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 돌봄, 녹색

이나미 외 7명 지음 | 산현글방(산현재) 펴냄

공화, 돌봄, 녹색 (새 공화국과 헌법의 기본 가치에 관하여)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000원 10% 14,4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5.9.24

페이지

204쪽

상세 정보

2025년 9월, 이재명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가 발표되었다. 그중 1호는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헌법 개정이다. 하지만 정말로 개헌이 필요하다면, 무엇을 위한 개헌이어야 할까? 쿠데타 발생 가능성 자체를 법적으로 원천 차단하고 사법 권력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후위기, 돌봄 위기, 고령화 사회의 대두, 자산 · 지역 불평등 심화, AI 기술 전환의 위험, 극우의 부상과 미중 패권 충돌 등의 복합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담대한 개헌이 필요하다. 이 책의 초점과 가치는 민주주의 위기, 복합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국가비전(국가공동체의 기본적 번영 가치)을 저자들이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사회의 공화화, 돌봄 사회의 구축, 녹색 국가의 정립이 바로 그것으로, 저자들은 바로 이 가치들이 새 헌법과 공화국의 기본 가치, 시대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화’ 편의 저자는 그간 ‘민주화’에만 집중되었던 역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화주의적 민주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면서 공동선의 정치, 존엄의 평등에 대한 지향 그리고 시민적 참여의 확대라는 민주적 공화주의의 세 핵심 원리를 제시한다. ‘돌봄’ 편에서는 현 정부 국정목표의 하나인 ‘기본이 튼튼한 사회’의 ‘기본’이 ‘돌봄’이라는 언어로 이야기된다. 돌봄이야말로 불평등, 경쟁, 차별과 혐오, 기후위기의 심화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현 우리 사회에 시급히 요청되는 가치라는 인식하에서 돌봄 가치의 헌법 명기, 돌봄 사회 구축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제안된다. 한편 ‘녹색’ 편의 저자들은 한국의 기존 헌법들에 ‘녹색’ 가치가 결여되었던 역사적 이유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하여 ‘녹색’ 헌법의 필요, ‘녹색’ 헌법의 지향과 내용을 밝힌다. 보론에서는 지속가능성 위기 문제를 여러 참여 주체가 다루는 헌법상 공론화 기구로서 가칭 ‘국가지속가능미래회의’가 제안된다. 부록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꾸려지던 1919년부터 헌법의 기본 가치를 명기한 중요한 문서들이 엄선되어 실렸다. 녹색 헌법 만들기에 참조할 만한 해외의 헌법 문구와 조항, 헌법의 위상을 갖는 헌장도 실렸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책스타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스타

@chaekstar

  • 책스타님의 공화, 돌봄, 녹색 게시물 이미지
공화, 돌봄, 녹색이라는 세 단어가 우리가 함께 살기 위해 꼭 붙잡아야 할 가치라는 사실을 조용하지만 강하게 일깨운다.

특히 '돌봄'에 대한 논의가 깊게 와닿았다. 돌봄은 개인의 희생이 아니라 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근본적인 구조라는 말이 마음에 오래 남았다. 공화적 책임과 녹색 전환의 이야기도 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공동체의 방향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다소 무거운 주제임에도 문장은 친절하고 사유는 단단하다. 한 문장 한 문장이 더 나은 사회를 상상할 용기를 되살려주는 책이었다. 앞으로의 일상에서 무엇을 우선순위에 둘 것인지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공화, 돌봄, 녹색

이나미 외 7명 지음
산현글방(산현재) 펴냄

읽었어요
2시간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2025년 9월, 이재명 정부의 123대 국정과제가 발표되었다. 그중 1호는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헌법 개정이다. 하지만 정말로 개헌이 필요하다면, 무엇을 위한 개헌이어야 할까? 쿠데타 발생 가능성 자체를 법적으로 원천 차단하고 사법 권력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후위기, 돌봄 위기, 고령화 사회의 대두, 자산 · 지역 불평등 심화, AI 기술 전환의 위험, 극우의 부상과 미중 패권 충돌 등의 복합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담대한 개헌이 필요하다. 이 책의 초점과 가치는 민주주의 위기, 복합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국가비전(국가공동체의 기본적 번영 가치)을 저자들이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사회의 공화화, 돌봄 사회의 구축, 녹색 국가의 정립이 바로 그것으로, 저자들은 바로 이 가치들이 새 헌법과 공화국의 기본 가치, 시대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화’ 편의 저자는 그간 ‘민주화’에만 집중되었던 역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화주의적 민주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면서 공동선의 정치, 존엄의 평등에 대한 지향 그리고 시민적 참여의 확대라는 민주적 공화주의의 세 핵심 원리를 제시한다. ‘돌봄’ 편에서는 현 정부 국정목표의 하나인 ‘기본이 튼튼한 사회’의 ‘기본’이 ‘돌봄’이라는 언어로 이야기된다. 돌봄이야말로 불평등, 경쟁, 차별과 혐오, 기후위기의 심화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현 우리 사회에 시급히 요청되는 가치라는 인식하에서 돌봄 가치의 헌법 명기, 돌봄 사회 구축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제안된다. 한편 ‘녹색’ 편의 저자들은 한국의 기존 헌법들에 ‘녹색’ 가치가 결여되었던 역사적 이유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하여 ‘녹색’ 헌법의 필요, ‘녹색’ 헌법의 지향과 내용을 밝힌다. 보론에서는 지속가능성 위기 문제를 여러 참여 주체가 다루는 헌법상 공론화 기구로서 가칭 ‘국가지속가능미래회의’가 제안된다. 부록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꾸려지던 1919년부터 헌법의 기본 가치를 명기한 중요한 문서들이 엄선되어 실렸다. 녹색 헌법 만들기에 참조할 만한 해외의 헌법 문구와 조항, 헌법의 위상을 갖는 헌장도 실렸다.

출판사 책 소개

2025년 9월 이재명 정부의 국가비전, 국정원칙, 국정목표, 국정과제가 발표되었다. 123개 국정과제 가운데 1호 과제는 다름 아닌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헌법 개정이다. 하지만 무엇이 진짜 대한민국일까? 개헌이 필요하다면, 무엇을 위한 개헌이어야 할까?

이번 개헌은 약 40년 만에 이루어지는 개헌(10차 개헌)으로 그간 변화한 국내 사정, 급변하는 세계 상황을 반영하여 국가가 나아갈 방향을 조정하는 중차대한 성격을 띤다. 쿠데타 발생 가능성 자체를 법적으로 원천 차단하고 사법 권력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후위기, 돌봄 위기, 고령화 사회의 대두와 인구절벽 문제, 자산 · 지역 불평등 심화, AI 기술 전환의 위험, 극우의 부상과 미중 패권 충돌 등의 복합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담대한 개헌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현재 정부와 여당은 이번 개헌 의제를 대통령의 책임 강화 및 권한 분산, 검찰 권력 약화, 지방 분권화, 기본권 강화 정도에 한정하려고 한다. 한편 제1야당은 백년지대계 차원의 개헌은커녕 여당의 개헌 제안을 빌미로 어떻게 ‘전쟁 정치’를 계속할 것인지에만 골몰하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 상황에 개입하여 시민들이 주도하는 새 헌법 만들기 운동을 촉발하고 촉구하기 위해 기획되고 집필되었다.

이 책의 초점과 가치는 민주주의 위기, 복합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새로운 국가비전(국가공동체의 기본적 번영 가치)을 저자들이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사회의 공화화, 돌봄 사회의 구축, 녹색 국가의 정립이 바로 그것으로, 저자들은 바로 이 가치들이 새 헌법과 공화국의 기본 가치, 시대 가치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화’ 편의 저자는 그간 ‘민주화’에만 집중되었던 역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화주의적 민주주의가 필요함을 역설하면서 공동선의 정치, 존엄의 평등에 대한 지향 그리고 시민적 참여의 확대라는 민주적 공화주의의 세 핵심 원리를 제시한다. ‘돌봄’ 편에서는 현 정부 국정목표의 하나인 ‘기본이 튼튼한 사회’의 ‘기본’이 ‘돌봄’이라는 언어로 이야기된다. 돌봄이야말로 불평등, 경쟁, 차별과 혐오, 기후위기의 심화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현 우리 사회에 시급히 요청되는 가치라는 인식하에서 돌봄 가치의 헌법 명기, 돌봄 사회 구축을 위한 법과 제도가 제안된다. 한편 ‘녹색’ 편의 저자들은 한국의 기존 헌법들에 ‘녹색’ 가치가 결여되었던 역사적 이유에 대한 고찰에서 시작하여 ‘녹색’ 헌법의 필요, ‘녹색’ 헌법의 지향과 내용을 밝힌다. 보론에서는 지속가능성 위기 문제를 여러 참여 주체가 다루는 헌법상 공론화 기구로서 가칭 ‘국가지속가능미래회의’가 제안된다.

물론 이번 개헌이 성사되더라도 이 공화, 돌봄, 녹색 가치를 전부 만족스럽게 담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우리는 장기적인 생존과 번영의 청사진을 스스로에게 제시해야만 하는 역사적 시점에 이미 당도해 있다.

개헌의 방식이 ‘국민주권시대’라는 표어에 걸맞는 것이어야 한다는 주장도 담겼다. 이번 개헌 과정이 국가의 일부 정치세력이 아니라 시민이 주도하고 주된 목소리를 가지는 개헌 과정이 되어야 하며, 그렇기 위해서는 개헌안 작성 과정에의 시민 참여를 보장하는 별도 법안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시민들의 공론장·정치 참여 확대를 위한 공론화기본법, 시민의회법 제정 제안도 실렸다.

부록도 주목을 요한다. 부록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꾸려지던 1919년부터 헌법의 기본 가치를 명기한 중요한 문서들이 엄선되어 실렸다. 또한 녹색 헌법 만들기에 참조할 만한 해외의 헌법 문구와 조항, 헌법의 위상을 갖는 헌장이 실렸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