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37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2.6.18
페이지
248쪽
상세 정보
<덧니가 보고 싶어>의 작가 정세랑의 두 번째 장편소설. 오직 사랑을 위해 가진 것을 모두 털어내는 것도 모자라 빚까지 져가며 2억 광년의 우주를 횡단해 지구에 온 외계인 남자친구. <지구에서 한아뿐>은 저탄소 생활을 추구하는 친환경 디자이너 한아와 그녀의 남자친구 경민의 사랑 이야기이다.
한아는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저탄소생활을 하는 디자이너다. 일류 의상디자인학과를 나왔지만 대기업에 취직하는 대신 가족 같은 절친 유리와 함께 친환경 의류 리폼 가게를 열었는데 인기가 많아 의외로 벌이는 쏠쏠하다. 한아에게는 경민이라는 10년 된 남자친구가 있다. 경민은 서른 살이 넘도록 취직도 하지 않고 아르바이트를 통한 벌이로 전 세계를 여행하고 떠돌아다니며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살고 싶은 대로 살면서 늘 한아를 기다리게 하는 자유로운 영혼.
언제나처럼 캐나다로 별똥별을 보기 위해 여행을 간 경민, 떠난 경민에게 아무런 연락이 없던 어느 날, 한아는 캐나다에 소형 운석이 떨어지면서 큰 폭발이 있었다는 뉴스를 본다. 연락 두절인 경민을 걱정하는 한아 앞에 며칠 뒤 아무렇지도 않은 듯 여행에서 돌아온 그. 눈앞의 경민은 왠지 여행을 떠나기 전과 다른 사람이 된 느낌이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8
bestipop
@bestipop
지구에서 한아뿐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리 은 원
@8zlm7abjadzj
지구에서 한아뿐
외 1명이 좋아해요
sh
@shkhfg
지구에서 한아뿐
3명이 좋아해요
상세정보
<덧니가 보고 싶어>의 작가 정세랑의 두 번째 장편소설. 오직 사랑을 위해 가진 것을 모두 털어내는 것도 모자라 빚까지 져가며 2억 광년의 우주를 횡단해 지구에 온 외계인 남자친구. <지구에서 한아뿐>은 저탄소 생활을 추구하는 친환경 디자이너 한아와 그녀의 남자친구 경민의 사랑 이야기이다.
한아는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해 저탄소생활을 하는 디자이너다. 일류 의상디자인학과를 나왔지만 대기업에 취직하는 대신 가족 같은 절친 유리와 함께 친환경 의류 리폼 가게를 열었는데 인기가 많아 의외로 벌이는 쏠쏠하다. 한아에게는 경민이라는 10년 된 남자친구가 있다. 경민은 서른 살이 넘도록 취직도 하지 않고 아르바이트를 통한 벌이로 전 세계를 여행하고 떠돌아다니며 자신이 하고 싶은 대로, 살고 싶은 대로 살면서 늘 한아를 기다리게 하는 자유로운 영혼.
언제나처럼 캐나다로 별똥별을 보기 위해 여행을 간 경민, 떠난 경민에게 아무런 연락이 없던 어느 날, 한아는 캐나다에 소형 운석이 떨어지면서 큰 폭발이 있었다는 뉴스를 본다. 연락 두절인 경민을 걱정하는 한아 앞에 며칠 뒤 아무렇지도 않은 듯 여행에서 돌아온 그. 눈앞의 경민은 왠지 여행을 떠나기 전과 다른 사람이 된 느낌이다.
출판사 책 소개
내 사랑이 온 우주에서 단 하나뿐임을 바라는 모든 연인들
그들을 위한 순도 100% 무공해 소설이 떴다!
『지구에서 한아뿐』은 누군가에게는 SF 작가로 다른 누군가에게는 로맨스 작가, 호러 작가, 스릴러 작가로 불리며 이제 한 권의 장편소설이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입지를 곧추세우며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정세랑의 두 번째 장편소설이다.
문화의 하이브리드 시대, 그렇다면 소설은?
세계 문학계는 주류 문학과 서브 장르 사이의 중간 문학(middlebrow literature)의 경계가 무의미해졌다. 오히려 장르성이 강한 문학이 그 판도를 주무르고 있다 해도 과하지 않다. 순수문학과 대중문학의 경계가 완고한 우리 문학계 또한 최근에는 문학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정세랑은 그 선두에서 열심히 달리고 있는 젊은 작가들 중 주목해야 할 한 명의 작가이다.
정세랑의 두 번째 장편소설 『지구에서 한아뿐』은 저탄소 생활을 추구하는 친환경 디자이너 한아와 그녀의 남자친구 경민의 사랑 이야기로 이 소설에는 분명히 외계인이 나오고, 우주선이 나오며 다른 별의 무수한 존재들이 나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을 SF라고 해야 할지 로맨스 소설이라고 해야 할지 구분하는 것이 모호하다. 그러나 어쩐지 이 소설에는 그러한 구분이 필요 없어 보인다.
문학은 건강하고 재미있는 상상 앞에서 즐거울 수밖에 없다.
정세랑은 전작인 『덧니가 보고 싶어』에 이어 『지구에서 한아뿐』에서도 많은 재미있는 요소들을 뒤섞어 더욱 맛있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스토리를 잃거나 문장을 잃은 지금의 많은 소설들 사이에서 그 잃어버린 길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면서도 글 쓰는 즐거움을 만끽할 줄 아는 작가의 말처럼 ‘재미있는 이야기’의 힘을 믿어본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40% 광물체에 지나지 않았다.
우리는 이제까지 외계 생명체가 등장하는 수많은 소설과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을 봐왔다. 그들 대부분은 지구를 침략하기 위해, 지구인을 굴복시키기 위해 지구로 온 존재로서 외계인을 그려내고 있다. 지구인과 대립적인 관계이며 지구인의 적이었다.
그런데 여기 오직 사랑을 위해 가진 것을 모두 털어내는 것도 모자라 빚까지 져가며 2억 광년의 우주를 횡단해 지구에 온 한 외계인이 있다. (이토록 로맨틱하고 달달한 외계생명체는 현재까지 유일무이하다.) 도대체 사랑, 그게 무엇이기에?
“가까이서 보고 싶었어. 나는 탄소 대사를 하지 않는데도 네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싶었어. 촉각이 거의 퇴화했는데도 얼굴과 목을 만져보고 싶었어. 들을 수 있는 음역이 아예 다른데도 목소리가 듣고 싶었어……. 너를 위한, 너에게만 맞춘 감각 변환기를 마련하는 데 긴 시간이 들었어.“ -본문 중에서
40%의 광물체로 이루어져 자가발전을 하며 다른 이의 외피를 쓰고 다른 이의 이름을 도용한 외계인이지만 ‘나에게만 맞춘 감각 변화기’를 마련할 만큼 그리웠다는 고백에 어느 누구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을 수 있을까.
그리하여, 그랬기 때문에 한아는 그 외계인에게 자신에게 아픔을 줬던 이의 이름을 부여했다. 그리고 그 이름을 불러주었다. 서로의 이름을 불러주고 그 이름으로 상대를 인정한 순간 바로 우주적인 사랑이 시작되었다.
이 알콩달콩하면서도 범우주적인 사랑 이야기에서 얻을 수 있는 ‘다디단 에너지’는 사랑 세포가 완전히 소모되기 직전인 독자들의 몫으로 돌린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