진다. 그리고 이 느슨하지만 진한 관계의 섬에서, ‘여행하듯 살아가는 법’을 조금씩 익혀나간다.
이 책에는 각 장면마다 사람이 있고, 제철 음식이 있고, 바람과 파도가 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당신도 그곳의 언덕을 걷고, 시장의 냄새를 맡고, 표선 바닷가의 고양이들에게 인사를 건넬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당신도 제주 어딘가에서 고사리를 따고, 자리를 구워 막걸리를 따르고, 고양이에게 사료를 건네며 해질녘의 하늘을 바라보게 될지도 모른다.
이 책은 여행의 끝자락에서 다시 여행을 시작하고 싶은 당신에게, 그 여행을 삶으로 이어가고 싶은 당신에게 권하는 한 권의 연습장 같은 책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