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

손민정 외 4명 지음 | 라임 펴냄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800원 10% 15,12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8.25

페이지

240쪽

상세 정보

삼국 통일의 기틀을 세운 장군부터 위기에 맞선 조선의 지식인, 일제 강점기에 목소리를 낸 독립운동가,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청년까지, 시대를 이끈 16인의 삶을 따라간다. 하지만 단순히 위인을 기념하거나 과거의 사건을 나열하지 않는다. 각 인물의 삶에서 주목하는 것은 ‘어떤 시대에, 어떤 문제 앞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가’ 하는 질문이다. 그것은 곧 오늘을 살아가는 청소년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리더십, 통찰, 신념, 저항’이라는 네 개의 키워드를 따라가다 보면, 역사 속 인물들과 오늘날 우리의 모습이 놀랍도록 닮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만남은 역사를 과거가 아닌 ‘지금’의 이야기로 다시 읽게 만든다. 이 책은 교과서에서 배우는 역사 지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청소년 스스로 질문하고 사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역사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자기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여정의 첫걸음이 바로 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책읽는엄마곰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읽는엄마곰

@k_jin

오늘 아이와 천주교 박해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아이의 말에 깜짝 놀랐다. “엄마, 만약에 천주교가 박해당하지 않았더라면 정약용 선생님은 조금 덜 유명한 분이 되었을 수도 있겠다. 그치?” 물론 아이에게 정약용의 저서나 업적을 이야기해주기도 했고, 그가 가톨릭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친 집안의 사람인지를 이야기해주기도 했지만, 종교와 역사의 배경을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게 되었다니! 문득 아이가 또 얼마나 자랐는지를 깨닫게 되기도 하고, 좋은 책을 부지런히 읽혀준 보람을 느끼기도 했다.

최근 아이와 읽은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은 역사를 이해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과서와의 연결,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등을 연걸지어 풀어낸다. 그래서 어른이 읽기에도, 아이들이 읽기에도 생각을 확장하기에 무척이나 좋은 구성이라는 생각이 든다. 잠시 언급했던 정약용을 예로 들자면, 그가 백성들과 소통을 하는 성정을 지닌 관료였다는 것을 시작으로 책에서 배운 것을 실제로 써먹는 '실학'을 연구했던 것 등을 재미있게 풀어낸다. 한강에 배다리를 놓고, 거중기를 설계하고 목민심서를 집필하는 등 백성들의 삶을 얼마나 돌보았는지를 잘 설명하고 있다. 또 천주교 서적이 문제가 되어 고향으로 돌아온 그가 여유당을 짓고, 신유박해를 통해 형제들을 잃고 유배당하는 배경에서부터 그가 유배 중 편찬한 책 등을 바탕으로 그가 생각했던 학문의 의미까지를 풀어내기에 몇 장의 책을 읽은 것만으로도 정약용에 대한 개념이 서고,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에서 만날 수 있는 인물들은 스무명 남짓으로, '리더십의 길'에서는 김유신, 장보고, 왕건, 광종을, '통찰의 빛'에서는 정도전, 최명길, 정조, 정약용을 만날 수 있다. 이어지는 '신념의 불꽃'에서는 안중근, 권기옥, 신채호, 이극로를 통해 독립투사들이 “왜”그래야만 했는지를 선명하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그 외에도 '저항의 목소리'에서는 윤동주, 김학순, 전태일, 이한열 등을 통해 민족의 아픔, 식민지의 고통, 노동운동의 가치, 민주주의의 의미까지를 깊이 생각해보도록 돕는다. 이 책에 등장하는 위인들 모두를 각각의 책으로 만나본 엄마지만, 아이와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을 읽는 내내 집중하여 읽을만큼 재미있고 흥미로운 구성을 갖춘 책이라는 생각을 했다. 아이 역시 초등학생에게 꽤 글밥이 많은 편이었는데도 긴 시간을 집중하여 읽고, 의견을 정리하는 등 유익한 시간을 보냈다.

처음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을 만나기 전부터 예스 펀딩 100%를 달성한 책이라 무척이나 기대가 컸고,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이라는 제목에서부터 아이들이 한국사를 보다 깊이, 다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 기대를 완벽히 채워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불어 우리 아이 역시 무척 흥미로워 하며 다시 첫 페이지를 펼쳐드는 것을 보며 잘 만든 책은 독자가 스스로 찾는다는 말을 실감했다. “역사가 입체처럼 느껴지는 책”이라는 아이의 말이 완벽한 비유라는 생각을 해보며, 많은 분들께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을 강력 추천해드린다.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

손민정 외 4명 지음
라임 펴냄

2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삼국 통일의 기틀을 세운 장군부터 위기에 맞선 조선의 지식인, 일제 강점기에 목소리를 낸 독립운동가,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청년까지, 시대를 이끈 16인의 삶을 따라간다. 하지만 단순히 위인을 기념하거나 과거의 사건을 나열하지 않는다. 각 인물의 삶에서 주목하는 것은 ‘어떤 시대에, 어떤 문제 앞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가’ 하는 질문이다. 그것은 곧 오늘을 살아가는 청소년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리더십, 통찰, 신념, 저항’이라는 네 개의 키워드를 따라가다 보면, 역사 속 인물들과 오늘날 우리의 모습이 놀랍도록 닮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만남은 역사를 과거가 아닌 ‘지금’의 이야기로 다시 읽게 만든다. 이 책은 교과서에서 배우는 역사 지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청소년 스스로 질문하고 사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역사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자기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여정의 첫걸음이 바로 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출판사 책 소개

★ 초중고 현직 교사 100인 강력 추천!

사람을 통해 시대를 만나고,
시대를 통해 오늘을 이해하는
역사 인문학 첫걸음!

‘외우는’ 역사를 넘어 ‘사유하는’ 역사로
인문학적 성장을 이끌다

이 책의 특징

역사 인물을 톺아보며 마주하는 시대의 질문들

《십 대를 위한 역사 인문학》은 삼국 통일의 기틀을 세운 장군부터 위기에 맞선 조선의 지식인, 일제 강점기에 목소리를 낸 독립운동가,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해 투쟁한 청년까지, 시대를 이끈 16인의 삶을 따라간다. 하지만 단순히 위인을 기념하거나 과거의 사건을 나열하지 않는다. 각 인물의 삶에서 주목하는 것은 ‘어떤 시대에, 어떤 문제 앞에서, 어떤 결정을 내렸는가’ 하는 질문이다. 그것은 곧 오늘을 살아가는 청소년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질문을 던진다.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리더십, 통찰, 신념, 저항’이라는 네 개의 키워드를 따라가다 보면, 역사 속 인물들과 오늘날 우리의 모습이 놀랍도록 닮아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이 만남은 역사를 과거가 아닌 ‘지금’의 이야기로 다시 읽게 만든다.
이 책은 교과서에서 배우는 역사 지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청소년 스스로 질문하고 사유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역사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자기 삶의 방향을 찾아가는 여정의 첫걸음이 바로 이 책 속에 담겨 있다.

삼국 시대부터 근현대까지,
시대를 관통하는 가치와 철학을 담다

책은 삼국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16명의 인물을 통해 각 시대가 마주한 문제와 변화의 흐름을 짚어 내며, 그 시대를 관통하는 공통된 가치를 함께 들여다본다.
김유신과 장보고, 왕건, 광종은 삼국 시대와 고려의 격동기 속에서 공동체를 지키기 위해 리더십을 발휘한 인물들이다. 전쟁이 끊이지 않던 시대에 이들은 어떻게 질서를 세우고, 안정된 국가를 만들 것인지 깊이 고민했다. 이들의 이야기는 진정한 리더십이란 무엇인지, 그 본질을 되묻는다.
정도전, 최명길, 정조, 정약용은 조선 시대 나라의 제도를 바꾸고 개혁을 추진한 인물들이다. 개혁이란 깊은 성찰과 명확한 비전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며, 혼란스러운 국정 속에서도 나라를 바로 세우려 했던 이들의 모습에서 날카로운 통찰력을 엿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안중근, 권기옥, 신채호, 이극로는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조국을 지키고자 했던 인물들이다. 식민 지배와 탄압 속에서도 국권 회복을 위해 끝까지 신념을 지킨 이들의 삶은 깊은 울림을 준다.
윤동주, 김학순, 전태일, 이한열은 불의에 맞서 각자의 자리에서 삶의 용기를 보여 준 인물들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여성 인권, 노동권, 민주주의 등 여전히 중요한 사회적 의제를 환기시키며,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지켜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현직 교사가 생생하게 풀어낸 역사×인문학 이야기!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다섯 명의 역사 교사가 직접 집필한 이 책은 청소년이 쉽고 재미있게 역사를 배우면서 동시에 깊이 있는 인문학적 소양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각 역사 인물을 톺아보며 마주하는 질문들은 독자로 하여금 ‘외우는’ 역사가 아닌 ‘생각하는’ 역사로 받아들이게 만든다. 청소년 독자들은 지금 자신의 삶과 사회를 성찰하게 되고, 역사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역사 문해력 키우기’ ‘교과서 톺아보기’ ‘한 걸음 더 나아가기’ 등의 정보 페이지를 통해 주요 개념과 배경지식을 짚어 주어 학습의 깊이를 더하고, 교과서 속 내용을 자연스럽게 풀어내어 교과 지식을 삶의 맥락 속에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역사가 현재 우리가 마주한 상황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비교해 보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새로운 시각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진 자료를 풍부하게 담아 역사 인물의 삶과 시대적 배경을 더욱 생동감 있게 소개한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