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여성 운명과 선택

나혜석 외 6명 지음 | 에오스 펴냄

신여성 운명과 선택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4,000원 10% 12,6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9.2.11

페이지

368쪽

#근대 #문학 #여성 #페미니즘

상세 정보

억압의 억압 속에서 써낸 여성들의 글을 읽고 싶을 때
시대의 절망에 좌절하지 않고 맞섰던 그녀들의 선집

식민지 시기 여성 작가는 '선각자'라 불리는 1세대와 그에 이어 등장하여 해방 이후까지 활발한 활동을 벌인 2세대로 구분된다. 김원주, 김명순, 나혜석이 문단과 사회의 지탄을 받으며 '도덕적 파멸'이나 '작품 없는 문사'로 불렸던 것에 비교한다면, 2세대인 강경애, 백신애, 이선희 등은 문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고, 작품의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신여성, 운명과 선택>은 이 1, 2세대 여성작가들을 망라한 선집으로, 해방 이전에 사망하거나 해방 이후 월북한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조망하면서 신여성 작가들의 소설을 대표하는 두 경향, 가족과 개인의 문제와 국가와 민족의 문제를 고루 섭렵한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제국주의와 조선의 가부장제의 이중 억압에서 고통 받았으며, 자신의 현실을 개척하기 위해 싸운 선각자들이라 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이미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미연

@yimiyeonohbu

냥집사의 가벼운 그림+에세이
귀엽고 가볍게 읽기 좋다

사랑한다면 거리를 두는 게 좋아

제이미 셸먼 지음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펴냄

읽었어요
6초 전
0
울림님의 프로필 이미지

울림

@marsisred

  • 울림님의 초역 자기신뢰 게시물 이미지
[도서협찬] 불안할수록 신뢰가 필요해.


🔖
어떤 것에도 얽메이지 않고 자신의 중심을 지키는 사람은 강력하다. 그의 말은 개인적인 의견이 아니라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이 되어 사람들의 귀에 화살처럼 꽂히고, 그들읠 두렵게 만들 것이다. _에세이 제1집

어린이는 칭찬을 먹고 자라요.
저도 많은 사람들의 칭찬을 먹고 무럭무럭 자랐는데
왜 어른이 되면 될수록 자신감이 떨어질까요?

🥲
"내가 잘 하고 있나?"
"내가 틀렸으면 어쩌지?"

나를 의심하는 화살들이 생겨나면서
앞으로 나아갈 용기마저 잃어갈때
『초역 자기신뢰』 제목에 마음이 끌려요.

🔸️"내면의 직관을 의심한지 오래 되었어요."
-> "생각보다 당신은 현명한 사람입니다!"

🔹️"그 사람도 성공하지 못했는데 내가 뭘 해."
-> "과거의 한계가 아닌 나의 자격을 생각해!"

🔸️"저 사람은 특별해."
-> "당신은 더 특별해!"


🩷흔들리는 순간부터 불안해하지 마세요.

🔖
영원함은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다만 천천히 흐르는 변화일 뿐이다.p.120

💚우리가 조금씩 변하고 있을 뿐,
우리가 잘못해서 흔들리는게 아니에요.

🔖
강함이란 겉을 어떻게 꾸미느냐가 아니라
내 안의 확신을 얼마나 키워가느냐에 달린 문제입니다. p.100

❤️‍🩹불안해도 괜찮아요.
솔직히 자신을 드러내고
진실함으로 자신을 마주해보세요.

당신안의 가능성이 뿜어져나오기 위해
지금도 온몸을 떨며 요동치고 있다는 걸,
그 가능성에 자신을 걸어보라고
에머슨이 계속 말합니다

🎁
다가오는 수능을 앞두고 흔들리는 수험생들에게 꼭 선물해주고 싶네요 😊

-------------------------------------
🫧 책 속 울림을 나누는 울림zzzz입니다
🫧 이 울림이 오래 이어지기를.... @uz_zzzz
-------------------------------------

🫧 좋은 책 전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책은 샤인@shine_essaybook 님이 모집한 서평단에 뽑혀 케이크 출판사 @cakebooks.official 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서평입니다.

초역 자기신뢰

랄프 왈도 에머슨 지음
각주 펴냄

19분 전
0
Booking님의 프로필 이미지

Booking

@booking

  • Booking님의 돈의 심리학 게시물 이미지

돈의 심리학

모건 하우절 (지은이), 이지연 (옮긴이) 지음
인플루엔셜(주) 펴냄

읽었어요
23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식민지 시기 여성 작가는 '선각자'라 불리는 1세대와 그에 이어 등장하여 해방 이후까지 활발한 활동을 벌인 2세대로 구분된다. 김원주, 김명순, 나혜석이 문단과 사회의 지탄을 받으며 '도덕적 파멸'이나 '작품 없는 문사'로 불렸던 것에 비교한다면, 2세대인 강경애, 백신애, 이선희 등은 문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고, 작품의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신여성, 운명과 선택>은 이 1, 2세대 여성작가들을 망라한 선집으로, 해방 이전에 사망하거나 해방 이후 월북한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조망하면서 신여성 작가들의 소설을 대표하는 두 경향, 가족과 개인의 문제와 국가와 민족의 문제를 고루 섭렵한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제국주의와 조선의 가부장제의 이중 억압에서 고통 받았으며, 자신의 현실을 개척하기 위해 싸운 선각자들이라 할 수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신문물, 문명개화, 그리고 식민지 속에 태어난 여성 캐릭터의
의지의 목소리들을 한 권의 선집으로 모았다_________ 한국 근대 페미니즘 문학 작품선

“글을 읽고 쓰는 욕망을 포기하지 말자. 신여성들의 삶과 글은
그렇게 말하고 있다.“ : 허윤 (여성문학 연구자)


일본 유학을 갈 수 있었던 부유한 양반 가문의 여식,
남편에게 이혼장을 받아든 조강지처,
땅을 잃고 대륙을 방랑하는 빈농의 후손,
불구가 된 육신으로 남편을 떠나온 아내......

주어진 운명 속에서 자기 목소리를 지키고자 커다란 선택을 했던 인물들이
단편소설과 중편소설 속에 나타난다. 조선 경성부터 일본 도쿄, 만주, 시베리아에 이르기까지,
100년 전 조선의 여성작가들이 탄생시킨
여성작가에 의한, 여성독자를 위한, 여성의 이야기들

1910년~1940년 한국 근대문학에 불꽃을 피운 여성작가 7인의 선집
식민지 시기 여성 작가는 ‘선각자’라 불리는 1세대와 그에 이어 등장하여 해방 이후까지 활발한 활동을 벌인 2세대로 구분된다. 김원주, 김명순, 나혜석이 문단과 사회의 지탄을 받으며 ‘도덕적 파멸’이나 ‘작품 없는 문사’로 불렸던 것에 비교한다면, 2세대인 강경애, 백신애, 이선희 등은 문단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고, 작품의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신여성, 운명과 선택》은 이 1, 2세대 여성작가들을 망라한 선집으로, 해방 이전에 사망하거나 해방 이후 월북한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조망하면서 신여성 작가들의 소설을 대표하는 두 경향, 가족과 개인의 문제와 국가와 민족의 문제를 고루 섭렵한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제국주의와 조선의 가부장제의 이중 억압에서 고통 받았으며, 자신의 현실을 개척하기 위해 싸운 선각자들이라 할 수 있다.
신여성은 식민지 조선에서 근대사회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존재였다. 집 밖을 나와 학교에 가는 여성들은 혁명적 존재로 거듭날 수 있었다.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은 소설과 시, 논설 등 여러 창작 영역에서 혁명적 여성주의를 선보였고 여성의 교육과 자립, 자유연애와 결혼 등의 이슈를 통해 여성 해방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구습으로 인해 핍박받는 ‘누이’, ‘형님’들을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여성으로 소환하고 여성 역시 아내나 어머니이기 이전에 인간임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사회는 새로운 의미에서 얌전하고 귀여운 아내가 되고 어머니가 되는 여성을 원했을 뿐이었다. 이 시대에 여성작가들은 줄곧 신문과 잡지의 공격 대상이었다. 마치 지금의 연예인처럼 여성작가의 일거수일투족이 공론장에 오르내렸으며, 대중의 평가를 받게 되었다. 김동인이나 염상섭 등 한국의 근대문학을 대표하는 남성작가들은 신여성들을 모델로 삼아 소설을 썼고 그것을 둘러싼 온갖 소문과 담론은 신여성들의 창작 활동과 행동을 제약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식민지는 언제나 강한 제국주의 아버지의 지배를 받는 힘없는 여성, 혹은 주권이라는 아버지를 잃어버린 가족, 어머니만 남은 집 등으로 은유되었다. 말할 권리를 갖지 못하는 하위주체는 언제나 여성으로 치환되는 것이다. 그러나 《신여성, 운명과 선택》에 수록된 7명의 여성작가들과 그들이 그려낸 신여성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말하고,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한다. 이들은 교육받을 권리, 결혼할 권리, 이혼할 권리, 투쟁할 권리를 선택한다. 일제와 젠더라는 이중 억압의 상황에서 여러 모순에 봉착한다. 여성도 교육을 받으면 더 훌륭한 주부가 된다거나 ‘오빠’의 뒤를 잇는 인물이 되자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도 절대 포기하지 않은 사실은 신여성들은 자신의 욕망을 말로 하고, 글로 썼다는 것이다. 글을 읽고 쓰는 욕망을 포기하지 말자. 신여성들의 삶과 글은 그렇게 말하고 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