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성, 길 위에 서다

나혜석 지음 | 호미 펴냄

신여성, 길 위에 서다 (잃어버린 풍경 3, 1920~1940)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1,000원 10% 9,9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7.3.29

페이지

293쪽

상세 정보

우리 나라 근대 여성들의 여행 이야기. 192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 대문 밖을 나와 세상 속을 거닐기 시작한 신여성들의 글을 모아 엮었다. 신여성들이 세상에 나서는 방식과 바깥 세계를 받아들이는 과정, 그들의 발길을 따라 형상화된 근대의 풍경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수록된 글 모두가 기행문은 아니다. 여성이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을 벗어나 학교와 사회라는 공적 영역으로 발을 내딛는 '외출'과 '떠남'까지 주목해 '여행기'라 칭한 것. 여고를 졸업하고도 바깥 세상으로 나아갈 수 없는 시대상이 담긴 글도 실었다. 바깥 세계로 나아가려는 당시 여성의 욕망에 견주어 현실은 얼마나 답답했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들어 보고자 한 것이다.

부산에서 유럽까지 이어진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타고 세계 만유를 한 나혜석을 비롯하여 독립 운동가 김마리아와 백신애, 우리 나라 최초의 스웨덴 유학생 최영숙, '조선의 노라'로 불린 박인덕, '학교종이 땡땡땡'으로 시작하는 동요 학교종을 만든 김메리, 소설가 박화성 등 근대를 살아간 패기 만만한 신여성들의 글을 만나볼 수 있다. 생몰을 알 수 없는 평범한 여학생들의 글, 북녘 땅 기행기도 함께 실려 있다.

엮은이의 평설은 필자와 글에 대한 보충 설명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 문화, 지리, 시대상 등을 두루 챙김으로써 신여성의 삶을 폭넓게 만나도록 돕는다. 수록된 글들은 「신여성」, 「신여자」, 「여성」, 「신가정」, 「별건곤」, 「삼천리」, 「불교」 등의 근대 잡지에서 가려 뽑은 것이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Sean님의 프로필 이미지

Sean

@sean3uud

  • Sean님의 왜곡하는 뇌 게시물 이미지

왜곡하는 뇌

다이애나 도이치 지음
에이도스 펴냄

읽었어요
56분 전
0
벨아미님의 프로필 이미지

벨아미

@belami

한 편의 드라마. 미/소/일의 그야말로 숨막히는 대결. 일본이 천황제 유지를 확보하려고 항복을 늦춘 탓에, 소련이 참전할 시간을 벌어주었고, 결과는 남북분단 그리고 한국전쟁. 전범국 일본은 책임을 피해가고, 엄한 한국만 두 동강. 강대국의 힘의 논리가 철저하게 관철되는 냉혹한 역사. 우리는 강대국이 되면 감당해낼수 있을까?

종전의 설계자들

하세가와 쓰요시 지음
메디치미디어 펴냄

1시간 전
0
프네우마님의 프로필 이미지

프네우마

@pneuma

  • 프네우마님의 블랙홀 게시물 이미지

블랙홀

브라이언 콕스 외 1명 지음
알에이치코리아(RHK) 펴냄

읽었어요
1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우리 나라 근대 여성들의 여행 이야기. 192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 대문 밖을 나와 세상 속을 거닐기 시작한 신여성들의 글을 모아 엮었다. 신여성들이 세상에 나서는 방식과 바깥 세계를 받아들이는 과정, 그들의 발길을 따라 형상화된 근대의 풍경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수록된 글 모두가 기행문은 아니다. 여성이 가정이라는 사적 영역을 벗어나 학교와 사회라는 공적 영역으로 발을 내딛는 '외출'과 '떠남'까지 주목해 '여행기'라 칭한 것. 여고를 졸업하고도 바깥 세상으로 나아갈 수 없는 시대상이 담긴 글도 실었다. 바깥 세계로 나아가려는 당시 여성의 욕망에 견주어 현실은 얼마나 답답했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들어 보고자 한 것이다.

부산에서 유럽까지 이어진 시베리아 횡단 철도를 타고 세계 만유를 한 나혜석을 비롯하여 독립 운동가 김마리아와 백신애, 우리 나라 최초의 스웨덴 유학생 최영숙, '조선의 노라'로 불린 박인덕, '학교종이 땡땡땡'으로 시작하는 동요 학교종을 만든 김메리, 소설가 박화성 등 근대를 살아간 패기 만만한 신여성들의 글을 만나볼 수 있다. 생몰을 알 수 없는 평범한 여학생들의 글, 북녘 땅 기행기도 함께 실려 있다.

엮은이의 평설은 필자와 글에 대한 보충 설명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 문화, 지리, 시대상 등을 두루 챙김으로써 신여성의 삶을 폭넓게 만나도록 돕는다. 수록된 글들은 「신여성」, 「신여자」, 「여성」, 「신가정」, 「별건곤」, 「삼천리」, 「불교」 등의 근대 잡지에서 가려 뽑은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