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을 섬긴 왕, 세종이 꿈꾼 나라

정도상 외 1명 지음 | 시대의창 펴냄

백성을 섬긴 왕, 세종이 꿈꾼 나라 (소설가와 아나운서가 만나 세종을 이야기하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4.8.11

페이지

232쪽

상세 정보

MBC 특집 다큐멘터리에서 못다한 이야기를 담은 책.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상파 방송 3사를 통틀어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에 대한 제대로 된 다큐멘터리가 거의 없던 실정이었다. 당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제작에 나선 사람은 다큐멘터리 전문 PD가 아닌 MBC 최재혁 아나운서였다.

세종과 한글에 대한 변변한 다큐멘터리 하나 없다는 현실에 방송인으로서 부끄러움을 느꼈다던 그는 아나운서가 다큐멘터리를 만든다는 비아냥거림 속에서 몇 번의 실패 끝에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를 방송에 내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일은 7년이나 계속되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최재혁 아나운서가 영상을 통해 다 담아내지 못했던 세종에 대한 이야기를 소설가 정도상과 함께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남북한을 오가며 <겨레말큰사전>이라는 통일대국어사전을 만들고 있는 소설가 정도상은 세종대왕과 한글에 대한 이야기를 새로운 관점에서 풀어썼다.

특히 두 저자는 역사적 기록에만 의존하지 않았다. 소설가와 아나운서라는 개성 있는 직업적 상상력을 통해 600여 년 전의 풍경을 실감나게 구현해낸 것이다. 또 이 책은 '다르다'에서 출발한다. 즉 '세종이 조선의 다른 왕들과 어떻게 다른가'에 초점을 맞춰 세종의 '다른 내면'을 읽기 위해 노력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푸토님의 프로필 이미지

푸토

@puto6vxg

  • 푸토님의 요람 행성 게시물 이미지

요람 행성

박해울 지음
읻다 펴냄

읽었어요
43분 전
0
초심80님의 프로필 이미지

초심80

@chosimgmql

  • 초심80님의 위키드 6 게시물 이미지

위키드 6

그레고리 머과이어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1시간 전
0
정은님의 프로필 이미지

정은

@jungeun

  • 정은님의 밀실살인게임 2.0 게시물 이미지

밀실살인게임 2.0

우타노 쇼고 지음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펴냄

읽었어요
1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MBC 특집 다큐멘터리에서 못다한 이야기를 담은 책.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상파 방송 3사를 통틀어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에 대한 제대로 된 다큐멘터리가 거의 없던 실정이었다. 당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제작에 나선 사람은 다큐멘터리 전문 PD가 아닌 MBC 최재혁 아나운서였다.

세종과 한글에 대한 변변한 다큐멘터리 하나 없다는 현실에 방송인으로서 부끄러움을 느꼈다던 그는 아나운서가 다큐멘터리를 만든다는 비아냥거림 속에서 몇 번의 실패 끝에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를 방송에 내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일은 7년이나 계속되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최재혁 아나운서가 영상을 통해 다 담아내지 못했던 세종에 대한 이야기를 소설가 정도상과 함께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남북한을 오가며 <겨레말큰사전>이라는 통일대국어사전을 만들고 있는 소설가 정도상은 세종대왕과 한글에 대한 이야기를 새로운 관점에서 풀어썼다.

특히 두 저자는 역사적 기록에만 의존하지 않았다. 소설가와 아나운서라는 개성 있는 직업적 상상력을 통해 600여 년 전의 풍경을 실감나게 구현해낸 것이다. 또 이 책은 '다르다'에서 출발한다. 즉 '세종이 조선의 다른 왕들과 어떻게 다른가'에 초점을 맞춰 세종의 '다른 내면'을 읽기 위해 노력했다.

출판사 책 소개

“중요한 것은 세종에게 입혀진 성군의 옷을 벗기는 일이었다.
성군의 옷을 벗기고 ‘이도’를 드러내는 것, 600년이라는 아득한 세월을 거슬러
그날의 구름과 바람, 궁궐 지붕 위의 어처구니들 사이로 비끼는 저녁노을
그리고 창호지에 그림자를 만들어내는 촛불의 풍경 속으로 성클 걸어가고자 했다.”
- <프롤로그> 중에서 -

MBC 특집 다큐멘터리에서 못다한 이야기
세종 28년(1446년)에 《훈민정음》이란 이름으로 반포된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아름다운 문자로 일컬어지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세종대왕의 창작물인 한글을 60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애용하고 있다. 게다가 한글은 우리나라를 ‘IT강국’으로 이끈 일등 공신이다. 누구나 쉽게 배우고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지상파 방송 3사를 통틀어 세종대왕과 한글 창제에 대한 제대로 된 다큐멘터리가 거의 없던 실정이었다. 당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제작에 나선 사람은 다큐멘터리 전문 PD가 아닌 MBC 최재혁 아나운서였다. 세종과 한글에 대한 변변한 다큐멘터리 하나 없다는 현실에 방송인으로서 부끄러움을 느꼈다던 그는 아나운서가 다큐멘터리를 만든다는 비아냥거림 속에서 몇 번의 실패 끝에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를 방송에 내보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일은 7년이나 계속되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다. 최재혁 아나운서가 영상을 통해 다 담아내지 못했던 세종에 대한 이야기를 소설가 정도상과 함께 한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남북한을 오가며 <겨레말큰사전>이라는 통일대국어사전을 만들고 있는 소설가 정도상은 세종대왕과 한글에 대한 이야기를 새로운 관점에서 풀어썼다. 특히 두 저자는 역사적 기록에만 의존하지 않았다. 소설가와 아나운서라는 개성 있는 직업적 상상력을 통해 600여 년 전의 풍경을 실감나게 구현해낸 것이다. 또 이 책은 ‘다르다’에서 출발한다. 즉 ‘세종이 조선의 다른 왕들과 어떻게 다른가’에 초점을 맞춰 세종의 ‘다른 내면’을 읽기 위해 노력했다.

우리가 아는 세종, 우리가 모르는 이도
‘양녕은 정말 폐륜아였을까?’ ‘충녕은 정말 왕위에 관심이 없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 책은 시작한다. 즉 우리가 그동안 교과서에서 그리고 드라마에서 봐왔던 고착화된 세종과 양녕의 이미지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그리고 세종이 조선의 다른 왕들과 어떻게 달랐는지 그래서 어떻게 천문학과 음악을 연구하고 중국과 전혀 ‘다른’ 문자 한글을 창제할 수 있었는지 이야기한다. 저자들은 그 이유를 세종의 ‘이단성’에서 찾는다. 금기를 넘어서고자 했던 세종의 이단성이야말로 개국 초기의 불안정한 조선을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국가로 만들 수 있었던 힘이라는 것이다. 또 저자들은 ‘성군’이라고 덧씌워졌던 세종의 이미지를 벗기려고 노력했다. 부정적 의미의 세종 깎아내리기가 아닌 인간 ‘이도’의 모습을 드러냄으로써 세종의 실존에 조금 더 다가가려고 한 것이다. 아울러 책 말미에는 디자이너 이상봉의 이야기를 통해 세계 속의 한글의 위상을 살펴본다.
우리는 세종대왕을 우리 입맛에 맞게 단순화시켜왔다. 세종의 리더십 그리고 성품에만 초점을 맞춘 채 우리가 필요한 부분만 꺼내 상품화시켜온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 말하는 세종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세종의 모습과는 많이 다르다. 세종의 본 보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책은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대화와 소통을 통해 선진 조선을 이끌었던 세종 그리고 끊임없이 금기를 넘어서려고 노력했던 세종의 모습은, 권력과 힘으로 세상을 움직이려는 21세기 대한민국의 모습과 극명히 대비된다. 우리 사회가 어떤 방식으로 소통하고 나아가야 하는지 그 해결의 실마리를 담고 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