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경

조정래 지음 | 해냄 펴냄

대장경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7,500원 10% 15,75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0.12.1

페이지

364쪽

상세 정보

1976년 민족문학대계의 일환으로 집필한 조정래 작가의 첫 번째 장편소설. 해인사 고려대장도감판대장경의 조성과정을 소재로, 외적의 침탈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약소국의 설움과 위정자의 학정에 시달리다 죽음의 길로 내몰리는 백성들의 피폐한 삶을 지켜보는 어느 비판적 지식인의 고뇌를 그리고 있다.

인해전술로 무장한 몽골군의 침탈에 핍박받을 수밖에 없었던 작은 나라 백성들의 설움, 간악한 위정자들의 모략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살려보겠다는 마음으로 당당히 죽음의 길을 가는 민초들의 피폐한 삶을 지켜보는 비판적 지식인인 수기대사의 심리가 세세하게 그려진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이 땅에 살아 숨쉬는 '시공을 초월한 민중의 예술혼'을 이야기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h_yeongee님의 프로필 이미지

h_yeongee

@h_yeongee

  • h_yeongee님의 완전한 행복 게시물 이미지

완전한 행복

정유정 (지은이) 지음
은행나무 펴냄

읽었어요
1분 전
0
미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미리

@miriju4k

18. 🌱어떤 아름다움은 사람들을 짓누를 수 있다는 걸 현진은 그날 알게 되었다. 영실은 예의를 갖추면서도 단호하고 명확하게 책임 소재를 분명히 했고, 현진의 볼에 난 상처에 대한 치료비까지 그 안하무인의 여자에게 받아냈다.

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이희주 외 6명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고있어요
3분 전
0
이미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미연

@yimiyeonohbu

정해연 소설답게 끝까지 긴장감을 놓칠 수 없다

2인조

정해연 지음
엘릭시르 펴냄

11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1976년 민족문학대계의 일환으로 집필한 조정래 작가의 첫 번째 장편소설. 해인사 고려대장도감판대장경의 조성과정을 소재로, 외적의 침탈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는 약소국의 설움과 위정자의 학정에 시달리다 죽음의 길로 내몰리는 백성들의 피폐한 삶을 지켜보는 어느 비판적 지식인의 고뇌를 그리고 있다.

인해전술로 무장한 몽골군의 침탈에 핍박받을 수밖에 없었던 작은 나라 백성들의 설움, 간악한 위정자들의 모략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살려보겠다는 마음으로 당당히 죽음의 길을 가는 민초들의 피폐한 삶을 지켜보는 비판적 지식인인 수기대사의 심리가 세세하게 그려진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이 땅에 살아 숨쉬는 '시공을 초월한 민중의 예술혼'을 이야기한다.

출판사 책 소개

국난 앞에 책임회피로 일관하는 부패한 정치권력 앞에
불심(佛心)과 애국심(愛國心)으로 무장한 민초들의 의지!
대하소설 『아리랑』에 이어 오페라 무대에 오르는 장편소설 『대장경』


나이 마흔에 시작해 20년 동안『태백산맥』『아리랑』『한강』이라는 대하소설 세 작품 총 32권을 집필해 1300만 독자들을 감동시킨 작가가 처음으로 세상에 내놓은 장편소설은 어떤 작품일까? 집필의 시초이며 작가정신의 원점이라 부를 만한 작품에서 작가는 무엇에 집중했을까?
1976년 민족문학대계의 일환으로 집필한 조정래 작가의 첫 번째 장편소설『대장경』은 해인사 고려대장도감판대장경의 조성과정을 소재로 민중의 힘과 의지를 소설화한 작품이다. 인해전술로 무장한 몽골군의 침탈에 핍박받을 수밖에 없었던 작은 나라 백성들의 설움, 간악한 위정자들의 모략에도 불구하고 나라를 살려보겠다는 마음으로 당당히 죽음의 길을 가는 민초들의 피폐한 삶을 지켜보는 비판적 지식인인 수기대사의 심리가 세세하게 그려진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이 땅에 살아 숨쉬는 ‘시공을 초월한 민중의 예술혼’을 이야기한다.
1980년 민예사에서 처음으로 출간되고 1991년 민족과문학사에서 재출간되며 2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고, 1999년 해냄출판사에서 작가의 초기작들을 모두 모아 재편집한 <조정래 문학전집>(전9권)의 첫 번째 책으로 출간된 이후 지금까지 약 10만 부가 꾸준히 판매됨으로써 첫 출간 이후 총 30만 독자들에게 예술적 영감을 전달해 온 조정래 문학의 원점에 해당하는 이 작품은 2011년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을 앞두고 오는 12월 5일 경상남도 창원에서 오페라 <대장경>으로 각색, 공연되어 대중과 다시 만난다.
몽골군의 침략으로 수도를 강화도로 옮기고 시름에 빠져 있는 고려 고종, 패전의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대장경을 재건하자는 얄팍한 술수로 대응하는 위정자 무리, 백성들이 받을 또 다른 수탈을 염려해 극구 반대하는 수기대사가 지배층의 한 축이라면, 천민의 후손이지만 대대로 이어 내려온 목수 일을 천직이라 생각하며 온 정신을 쏟는 근필과 몽골군에 의해 부모와 누이들을 하루아침에 잃은 양반의 자제 장균은 고통받는 백성을 대표하는 인물에 해당한다. 작가는 국난에 대처하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팔만대장경』이 나라 잃은 민중들의 순정한 나라 사랑과 고결한 신앙심의 합일로 이루어진 청정한 영혼의 꽃임을 쓰고자 했다(「작가의 말」중에서).”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겠다는 백성들의 땀과 의지, 마침내 이 땅에 뿌리내린 민족의 큰 뜻이 살아 있는 장편소설 『대장경』은 오늘의 독자들에게 나라와 민족의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뜻 깊은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