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4.21
페이지
300쪽
상세 정보
현실에서, 진실이 밝혀져도 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때로는 근거 없는 믿음이 진실을 압도한다. 그러나 여기, ‘진실이 믿음을 이길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여성이 있다. 영실대학교 박사과정 대학원생 김서연이다. 그녀는 대학원 연구실 사람들과 함께 TPDD라는 희귀유전질환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다.
벌써 네 명의 TPDD 환자와 2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그들은, 그들이 개발한 TPDD 치료제가 효과를 보이자 잔뜩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환자들에게서 아주 작은 주삿바늘 자국이 발견되는데, 그와 거의 동시에 한 환자가 심정지에 빠지며 임상시험센터는 큰 혼란을 겪는다.
무슨 일일까? 저 작은 주삿바늘과 심정지는 연관이 있는 걸까? 그렇다면 누가, 왜, 무엇을 노리고 이러는 걸까? 그리고 김서연은 과연, 근거 없는 믿음이 진실을 압도하는 이 세상에서 ‘진실이 믿음을 이길 것’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낼 수 있을까?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수
@keke
당신의 세포막 안으로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현실에서, 진실이 밝혀져도 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때로는 근거 없는 믿음이 진실을 압도한다. 그러나 여기, ‘진실이 믿음을 이길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여성이 있다. 영실대학교 박사과정 대학원생 김서연이다. 그녀는 대학원 연구실 사람들과 함께 TPDD라는 희귀유전질환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다.
벌써 네 명의 TPDD 환자와 2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그들은, 그들이 개발한 TPDD 치료제가 효과를 보이자 잔뜩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환자들에게서 아주 작은 주삿바늘 자국이 발견되는데, 그와 거의 동시에 한 환자가 심정지에 빠지며 임상시험센터는 큰 혼란을 겪는다.
무슨 일일까? 저 작은 주삿바늘과 심정지는 연관이 있는 걸까? 그렇다면 누가, 왜, 무엇을 노리고 이러는 걸까? 그리고 김서연은 과연, 근거 없는 믿음이 진실을 압도하는 이 세상에서 ‘진실이 믿음을 이길 것’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낼 수 있을까?
출판사 책 소개
진실보다 믿음이 더 강력한 세상.
세포막 안으로 침투하는 근거 없는 믿음을 방어하라!
현실에서, 진실이 밝혀져도 사람들은 믿고 싶은 것만 믿고 때로는 근거 없는 믿음이 진실을 압도한다. 그러나 여기, ‘진실이 믿음을 이길 것’이라는 신념을 가진 여성이 있다.
영실대학교 박사과정 대학원생 김서연이다. 그녀는 대학원 연구실 사람들과 함께 TPDD라는 희귀유전질환 치료제를 연구하고 있다.
※TPDD : 사고 패턴 붕괴 장애(Thought Pattern Disintegration Disorder)의 줄임말. 사고능력, 언어능력이 붕괴되어 한 가지 생각, 한 가지 말밖에 못 하는 희귀유전질환.
벌써 네 명의 TPDD 환자와 2상 임상시험을 진행 중인 그들은, 그들이 개발한 TPDD 치료제가 효과를 보이자 잔뜩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환자들에게서 아주 작은 주삿바늘 자국이 발견되는데, 그와 거의 동시에 한 환자가 심정지에 빠지며 임상시험센터는 큰 혼란을 겪는다.
무슨 일일까? 저 작은 주삿바늘과 심정지는 연관이 있는 걸까? 그렇다면 누가, 왜, 무엇을 노리고 이러는 걸까? 그리고 김서연은 과연, 근거 없는 믿음이 진실을 압도하는 이 세상에서 ‘진실이 믿음을 이길 것’이라는 자신의 신념을 지켜낼 수 있을까?
“약의 기능 중에 가장 중요한 건 해당 약물이 세포막 안으로 효과적으로 침투하는 거예요. 그래야 약물의 효과가 발생하니까.”
여성 과학자의 흥미진진한 여정을 그린 김진성의 신작 소설 『당신의 세포막 안으로』는 과학 스릴러의 매력을 한껏 드러낸다.
주인공 김서연은 의약대도 없는 지방대 화학공학과 연구실에서 7년 동안 희귀 유전질환인 TPDD(사고 패턴 붕괴 장애) 치료제 개발에 자신의 열정을 쏟아부은 박사과정생이다. 임상 실험 중 그녀가 만든 TPDD 치료제를 투여받은 환자가 갑자기 심정지 되는 일이 벌어지는데….
“밝힐 것인가? 아니면 방관할 것인가.”
그런데 이 사건에는 흑막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녀가 만든 TPDD 치료제는 실수로 다가온 페니실린처럼, 다른 곳에서 효과를 보인다는 것도 알게 된다. 하지만 이 효과는 심각한 윤리적 딜레마와 인간 생명에 대한 위협이 도사리고 있기에 김서연은 자신의 연구가 가져올 수 있는 파급 효과와 위험성을 밝히려고 험난한 여정을 시작한다. 그녀의 여정은 단순한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과학의 진보와 그로 인한 책임, 그리고 인간의 본질에 대한 탐구로 확장되고 한국과 프랑스를 오가는 추격씬까지 더해져 흥미진진해진다.
“그런데 과학자는 말이죠. 세포막을 단단하게 만들어야 해요. 함부로 이상한 정보에 세포막을 열어주면 안 돼. 진실에 가깝다고 검증된 애들만 들여보내야 해요. 진실이라고 믿는 애들이 아니라. 그래야 과학자로서의 능력을 더 키울 수 있거든요….”
『당신의 세포막 안으로』는 긴장감 넘치는 스릴과 함께 여성 과학자의 강한 의지를 주축으로, 단순한 과학 소설을 넘어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를 지적하고 있어 사회적으로도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주인공 김서연은 순수한 탐구심으로 현실적 이해타산을 초월한 인물로, 대한민국 과학자들의 현실을 대변한다. 그녀의 이야기는 국내 제약회사의 어려움, 대학원생들의 취업 문제, 그리고 여성 과학자들이 겪는 고충 등,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주제를 다루며 우리가 외면해 온 진실을 마주하게 한다. 또한, 희귀 유전병으로 고통받는 환자들과 그 가족의 아픔을 진정성 있게 그려내어, 독자에게 깊은 감동도 선사한다. 작가는 『당신의 세포막 안으로』를 통해 “우리는 진실을 믿는가, 아니면 믿고 싶은 것을 진실로 여기는가?”라는 깊은 질문을 던진다. 이 작품은 과학과 인간의 본질에 대한 성찰을 촉구하며, 과학, 인간의 욕망, 그리고 신념이 충돌하는 한복판에서 우리가 외면했던 진실과 도덕적 갈등을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