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4.5.10
페이지
328쪽
상세 정보
서양도 근대미술 이전에는 동양 그림처럼 읽어서 감상하는 감상법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유럽인의 정신 중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생각하는 힘, 생각하는 습관이다. 이들의 이런 특징은 미술에도 잘 나타나 있다. 미술을 통하여 생각을 기르되, 뇌 지식도 함께 기르자는 점을 기존의 초판본보다 조금 강조했다.
상세정보
서양도 근대미술 이전에는 동양 그림처럼 읽어서 감상하는 감상법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유럽인의 정신 중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생각하는 힘, 생각하는 습관이다. 이들의 이런 특징은 미술에도 잘 나타나 있다. 미술을 통하여 생각을 기르되, 뇌 지식도 함께 기르자는 점을 기존의 초판본보다 조금 강조했다.
출판사 책 소개
≪서양화 읽는 법≫을 쓴 목적은 서양도 근대미술 이전에는 동양 그림처럼 읽어서 감상하는 감상법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함이다. 유럽인의 정신 중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생각하는 힘, 생각하는 습관이다. 이들의 이런 특징은 미술에도 잘 나타나 있다. 미술을 통하여 생각을 기르되, 뇌 지식도 함께 기르자는 점을 기존의 초판본보다 조금 강조했다.
보통 우리는 그림을 보면, 우뇌로 느끼며 감상한다. 미술작품을 볼 때 맨 먼저 발생하는 생리적 과정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그치고 말면 그림 감상의 본뜻을 다 달성했다고 볼 수 없다. 좌뇌까지 써야 비로소 완전한 감상이 된다. 더욱이 근대 이전의 서양 그림은 의미가 담긴 그림이므로, 말로 되어 있는 의미를 푸는 과정인 좌뇌쓰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좌뇌로 감상한다는 말은 언어적으로, 논리적으로, 과학적으로, 분석적으로 그림을 뜯어본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 속에 담겨진 의미를 찾아내면 이것이 ‘그림 읽는’ 것이다. 천성적으로 우뇌가 발달된 한국인이 좌뇌를 발달시켜서 손해 볼 일이 없다. 이 책이 독자들에게 서양 그림의 읽는 법을 보다 익숙하게 전하고, 뇌에 대한 관심을 높여서 좌뇌발달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