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2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25.5.30
페이지
168쪽
상세 정보
"고전은 모든 사람이 읽었다고 말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이다"라는 말이 있다. 특히 철학서는 더욱 그러한데, 난해한 용어와 문장, 그리고 시대적 맥락의 차이가 낯설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다시 『명상록』을 펼치는 이유는, 그 안에 담긴 질문들이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초역 명상록』은 로마 제국 16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을 위해 남긴 사색의 기록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한 책이다. '초역'이라는 이름처럼, 원문의 본질은 지키면서도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독자들의 삶에 깊게 스며들 수 있도록 쉽게 풀어냈다.
아우렐리우스는 권력의 정점에 있으면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본 인물이다. 전쟁, 전염병, 반란, 음모가 끊이지 않았던 혼란의 시대에도 그는 매일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 나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았는가?" "남의 악행에 흔들리지 않고 내 원칙을 지켰는가?" "죽음을 앞둔 지금, 후회 없이 살고 있는가?"
『초역 명상록』은 한 인간으로서, 또 제국을 이끈 황제로서 아우렐리우스가 자기 자신을 정직하게 마주한 기록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지금 우리에게도, 아니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이기에 더욱 절실한 이야기를 전한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헤스티아
@hestia
초역 명상록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댕다이어리
@daeng_diary
초역 명상록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고전은 모든 사람이 읽었다고 말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은 책이다"라는 말이 있다. 특히 철학서는 더욱 그러한데, 난해한 용어와 문장, 그리고 시대적 맥락의 차이가 낯설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다시 『명상록』을 펼치는 이유는, 그 안에 담긴 질문들이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이다.
『초역 명상록』은 로마 제국 16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자신을 위해 남긴 사색의 기록을 현대적 시선으로 재해석한 책이다. '초역'이라는 이름처럼, 원문의 본질은 지키면서도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독자들의 삶에 깊게 스며들 수 있도록 쉽게 풀어냈다.
아우렐리우스는 권력의 정점에 있으면서도 끊임없이 자신을 돌아본 인물이다. 전쟁, 전염병, 반란, 음모가 끊이지 않았던 혼란의 시대에도 그는 매일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 나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았는가?" "남의 악행에 흔들리지 않고 내 원칙을 지켰는가?" "죽음을 앞둔 지금, 후회 없이 살고 있는가?"
『초역 명상록』은 한 인간으로서, 또 제국을 이끈 황제로서 아우렐리우스가 자기 자신을 정직하게 마주한 기록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지금 우리에게도, 아니 지금을 살아가는 우리이기에 더욱 절실한 이야기를 전한다.
출판사 책 소개
●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를 위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의 새로운 초역본
● 스토아 철학의 정수를 담아낸 인생의 지침서
● 2,000년 전 황제의 질문이 오늘의 나를 다시 일으킨다
● 외부에 휘둘리지 않고 나를 지키는 내면 단련법
고전의 깊이를 오늘의 언어로 되살리다
『명상록』은 로마의 황제였던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가 하루하루의 선택 앞에서 스스로에게 건넨 질문과 결심이 담긴 기록이다. 즉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쓴 글이 아니라, 철저히 자기 성찰을 위해 쓴 일기인 것이다. 한 시대에 가장 큰 권력을 가졌던 인물조차, 마음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 자신을 단련해야 했다. 하지만 그의 철학을 고스란히 담은 『명상록』을 끝까지 읽은 사람은 많지 않다. 『초역 명상록』은 이 깊이를 잃지 않으면서도, 무겁고 장황한 문장을 걷어 내고 본질과 지혜를 더욱 선명하게 담아냈다.
"통제할 수 없는 것은 받아들이고,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라."
삶은 복잡한 이론이 아니라, 매일 맞닥뜨리는 선택의 연속이다. 『초역 명상록』은 어렵고 먼 철학이 아니다. 상사의 비판에 상처받았을 때, 예상치 못한 실패에 좌절할 때, 타인의 성공에 시기심이 들 때, 불확실한 미래가 두려울 때, 바로 그런 순간에 꺼내 읽고 싶은 현실적인 위로와 지침이다. 아우렐리우스가 탐구했던 스토아 철학은 외부 환경에 휘둘리기보다 오직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생각과 행동에 집중하라고 말한다. 『초역 명상록』은 그 고요하면서도 단단한 마음가짐을 현대인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여 냈다.
'초역(抄譯)', 그러나 결코 가벼운 해석이 아니다
『초역 명상록』은 쉽게 읽히기 위해 깊이를 포기하지 않았다. 원문과 스토아 철학의 맥락을 충실히 담고, 아우렐리우스의 말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했다. 이렇게 간결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문장이야말로 『초역 명상록』의 진짜 힘이다. 이 책은 전체를 한 번에 읽지 않아도 좋다. 오히려 하루에 한 꼭지씩 읽으며 마음을 다잡는 루틴으로 삼는 것이 이 책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이다. 삶이 흔들리는 순간마다 이 책이 조용한 등불처럼 당신 곁을 지켜줄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