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0.8.20
페이지
144쪽
상세 정보
제37회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작 [시골의 어느 하루]의 원작 소설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피에르 보스트의 대표작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시종일관 잔잔한 문체로 가족의 소중함과 칠십이 넘은 한 노인의 내면에서 이는 삶과 죽음 사이의 개인적 고민을 완벽하게 그려내며 '시간이 흐를수록 깊이가 느껴지는 작품'이라는 세간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주인공 라드미랄 씨는 칠십이 넘은 노인으로, 프랑스 최고 권위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은 이름 난 화가이다. 다소 괴팍한 성격의 이 노인은 일요일마다 찾아오는 아들 가족과의 만남이 삶의 유일한 낙이자, 의미이다. 아버지의 평온한 노후를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한 아들과, 욕망을 감추지 않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딸의 대립이 소설의 뼈대를 이루는 중심축이다.
작가는 한적한 시골 마을에 위치한 라드미랄 씨의 집과 일요일 하루라는 극히 제한적인 시공간 안에서 각기 다른 인물들이 갈등을 겪으며 그로 인한 감정의 충돌을 내면으로 밀어 넣고, 서로 상처를 끌어안으려는 모습을 위태롭게 그려냈다. 한 노화가의 생의 마지막 휴식을 잔잔하게 묘사한 파스텔화 같은 작품이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Sarinaa_dayo
@ptgkfbcvzsoh
어느 노 화가의 하루
2명이 좋아해요
상세정보
제37회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작 [시골의 어느 하루]의 원작 소설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피에르 보스트의 대표작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시종일관 잔잔한 문체로 가족의 소중함과 칠십이 넘은 한 노인의 내면에서 이는 삶과 죽음 사이의 개인적 고민을 완벽하게 그려내며 '시간이 흐를수록 깊이가 느껴지는 작품'이라는 세간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주인공 라드미랄 씨는 칠십이 넘은 노인으로, 프랑스 최고 권위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은 이름 난 화가이다. 다소 괴팍한 성격의 이 노인은 일요일마다 찾아오는 아들 가족과의 만남이 삶의 유일한 낙이자, 의미이다. 아버지의 평온한 노후를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한 아들과, 욕망을 감추지 않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딸의 대립이 소설의 뼈대를 이루는 중심축이다.
작가는 한적한 시골 마을에 위치한 라드미랄 씨의 집과 일요일 하루라는 극히 제한적인 시공간 안에서 각기 다른 인물들이 갈등을 겪으며 그로 인한 감정의 충돌을 내면으로 밀어 넣고, 서로 상처를 끌어안으려는 모습을 위태롭게 그려냈다. 한 노화가의 생의 마지막 휴식을 잔잔하게 묘사한 파스텔화 같은 작품이다.
출판사 책 소개
제37회 칸영화제 감독상 수상작 〈시골의 어느 하루〉 원작 소설
한 노화가의 생의 마지막 휴식을 잔잔하게 묘사한 파스텔화 같은 작품
“시간이 흐를수록 이 소설의 깊이는 더해질 것이다!”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피에르 보스트의 대표작
소설가이자 극작가, 신문기자로도 활동하며 1900년대 초반 유럽 문단에 신선한 바람을 몰고 왔던 프랑스 작가 피에르 보스트의 소설이 한국에 처음 소개됐다.
이 작품은 다양한 문학텍스트를 영화로 옮기는 작업에 진척했던 작가가 남긴 순수 창작물 중 가장 많은 호평을 받았던 그의 대표작이다. 작가는 이 작품을 통해 시종일관 잔잔한 문체로 가족의 소중함과 칠십이 넘은 한 노인의 내면에서 이는 삶과 죽음 사이의 개인적 고민을 완벽하게 그려내며 “시간이 흐를수록 깊이가 느껴지는 작품”이라는 세간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이 작품은 작가 사후인 1984년에 베르트랑 타베르니에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져, 제39회 칸영화제 감독상을 비롯, 제49회 뉴욕 비평가 협회상 최우수 외국영화상 부문과 제5회 런던 비평사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 부문 등을 휩쓸며, 전 세계 영화인들에게 최고의 찬사를 받았다.
가족이라는 굴레와 개인 욕망의 충돌
작가는 한적한 시골 마을에 위치한 라드미랄 씨의 집과 일요일 하루라는 극히 제한적인 시공간 안에서 각기 다른 인물들이 갈등을 겪으며 그로 인한 감정의 충돌을 내면으로 밀어 넣고, 서로 상처를 끌어안으려는 모습을 위태롭게 그려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라드미랄 씨는 칠십이 넘은 노인으로, 프랑스 최고 권위의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은 이름 난 화가이다. 다소 괴팍한 성격의 이 노인은 일요일마다 찾아오는 아들 가족과의 만남이 삶의 유일한 낙이자, 의미이다. 아들 또한 황혼에 접어든 아버지를 위해 자신과 자신의 가족에게 희생을 강요한다. 오직 이 노인의 딸이자, 둘째인 이렌느만이 자신만을 위한 삶을 살아가는 이기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이렌느는 극 중반에 등장해, 시종일관 잔잔한 분위기로 일관하던 흐름을 깨고, 등장인물들 간의 갈등을 유발시키며 극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아버지의 평온한 노후를 위해 자신의 삶을 희생한 아들과, 욕망을 감추지 않고 자신의 감정에 솔직한 딸의 대립은 이 소설의 뼈대를 이루는 중심축이다. 이러한 인간 감정의 양면성은 극의 중반 이후부터 끊임없이 대립하며 절정으로 치닫지만, 결국 자동차를 타고 런던으로 떠나면서 이렌느가 느끼는 아버지에 대한 연민으로 인해 모든 갈등이 소멸된다.
결국, 가족에 대한 소중함과 한 개인이 느끼는 욕망은 끊임없이 서로를 감싸기도,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면서 단단해져 가는 것이라고 이 소설은 말하고 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