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8.15
페이지
324쪽
상세 정보
1930년대 조선에 살던 아이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었을까. 할머니와 둘이 사는 어떤 아이는 먼 곳에 사는 친척에게 학교 수업료를 부탁하려고 아침부터 해가 질 때까지 걷는다. 또 어떤 아이는 아빠가 새로 산 차를 타고 경성을 구경한다. 어떤 아이는 귀여운 고양이를 기르고, 또 어떤 아이는 집안 살림에 보탬이 될 돼지를 키운다. 어떤 아이는 방 정리를 안 한다고 엄마에게 혼이 나고, 또 어떤 아이는 아픈 엄마와 빨래하러 간 언니를 대신해 한겨울에 쌀을 씻으러 공용 수돗가로 간다.
이 다양한 이야기들은 1938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글짓기 대회의 수상작으로, 모두 당시 조선에 살던 어린이들이 직접 쓴 것이다. 『제국의 어린이들』은 이 글들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고, 그러면서 소박하게 반짝이는 이 글들 속에 숨어 있는 시대적 배경을 파헤친다. 조선 지역에 살게 된 일본인 어린이들과 토박이 조선 어린이들의 세계는 무엇이 달랐을까? 조선총독부는 어떤 기준으로, 어떤 어린이상을 원하면서 수상작들을 정했을까?
『제국의 어린이들』은 일제 강점기 조선 지역에 살게 된 일본인 어린이들의 세계와 토박이 조선 어린이들의 세계를 함께 선보인다.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대조되는 이 두 세계를 바라보면서 어린이가 출신 사회와 배경의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다른 세계관을 학습하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1930년대 조선에 살던 아이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었을까. 할머니와 둘이 사는 어떤 아이는 먼 곳에 사는 친척에게 학교 수업료를 부탁하려고 아침부터 해가 질 때까지 걷는다. 또 어떤 아이는 아빠가 새로 산 차를 타고 경성을 구경한다. 어떤 아이는 귀여운 고양이를 기르고, 또 어떤 아이는 집안 살림에 보탬이 될 돼지를 키운다. 어떤 아이는 방 정리를 안 한다고 엄마에게 혼이 나고, 또 어떤 아이는 아픈 엄마와 빨래하러 간 언니를 대신해 한겨울에 쌀을 씻으러 공용 수돗가로 간다.
이 다양한 이야기들은 1938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글짓기 대회의 수상작으로, 모두 당시 조선에 살던 어린이들이 직접 쓴 것이다. 『제국의 어린이들』은 이 글들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고, 그러면서 소박하게 반짝이는 이 글들 속에 숨어 있는 시대적 배경을 파헤친다. 조선 지역에 살게 된 일본인 어린이들과 토박이 조선 어린이들의 세계는 무엇이 달랐을까? 조선총독부는 어떤 기준으로, 어떤 어린이상을 원하면서 수상작들을 정했을까?
『제국의 어린이들』은 일제 강점기 조선 지역에 살게 된 일본인 어린이들의 세계와 토박이 조선 어린이들의 세계를 함께 선보인다.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대조되는 이 두 세계를 바라보면서 어린이가 출신 사회와 배경의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다른 세계관을 학습하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일제 강점기의 조선 땅에서 자라던
어린이들이 직접 쓴 글을 만나다
1930년대 조선에 살던 아이들은 어떻게 생활하고 있었을까. 할머니와 둘이 사는 어떤 아이는 먼 곳에 사는 친척에게 학교 수업료를 부탁하려고 아침부터 해가 질 때까지 걷는다. 또 어떤 아이는 아빠가 새로 산 차를 타고 경성을 구경한다. 어떤 아이는 귀여운 고양이를 기르고, 또 어떤 아이는 집안 살림에 보탬이 될 돼지를 키운다. 어떤 아이는 방 정리를 안 한다고 엄마에게 혼이 나고, 또 어떤 아이는 아픈 엄마와 빨래하러 간 언니를 대신해 한겨울에 쌀을 씻으러 공용 수돗가로 간다.
이 다양한 이야기들은 1938년에 조선총독부가 개최한 글짓기 대회의 수상작으로, 모두 당시 조선에 살던 어린이들이 직접 쓴 것이다. 『제국의 어린이들』은 이 글들을 국내 최초로 소개하고, 그러면서 소박하게 반짝이는 이 글들 속에 숨어 있는 시대적 배경을 파헤친다. 조선 지역에 살게 된 일본인 어린이들과 토박이 조선 어린이들의 세계는 무엇이 달랐을까? 조선총독부는 어떤 기준으로, 어떤 어린이상을 원하면서 수상작들을 정했을까?
어린이는 어린이답게, 그러나
제국주의 사회에서 ‘어린이답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어린이는 어린이답게 키워야 한다는 말은 상식처럼 여겨진다. 하지만 어린이다운 게 어떤 거냐고 물으면 각 시대와 사람별로 그 대답이 엇갈린다. 어린이 교육을 둘러싼 훈육과 체벌의 경계, 복종과 자율의 경계는 지금도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주제 가운데 하나다. 이렇게 어린이를 바라보는 시선이 서로 다른 이유는 기본적으로 어린이가 ‘이 사회’의 일부로 편입되어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결국 사람들은 ‘이 사회’가 어떤 곳인가, 혹은 어떤 곳이어야 하는가라는 자신의 판단을 어린이들에게 덧씌우게 된다. 어린이는 인류의 미래지만, 그 미래는 어른들이 상상해 놓은 틀 안에서 주로 제작되는 것이다.
『제국의 어린이들』은 그 어른들의 세계 중에서도 가장 극단적인 세계에 속하는 군국주의 제국 식민지가 어린이들을 어떤 모습으로 기르려 했는지 알려 준다. 특히 조선 지역에 살게 된 일본인 어린이들의 세계와 토박이 조선 어린이들의 세계를 함께 선보이는 이 책의 시도는 지금껏 만날 수 없었던 방식이다. 독자들은 자연스럽게 대조되는 이 두 세계를 바라보면서 어린이가 출신 사회와 배경의 차이에 따라 어떻게 다른 세계관을 학습하게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점진적으로 전쟁을 향해 가는,
그러나 그럴 때조차 어린이다운 어린이들의 이야기
저자 이영은은 이렇게 두 세계의 어린이들이 썼던 글을 소개하면서 당시 사회에 관한 역사적 해설을 덧붙인다. 특히 저자는 당시 초등 교육 체계를 분석하면서 막 자라나던 조선인 아이들을 일본 제국의 말단 일원으로 자연스레 편입하려 했던 조선총독부의 야심을 확인해 주며, 또한 왜 그들이 조선인들을 단순한 피지배층으로 놔두지 않고 굳이 일본 제국의 일부로 탈바꿈시키려 했는지 알려 준다. 이 해설은 『제국의 어린이들』에 실린 아이들의 글에 숨어 있는 사회적 압력을 찾아냄으로써 독자들이 더욱 깊은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편, 일제 강점기의 일상생활에서 시작해 점점 전쟁을 향해 나아가는 이 책의 구조 또한 독자의 생각을 점점 더 깊이 이끌어 가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책에서 먼저 아이들의 일상을 만난 독자는 이후 전쟁과 관련된 제국의 야심이 그 일상의 바탕에 끼친 영향을 확인하면서 앞서 지나온 아이들의 삶을 다시금 되돌아보게 될 것이다.
『제국의 어린이들』은 이렇게 체계적으로 일제 강점기의 어둠을 살펴본다. 달리 말하면 그 어둠 속에 잦아들어 간다. 그러나 이 책은 가장 어두운 순간에 들어설 때조차 어떤 소중한 활력을 계속 품고 있다. 계속해서 등장하는 아이들의 순수하고 소박한 언어가 예기치 못했던 감탄과 감동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시대가 어린이들에게 전쟁 기계의 일부가 되기를 종용하던 때조차, 어린이들은 오직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신비한 생명력을 갖고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그런 순간을 마주할 때마다, 『제국의 어린이들』은 한국 근현대사를 다루는 역사서를 넘어서 우리가 지금 이 세계의 어린이들을 어떻게 마주하고 키워내야 할지에 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지는 책으로 탈바꿈한다.
“어린이에게 어른이 만든 도덕적 기준이나 사회적 약속을 강요하는 것은 어린이에게 있어 불합리한 일이며, 이는 결국 인류 전체에도 큰 손실을 안겨 줍니다. 왜냐하면 어른의 세계는 왜곡된 세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세계는 어린이 세계가 가지고 있는 것을 자유롭게 발달시켜야만 하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어린이를 현존하는 어른의 세계로 끌어들이려는 것만큼 텅 빈 노력이 있을까요? 아니, 텅 빈 노력이라기보다 악덕에 더 가까운 일이겠습니다.” -아키타 우자쿠, 1921년. (본문 23쪽 중에서)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