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키즘

하승우 지음 | 책세상 펴냄

아나키즘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2,000원 10% 10,8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08.11.25

페이지

156쪽

상세 정보

'비타 악티바 개념사'는 한국 사회와 현대 세계를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열쇠가 되는 사회과학 개념들을 뽑아 그 의미와 역사, 실천적 함의를 해설하는 시리즈다. 이 책은 권위와 규제에 반대하는 아나키즘, 차이와 자치의 사상으로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아나카즘에 대해서 알아본다.

아나키즘을 무정부주의로만 받아들이는 것은 아나키즘을 오해하는 것이며, 이 한 가지 틀로만 해석하면 아나키즘의 다채로운 면들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 아나카즘을 삶의 신념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아나키즘을 단순히 '무정부주의'로 번역하지 않는다. 이들은 '반강권주의'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말한다. 아나키즘은 국가만이 아니라 시장의 폭력에 맞서고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제와 생태계를 파괴하는 개발주의에도 반대하기 때문이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검정매직님의 프로필 이미지

검정매직

@geomjungmaejik

더욱 미궁 속으로...

소설가를 위한 소설쓰기

제임스 스콧 벨 지음
다른 펴냄

1분 전
0
검정매직님의 프로필 이미지

검정매직

@geomjungmaejik

  • 검정매직님의 소설가를 위한 소설쓰기 게시물 이미지

소설가를 위한 소설쓰기

제임스 스콧 벨 지음
다른 펴냄

읽었어요
2분 전
0
한희승님의 프로필 이미지

한희승

@9chhah

  • 한희승님의 아주 작은 죽음들 게시물 이미지

아주 작은 죽음들

브루스 골드파브 지음
알에이치코리아(RHK) 펴냄

읽었어요
38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비타 악티바 개념사'는 한국 사회와 현대 세계를 이해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열쇠가 되는 사회과학 개념들을 뽑아 그 의미와 역사, 실천적 함의를 해설하는 시리즈다. 이 책은 권위와 규제에 반대하는 아나키즘, 차이와 자치의 사상으로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아나카즘에 대해서 알아본다.

아나키즘을 무정부주의로만 받아들이는 것은 아나키즘을 오해하는 것이며, 이 한 가지 틀로만 해석하면 아나키즘의 다채로운 면들을 깨닫지 못하게 된다. 아나카즘을 삶의 신념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아나키즘을 단순히 '무정부주의'로 번역하지 않는다. 이들은 '반강권주의'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말한다. 아나키즘은 국가만이 아니라 시장의 폭력에 맞서고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제와 생태계를 파괴하는 개발주의에도 반대하기 때문이다.

출판사 책 소개

권위와 규제에 반대하는 아나키즘, 차이와 자치의 사상으로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아나키즘
흔히 아나키즘은 ‘무정부주의’로 번역되며 국가를 부정하는 불온하고 허황된 사상, 폭력과 테러리즘과 연관된 위험한 사상으로 알려져 있다. 정치학자이자 현실에서 아나키스트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며 실천하고 있는 저자는 삶의 신념으로서의 아나키즘은 무정부주의가 아니라 ‘반강권주의’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말한다. 아나키즘은 국가만이 아니라 시장의 폭력과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제와 생태계를 파괴하는 개발주의 등 강압적이고 억압적인 모든 권력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이 책은 아나키즘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하나하나 지적하는 가운데 차이와 자치의 사상으로 새로운 사회를 꿈꾸는 아나키즘의 참모습을 소개하고, 세계 및 한국 아나키즘의 역사를 추적한다.
아나키즘의 이론적 선구자인 고드윈뿐만 아니라 맹자와 노자, 묵가 등 동양의 사유 전통에서 아나키즘의 맹아를 찾는 저자는 러시아와 유럽, 미국, 동양, 한국으로 나누어 아나키즘의 역사를 일별한 후 소유는 곧 도둑질이라고 주장한 프루동, 국가를 악으로 규정한 바쿠닌, 상호부조를 바탕으로 모든 것의 공동 소유를 주장한 크로포트킨, 자율적이고 분권화된 생태 공동체를 제시한 머레이 북친을 거쳐, 식민지 현실에서 직접 행동만이 혁명을 쟁취할 수 있다고 본 신채호와 농업의 중요성과 상호부조를 강조하면서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한 유자명에 이르는 사상의 흐름을 차례로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아나키즘을 둘러싼 논쟁의 역사를 탐색한 후, 강력한 중앙집중화 현상, 국가주의, 집단주의와 획일주의 등 한국 사회의 억압적 문화와 의식에 아나키즘이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