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06.8.15
페이지
522쪽
상세 정보
독일의 대문호 괴테의 희곡 <파우스트 - 한 편의 비극>을 완역했다. 2부 12,111행으로 이루어진 <파우스트>는 괴테가 60여 년에 걸쳐 집필한 필생의 역작으로, 독일은 물론 세계 문학사상 가장 위대한 문학 작품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파우스트>는 학자의 길을 버리고 세상 속으로 뛰어들어 인류에게 주어진 모든 것을 체험하려는 파우스트와 그를 유혹하기로 신과 내기를 한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장구한 노정을 그린다. 성서와 서양 고전 텍스트는 물론 다양한 형식과 상징, 알레고리 기법을 차용한 이 희곡을, 괴테 자신은 '괴테라는 이름을 가진 집단의 작품'으로 규정하였다.
<파우스트>는 국내에서도 이미 20여 차례 이상 번역되었고 고전 필독서가 된 지 오래다. 이 책은 정본으로 공인된 도이처 클라시커(Deutscher Klassiker) 사의 <파우스트>를 텍스트로 삼아, 함부르크 판본을 번역본으로 삼은 기존 번역에서 누락된 부분을 복원하고 오역을 바로잡았다.
1994년 도이처 클라시커판 괴테 전집이 출간되었을 당시, 독일의 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은 "이제야 충분하다"라는 표제와 함께 "우리 시대 처음으로 괴테의 저작에 온전하고도 새롭게 다가갈 수 있다"는 내용의 서평을 실은 바 있다. 이 전집 가운데, <파우스트> 편집자인 쇠네(Albrecht Scho"ne)는 괴테의 친필 원고에는 들어 있으나, 출간 당시 삭제되었던 텍스트를 엄밀한 고증을 통해 복원했다.
쇠네의 판본을 옮긴 독문학자 김수용 교수는 지나친 의역을 경계하고 원문의 의미를 정확히 살리면서도, <파우스트>에 대한 자신의 문제의식을 부각시키는 번역을 택했다. 2004년 <괴테 파우스트 휴머니즘 - 신이 떠난 자리에 인간이 서다>에서 파우스트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시도한 바 있다. <파우스트>를 반성적, 성찰적 현대성에 대한 텍스트로 보면서 <파우스트 - 한 편의 비극>의 번역에도 이러한 해석을 녹여냈다.
추천 게시물
Ria
@riavi0v
경애의 마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아쉬워벌써12시
@lezad
급류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여리박빙
@ya3388
나무의 시간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0 /70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7 /18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2025년 상반기 독서 챌린지(경기도청 북부청사)
무료 · 95 /제한 없음
상세정보
독일의 대문호 괴테의 희곡 <파우스트 - 한 편의 비극>을 완역했다. 2부 12,111행으로 이루어진 <파우스트>는 괴테가 60여 년에 걸쳐 집필한 필생의 역작으로, 독일은 물론 세계 문학사상 가장 위대한 문학 작품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는다.
<파우스트>는 학자의 길을 버리고 세상 속으로 뛰어들어 인류에게 주어진 모든 것을 체험하려는 파우스트와 그를 유혹하기로 신과 내기를 한 악마 메피스토펠레스의 장구한 노정을 그린다. 성서와 서양 고전 텍스트는 물론 다양한 형식과 상징, 알레고리 기법을 차용한 이 희곡을, 괴테 자신은 '괴테라는 이름을 가진 집단의 작품'으로 규정하였다.
<파우스트>는 국내에서도 이미 20여 차례 이상 번역되었고 고전 필독서가 된 지 오래다. 이 책은 정본으로 공인된 도이처 클라시커(Deutscher Klassiker) 사의 <파우스트>를 텍스트로 삼아, 함부르크 판본을 번역본으로 삼은 기존 번역에서 누락된 부분을 복원하고 오역을 바로잡았다.
1994년 도이처 클라시커판 괴테 전집이 출간되었을 당시, 독일의 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은 "이제야 충분하다"라는 표제와 함께 "우리 시대 처음으로 괴테의 저작에 온전하고도 새롭게 다가갈 수 있다"는 내용의 서평을 실은 바 있다. 이 전집 가운데, <파우스트> 편집자인 쇠네(Albrecht Scho"ne)는 괴테의 친필 원고에는 들어 있으나, 출간 당시 삭제되었던 텍스트를 엄밀한 고증을 통해 복원했다.
쇠네의 판본을 옮긴 독문학자 김수용 교수는 지나친 의역을 경계하고 원문의 의미를 정확히 살리면서도, <파우스트>에 대한 자신의 문제의식을 부각시키는 번역을 택했다. 2004년 <괴테 파우스트 휴머니즘 - 신이 떠난 자리에 인간이 서다>에서 파우스트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시도한 바 있다. <파우스트>를 반성적, 성찰적 현대성에 대한 텍스트로 보면서 <파우스트 - 한 편의 비극>의 번역에도 이러한 해석을 녹여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