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최형선 지음 | 부키 펴냄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살아남은 동물들의 비밀)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000원 10% 14,4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1.3.25

페이지

256쪽

상세 정보

지구 생태계 대표 동물들의 아름다운 진화 이야기. 치타 얼굴에는 왜 까만 줄이 있을까? 고래는 왜 바다로 들어갔을까? 치타, 캥거루, 코끼리, 박쥐, 고래 등 친숙한 동물들에게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비밀이 숨어 있다. 사막, 바다, 초원 등지에서 늘 평화롭게 지내는 듯 보이는 동물들. 하지만 이들은 수천만 년 전부터 극한의 어려움과 생존 경쟁 속에서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가까스로 살아남은 것이다.

이 책은 여덟 종의 지구 생태계 대표 동물들이 어떻게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생존 방식을 찾아냈고 나아가 공존의 기쁨을 함께 누리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치타는 포식 동물이지만 이빨과 얼굴이 너무 작아 속도만으로 승부를 지어야 했고, 줄기러기는 번식을 위해 에베레스트를 일 년에 두 번이나 넘는다. 박쥐는 1천 종류가 넘어서 먹이부터 사는 방식까지 정말 다양하다. 이들의 새로운 모습은 친구의 진심을 알게 된 것 같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가가책방님의 프로필 이미지

가가책방

@zdkwlfg0s5br

동물의 진화 원리가 궁금할 때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최형선 지음
부키 펴냄

읽었어요
2015년 12월 5일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지구 생태계 대표 동물들의 아름다운 진화 이야기. 치타 얼굴에는 왜 까만 줄이 있을까? 고래는 왜 바다로 들어갔을까? 치타, 캥거루, 코끼리, 박쥐, 고래 등 친숙한 동물들에게는 우리가 미처 알지 못한 비밀이 숨어 있다. 사막, 바다, 초원 등지에서 늘 평화롭게 지내는 듯 보이는 동물들. 하지만 이들은 수천만 년 전부터 극한의 어려움과 생존 경쟁 속에서 진화에 진화를 거듭해 가까스로 살아남은 것이다.

이 책은 여덟 종의 지구 생태계 대표 동물들이 어떻게 다양한 환경 속에서 자신만의 생존 방식을 찾아냈고 나아가 공존의 기쁨을 함께 누리게 되었는지 보여준다. 치타는 포식 동물이지만 이빨과 얼굴이 너무 작아 속도만으로 승부를 지어야 했고, 줄기러기는 번식을 위해 에베레스트를 일 년에 두 번이나 넘는다. 박쥐는 1천 종류가 넘어서 먹이부터 사는 방식까지 정말 다양하다. 이들의 새로운 모습은 친구의 진심을 알게 된 것 같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출판사 책 소개

동물원에 간다고 동물을 이해할 수 있을까
-생태와 진화로 풀면 동물이 새롭게 보인다


이 책에는 여덟 종의 동물이 등장한다. 치타, 기러기, 낙타, 원숭이, 박쥐, 캥거루, 코끼리, 고래. 모두 익숙한 동물들이다. 우리는 이 동물들에 대해 충분히 안다고 생각한다. 치타는 100미터를 3초에 달린다, 기러기는 철새다, 낙타는 사막에 산다, 원숭이 엉덩이는 빨갛다, 박쥐는 동굴에 거꾸로 매달려 지낸다…. 그런 당신에게 이 책은 묻는다. 낙타는 왜 사막으로 갔을까? 선문답 같다. 낙타는 당연히 사막에 사는 동물이 아니던가.

결론부터 말하면, 낙타가 처음부터 사막에 산 것은 아니다. 화석 자료에 따르면, 4500만 년 전 지구에 나타난 낙타는 수천만 년 동안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번성했다. 그리고 180만 년 전 빙하기에, 알래스카와 시베리아 사이의 베링해협이 베링육교로 연결되자 낙타는 이주를 감행했다. 아시아 서쪽까지, 일부는 아프리카까지. 낙타는 아메리카들소, 아시아에서 넘어온 마스토돈 등 거센 동물들과의 경쟁에서 밀린 것이 분명해 보인다. 사막에 사는 이유도 그래서일까. 아프리카에서 대형 초식동물은 먹이가 풍부한 사바나 초원에서 무리지어 산다. 사막 같은 극한의 환경에서는 낙타 같은 몸집 큰 동물을 찾아보기 어렵다. 하지만 낙타는 먹고 먹히는 초원을 떠나 사막으로 갔다. 그게 낙타의 생존법이었다. 모래사막에 서 있는 낙타의 의연한 모습은, 그리하여 오늘도 시인들의 시심(詩心)을 자극한다.

낙타는 어떻게 사막에서 살 수 있을까. 결코 그냥 견디는 것이 아니다. 익히 알고 있듯이 낙타는 혹 속의 지방을 분해해서 영양분으로 쓸 수 있다. 하지만 이 정도 대비책으로는 사막에서 살 수 없다. 낙타는 우선 다리가 길다. 사막 지표면 쪽 온도는 60∼70도. 낙타 몸통 쪽은 10도 정도 더 낮다. 발바닥에는 지방으로 된 쿠션이 있다. 모래에 빠지지 않는 이유다. 코에는 근육이 있다. 코를 닫으면 모래바람을 막을 수 있다. 귓속 털도 같은 역할을 한다. 울어도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눈물은 코와 연결된 관을 통해 도로 몸으로 들어가 수분 낭비가 없다. 털은 열을 막는다. 털을 깎으면 수분의 50퍼센트가 땀으로 증발된다. 더욱 놀라운 것은 체온과 수분까지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다. 낙타는 체온이 41도가 넘어야 땀을 흘린다. 적혈구는 길쭉한 모양으로 탈수 상태에서도 혈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책은 이처럼 수천만 년 전부터 진화에 진화를 거듭하여 오늘에 이른 동물들의 발자취를 보여주고, 익숙한 동물들의 아주 작은 부분까지 환경에 맞춰졌다는 것을 꼼꼼히 짚어준다. 치타는 포식 동물이지만 이빨과 얼굴이 너무 작아 속도만으로 승부를 지어야 했고, 줄기러기는 번식을 위해 에베레스트를 일 년에 두 번이나 넘는다. 박쥐는 1천 종류가 넘어서 먹이부터 사는 방식까지 정말 다양하다. 이들의 새로운 모습은 친구의 진심을 알게 된 것 같은 감동으로 다가온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