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의 남자

폴 오스터 지음 | 북다 펴냄

어둠 속의 남자 (개정판)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7,800원 10% 16,02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9.25

페이지

280쪽

상세 정보

섬세한 문체와 탁월한 구성, 날카로운 현실 감각과 철학적 깊이를 바탕으로 현대 미국문학의 독보적인 거장으로 자리매김한 작가, 폴 오스터의 장편소설 《어둠 속의 남자》 개정판이 ‘환상과 어둠’ 컬렉션으로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1970년대 후반 문단에 등장한 오스터는 일찍이 ‘미국문학의 미래를 대표할 작가’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후 반세기 동안 소설과 산문, 시나리오와 번역까지 폭넓게 활동하며 문학의 경계를 넓혀왔다. 작가는 현실의 세밀한 질감을 포착하는 동시에 환상적 요소를 절묘하게 결합해, 인간이 겪는 상실과 고독, 애도의 문제를 집요하게 탐구했다.

‘환상과 어둠’ 컬렉션은 폴 오스터 문학의 정수를 압축해 보여주는 《환상의 책》과 《어둠 속의 남자》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번역 작업은 물론 현재 한국 문단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두 소설가 정기현, 김화진의 독서 후기를 함께 실어 오늘의 독자에게 오스터의 세계를 다시 읽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두 작품은 “인간은 왜 이야기에 기대어 살아가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여전히 불안과 상실로 흔들리는 현재의 삶에 깊은 울림을 전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2008년에 출간되었던 폴 오스터의 <어둠 속의 남자>가 아주 예쁜 옷으로 갈아입고 재출간되었다. 마지막 유작이라는 <바움가트너>를 얼마 전 읽었는데 그 여운이 좋아서 언젠가 전작을 모두 읽어보겠다는 계획을 하나씩 실천할 수 있어서 아주 기쁘다. 읽을 때마다 이 작가가 더 좋아지고 있다.



나, 오거스트 브릴은 딸 미리엄과 손녀 카티야와 함께 살고 있다. 교통사고로 다리를 다쳐 불편한 오거스트는 1층에, 딸과 손녀는 2층에서 거주한다. 밤마다 잠이 오지 않아 자신만의 이야기를 구상하고 가능한 자꾸만 떠오르는 생각을 피하려고 한다. 낮에는 카티야와 영화를 보며 하루를 보낸다. 매일 같은 하루하루지만 각자의 방에서 잠드는 이들은 각자의 상실로 잠들지 못하고 겨우겨우 버티며 하루를 이어간다.



책은 오거스트의 상상 속 이야기에서 시작해 오거스트가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주변에서 듣고 일어난 "전쟁"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 전쟁은 오거스트와 카티야가 상실의 아픔에서 벗어나지 못한, 그토록 피하고 싶었던 하나의 사건으로 귀결된다. 모두 다섯 가지의 전쟁은 모두 처참하고 끔찍하다. 그리고 결국 그 전쟁으로 인한 상실은 살아남은 이들의 숙제로 남는다.



오거스트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는 문장.

"괴상한 세상은 굴러가고."...260p



그렇다. 세상엔 정말 이상한 일들이 가득하고 이상한 사람들에 의해 너무 착한 사람들이 죽기도 하고 상처받고 이상한 나라에 의해 아무 잘못 없는 사람들이 죽어간다. 그런 세상이지만... 그래도 그렇게 또 그런 세상 속에서 우린 살아간다. 밤부터 시작해 동이 트는 아침까지 온갖 걱정과 시련과 삶이 지나갔어도 그렇게 또 하루가 시작하는 것이다.



정말 아름다운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엄청나게 시끄럽고 믿을 수 없게 가까운> 이후로 상실의 아픔에 대해 이렇게 훌륭하게 표현해 낸 소설이 있을까 싶었는데 첫 시작부터 마지막 귀결까지 모두 좋았다.

어둠 속의 남자

폴 오스터 지음
북다 펴냄

12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어둠 속의 남자 게시물 이미지

어둠 속의 남자

폴 오스터 지음
북다 펴냄

읽었어요
5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섬세한 문체와 탁월한 구성, 날카로운 현실 감각과 철학적 깊이를 바탕으로 현대 미국문학의 독보적인 거장으로 자리매김한 작가, 폴 오스터의 장편소설 《어둠 속의 남자》 개정판이 ‘환상과 어둠’ 컬렉션으로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1970년대 후반 문단에 등장한 오스터는 일찍이 ‘미국문학의 미래를 대표할 작가’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후 반세기 동안 소설과 산문, 시나리오와 번역까지 폭넓게 활동하며 문학의 경계를 넓혀왔다. 작가는 현실의 세밀한 질감을 포착하는 동시에 환상적 요소를 절묘하게 결합해, 인간이 겪는 상실과 고독, 애도의 문제를 집요하게 탐구했다.

‘환상과 어둠’ 컬렉션은 폴 오스터 문학의 정수를 압축해 보여주는 《환상의 책》과 《어둠 속의 남자》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번역 작업은 물론 현재 한국 문단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두 소설가 정기현, 김화진의 독서 후기를 함께 실어 오늘의 독자에게 오스터의 세계를 다시 읽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두 작품은 “인간은 왜 이야기에 기대어 살아가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여전히 불안과 상실로 흔들리는 현재의 삶에 깊은 울림을 전한다.

출판사 책 소개

현대 미국문학의 거장
폴 오스터 Paul Auster

폴 오스터를 바라보는 색다른 시각, 새로운 번역
‘환상과 어둠’ 컬렉션


섬세한 문체와 탁월한 구성, 날카로운 현실 감각과 철학적 깊이를 바탕으로 현대 미국문학의 독보적인 거장으로 자리매김한 작가, 폴 오스터의 장편소설 《어둠 속의 남자》 개정판이 ‘환상과 어둠’ 컬렉션으로 북다에서 출간되었다.
1970년대 후반 문단에 등장한 오스터는 일찍이 ‘미국문학의 미래를 대표할 작가’라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후 반세기 동안 소설과 산문, 시나리오와 번역까지 폭넓게 활동하며 문학의 경계를 넓혀왔다. 작가는 현실의 세밀한 질감을 포착하는 동시에 환상적 요소를 절묘하게 결합해, 인간이 겪는 상실과 고독, 애도의 문제를 집요하게 탐구했다. 《뉴욕 3부작》은 메타픽션적 서사의 전범으로 불리며 새로운 장르적 전통을 열었고, 《달의 궁전》은 세대와 역사를 교차시킨 성장 서사로 평가받았으며, 《공중 곡예사》는 우연과 부조리를 통해 인간의 운명을 비추는 오스터 문학의 면모를 드러냈다. 또 《빵 굽는 타자기》 《낯선 사람에게 말 걸기》 등의 산문집에서는 개인적 체험과 시대적 맥락을 교차시키며 소설가를 넘어선 사유의 깊이를 보여주었다. 2017년에는 장편소설 《4 3 2 1》을 발표하며 작가 인생의 정점을 찍은 대서사시라는 찬사를 받았다.
‘환상과 어둠’ 컬렉션은 폴 오스터 문학의 정수를 압축해 보여주는 《환상의 책》과 《어둠 속의 남자》로 구성되어 있다. 새로운 번역 작업은 물론 현재 한국 문단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두 소설가 정기현, 김화진의 독서 후기를 함께 실어 오늘의 독자에게 오스터의 세계를 다시 읽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한다. 두 작품은 “인간은 왜 이야기에 기대어 살아가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동시에 여전히 불안과 상실로 흔들리는 현재의 삶에 깊은 울림을 전한다.

괴상한 세상을 살아내기 위한 살아남은 자들의 연대
이야기는 마침내 삶을 구원할 수 있을까?

“이야기를 통과해, 장면을 딛고, 무엇인가가 전환되었다.”_김화진 소설가


은퇴한 문학평론가 ‘오거스트 브릴’은 아내를 잃고 교통사고로 휠체어 신세가 되어 버몬트의 집에서 요양하며 불면의 밤을 보낸다. 딸 ‘미리엄’은 이혼의 상처를, 손녀 ‘카티야’는 이라크 전쟁에서 연인 ‘타이터스’를 잃은 슬픔을 안고 있다. 세 사람은 같은 집에 살지만 각자의 고통에 갇혀 있고, 오거스트는 불면의 밤마다 머릿속에서 끊임없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그가 지어내는 이야기의 주인공은 ‘오언 브릭’이라는 남자다. 어느 날 오언은 깊은 구덩이에서 깨어난다. 오언이 눈뜬 곳은 2000년 대선 이후 내전으로 분열된 가상의 미국이다. 그리고 오언에게 주어진 임무는 이 전쟁을 만들어낸 ‘이야기꾼’을 암살하는 것.

그러니까 이게 이야기라는 거네요. 어떤 남자가 이야기를 쓰고 있고, 우리는 그 이야기의 일부라는. (……) 그자가 죽고 나면, 그때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전쟁은 끝나지만, 우리는요?
모든 게 정상으로 돌아가지.
아니면 우리가 사라질 수도 있겠군요.
그럴지도 몰라. 하지만 그런 위험은 감수해야지. 죽이든가 죽든가야, 친구. (21~22쪽)

오언은 곧 자신이 서 있는 세계가 허구와 현실의 경계에 놓여 있음을 깨닫고, 이야기를 만든 자와 이야기에 갇힌 자 사이의 아이러니를 경험한다. 오거스트가 불면 속에서 만들어낸 이 이야기는 아내의 죽음, 손녀가 겪은 상실, 그리고 삶에 대한 자신의 후회와 모종의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몸부림인 동시에 고통과 직면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오언의 여정과 오거스트의 삶이 교차하면서, 이야기는 도피가 아니라 상실을 견디게 하고 삶을 지속하게 하는 힘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누가 재미를 원한대요?
내가 원하지. 너도 마찬가지다, 아가. 우리가 슬픔에 찬 한 쌍의 자루처럼 되어버렸잖아, 너랑 내가 말이다, 그래서 나는 치유법을 제안하는 거야, 우울함을 떨쳐버릴 처방을. (242~243쪽)

오거스트와 카티야 사이에는 작은 위로의 시간이 존재한다. 그들은 함께 고전 영화를 보며 대화를 나눈다. 영화 속 이야기와 장면은 잠시나마 현실의 슬픔을 잊게 만들고, 서로의 상처를 비추는 거울처럼 작용한다. 카티야가 잃은 연인의 빈자리는 쉽게 메워질 수 없지만, 오거스트는 영화를 함께 보는 순간만큼은 손녀와 같은 세계를 공유하며 슬픔을 견디고 있음을 느낀다. 이 순간은 이야기가 주는 위로를 넘어, 서로의 고통을 함께 감당하게 하는 작지만 단단한 연대가 된다.

고통과 고독의 사회, 그 애도의 방식
폴 오스터 문학 세계의 전환

“오스터가 쓴 가장 훌륭한 소설.”
_《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사람들은 상심으로 죽는다. 매일 그런 일이 벌어지고, 언제까지나 계속 벌어진다. (128쪽)

《어둠 속의 남자》 독서 후기를 쓴 김화진 소설가는 이 책을 도피의 서사가 아니라, 반복되는 실패와 좌절 끝에 도달하는 전환의 경험이라고 보았다. 이야기는 현실의 고통을 지워주지 않지만, 그 무게를 함께 견디고 받아들이게 하는 힘이 된다며 긴 어둠을 지나 맞이한 동틀녘처럼 작품이 독자에게도 상실 속에서 새로운 변화를 일깨우는 소설임을 강조한다.
전쟁의 참상을 그려내는 오언의 여정과, 애도의 시간을 통과하는 오거스트의 삶은 묵묵히 자신의 고통을 견디면서도 간간이 서로를 비춘다. 이처럼 이야기란 저마다의 고통을 다른 언어로 바꾸고 서로의 삶을 이어가게 하는 애도의 방식임을 보여준다. 이야기가 현실의 상처를 지워주지는 못하지만, 서로의 고통을 공유하게 하고 어둠을 견디게 하는 작은 불빛은 되어줄 수 있다. 오스터는 《어둠 속의 남자》를 통해 상실의 시대에 문학이 어떻게 여전히 유효한가를 증명한다. 그리고 우리가 끝내 이야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를 되묻는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