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의 소멸

박민영 지음 | 인물과사상사 펴냄

낭만의 소멸 (비인간적인 세계에서 산다는 것)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000원 10% 14,4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4.2.17

페이지

408쪽

상세 정보

사람들은 보통 과거에서 낭만을 찾는데, 그 이유는 아날로그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어 어릴 적 골목길에서 친구들과 뛰어놀던 일, 좋아하는 소녀에게 설레는 마음으로 연애편지를 쓰던 일, 바닷가에서 친구들과 기타 치며 노래를 부르던 일 등은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기 이전의, 다분히 아날로그적인 세계의 경험들이다.

이러한 것들이 디지털 기술과 무한경쟁을 유발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등의 영향으로 한국 사회에서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낭만의 소멸은 사람과 사람의 사이가 갈수록 멀어지게 만든다. ‘만인에 의한 만인의 소외’, ‘자신에 의한 자기소외’가 거의 일상이 되었다. 사람들은 각자의 골방에서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의 파리한 불빛에 의지해 외로움과 쓸쓸함을 견딜 뿐이다.

그래서 이 책은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의 자화상을 ‘낭만의 소멸’에 포커스를 두고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다. 현대인에게 외로움과 쓸쓸함을 유발시키는 세계와 그 정치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휴대전화, 디지털 기술, 문화 산업, 경제권력, 일상의 문화’ 등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해, 독자들이 이러한 사회현상이 발생하게 된 정치경제적 맥락을 쉽게 이해하도록 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박진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진영

@ktyhcnwsrsg6

가르침과 깨달음을 주는 책

낭만의 소멸

박민영 지음
인물과사상사 펴냄

읽었어요
2016년 1월 20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사람들은 보통 과거에서 낭만을 찾는데, 그 이유는 아날로그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어 어릴 적 골목길에서 친구들과 뛰어놀던 일, 좋아하는 소녀에게 설레는 마음으로 연애편지를 쓰던 일, 바닷가에서 친구들과 기타 치며 노래를 부르던 일 등은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기 이전의, 다분히 아날로그적인 세계의 경험들이다.

이러한 것들이 디지털 기술과 무한경쟁을 유발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등의 영향으로 한국 사회에서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낭만의 소멸은 사람과 사람의 사이가 갈수록 멀어지게 만든다. ‘만인에 의한 만인의 소외’, ‘자신에 의한 자기소외’가 거의 일상이 되었다. 사람들은 각자의 골방에서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의 파리한 불빛에 의지해 외로움과 쓸쓸함을 견딜 뿐이다.

그래서 이 책은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의 자화상을 ‘낭만의 소멸’에 포커스를 두고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다. 현대인에게 외로움과 쓸쓸함을 유발시키는 세계와 그 정치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휴대전화, 디지털 기술, 문화 산업, 경제권력, 일상의 문화’ 등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해, 독자들이 이러한 사회현상이 발생하게 된 정치경제적 맥락을 쉽게 이해하도록 했다.

출판사 책 소개

낭만이 사라진 사회에 사는
우리의 자화상은 어떤 모습인가

해외여행이 늘어나고 있는 것은
일상에서 낭만이 사라졌다는 증거

올해 설 연휴 기간의 해외여행객은 지난해보다 7.1퍼센트 증가했다고 한다. 연휴만 되면 사람들은 너도나도 여행을 떠나기 바쁘다. 갑갑한 한국 땅에서 벗어나고 싶은 것이다. 이러한 여행은 현대인이 추구하는 최고의 낭만이 되었다. 카카오스토리나 페이스북 등의 SNS를 보면 여행 다녀온 사진들이 훈장처럼 걸려 있다. 가장 이상적인 노년의 모습도 은퇴 후 ‘부부가 손잡고 여행이나 다니며 사는 것’이 된 지 오래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은 우리의 일상이 그리 낭만적이지 못하다는 반증이다. 일상에서 벗어나 미지의 공간을 여행하며 낭만을 느끼고 싶어 하는 것은, 우리가 일상에서 약간의 낭만도 느끼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무엇이 우리에게서
낭만을 빼앗아갔나?

낭만은 기본적으로 ‘합일’의 감정이다. 다른 사람이나 미(美), 자연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함께 있는 것, 아름다운 예술품을 창조해내거나 그것을 보는 것, 산이나 바다에 가는 것은 낭만적이다. 그러나 현대인이 이러한 것들에 접근하는 것이 쉽지 않다. 현대사회에서 낭만에 대한 접근은 주로 소비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테면 사랑하는 남녀의 데이트는 소비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애인에게 선물을 사주고, 함께 영화 보고, 술 마시고, 노래방에서 노래를 부르는 식으로, 상대방을 위해 돈을 얼마 썼는지가 내가 상대방을 얼마나 사랑하는지에 대한 증명이 된다. 즉 낭만도 자본화되었다.
우리 손에 들려 있는 휴대전화도 낭만의 소멸에 일조했다. 언제 만나자는 약속과 약속 시간까지의 설레임은 사라지고 휴대전화로 인한 가벼운 약속만 남았다. 휴대전화로 매순간 소통하며 약속 시간을 유동적으로 조절하게 된 우리는 빌렘 플루서가 『디지털시대의 글쓰기』에서 말한 ‘기다림이라는 종교적인 카테고리’를 잃어버렸다(본문 25~27쪽). 편지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직접 손으로 정성스레 쓰던 편지는 과거의 유물이 되었고, 더 이상 우편배달부를 기다리지도 반기지도 않게 되었다(본문 356쪽).
이처럼 디지털 기술은 우리에게서 아날로그적 감성을 빼앗는다. 디지털이 보여주는 시각적 세계는 이미 실재보다 더 실재 같다. 이러한 과실재는 일상적인 환경이 되어버렸고, 인간의 감성과 인식에 광범위한 왜곡을 낳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아날로그적 감각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더욱 붕괴되고 있는데, 아날로그적 감성을 흉내 낸 ‘디지로그’는 그 ‘모순 속의 몸부림’일 것이다(81~82쪽).

낭만의 소멸은
인간성 파멸의 징후

사람들은 보통 과거에서 낭만을 찾는데, 그 이유는 아날로그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어 어릴 적 골목길에서 친구들과 뛰어놀던 일, 좋아하는 소녀에게 설레는 마음으로 연애편지를 쓰던 일, 바닷가에서 친구들과 기타 치며 노래를 부르던 일 등은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기 이전의, 다분히 아날로그적인 세계의 경험들이다. 이러한 것들이 디지털 기술과 무한경쟁을 유발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등의 영향으로 한국 사회에서 급속도로 사라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낭만의 소멸은 사람과 사람의 사이가 갈수록 멀어지게 만든다. ‘만인에 의한 만인의 소외’, ‘자신에 의한 자기소외’가 거의 일상이 되었다. 사람들은 각자의 골방에서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의 파리한 불빛에 의지해 외로움과 쓸쓸함을 견딜 뿐이다. 그래서 이 책은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의 자화상을 ‘낭만의 소멸’에 포커스를 두고 세밀하게 그려내고 있다. 현대인에게 외로움과 쓸쓸함을 유발시키는 세계와 그 정치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휴대전화, 디지털 기술, 문화 산업, 경제권력, 일상의 문화’ 등 다양한 시각으로 접근해, 독자들이 이러한 사회현상이 발생하게 된 정치경제적 맥락을 쉽게 이해하도록 했다.

우리 시대 이전의 삶도 그리 녹록지는 않았다. 그래도 예전에는 낭만적인 부분이 존재했다.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낭만이 전혀 없지는 않지만, 텔레비전·영화·소설에서나 발견될 정도로 희소해졌다. 그것은 억지로 만들어진 낭만, 조작된 낭만, 가짜 낭만이다. 사회 전체적으로는 낭만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낭만이 없으면 인생은 비참한 것이 되고 만다. 심지어 물질적으로 풍요로워도 그렇다. 낭만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늘어간다는 것은 위험한 사회적 징후다.(5~6쪽)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