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섭의 사랑, 가족

최석태 외 1명 지음 | 디자인하우스 펴냄

이중섭의 사랑, 가족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20,000원 10% 18,0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5.1.6

페이지

196쪽

상세 정보

묵직한 평전과 다정한 서간집 사이에서 특히 이중섭이라는 남자의 사랑과 가족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연애 시절인 1940년 말부터 1943년까지 글 없이 오로지 그림으로만 전한 1백여 남짓 엽서의 일부들과, 그리고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일본에 있던 아내 마사코와 두 아들에게 이중섭이 보낸 편지 글과 그림이 차곡차곡 담긴 이 책은 두 사람과 가족만이 알 수 있는 상징과 기호가 가득한 비밀 연서이자 현재의 우리들에게 보내는 사랑과 행복, 그리고 가족에 대한 진심 어린 이야기다.

1916년에 태어나 1956년까지 대략 마흔의 삶을 살았던 이중섭은 길지 않은 생 속에서 식민지 백성으로 피란민으로 그리고 식민지 종주국의 여자와 결혼하여 가족을 꾸린 가장으로 그리고 전 생애 그림 그리는 사내로 살아온 우리에게는 아주 각별한 마음을 갖게 하는 화가이다.

스물다섯, 일본으로 그림 공부를 떠난 그는 2년 후배인 마사코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지배를 받는 나라의 남자, 지배하는 나라의 여자. 이 둘의 만남은 전쟁과 식민만큼 아프고 애달았다. 이 책에는 이 둘이 만나서 연애하고 결혼해서 짧게 함께 살고, 오래 헤어져 산 강물처럼 길고 긴 이야기가 담겨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Taegyu  Choi님의 프로필 이미지

Taegyu Choi

@mq7fggi66cgf

이중섭의 백년의 신화를 보고 구입한 책~
이중섭의 애뜻한 사랑과 안타까운 죽음과 그의 성정이 그립다

이중섭의 사랑, 가족

최석태 외 1명 지음
디자인하우스 펴냄

읽었어요
2016년 8월 9일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묵직한 평전과 다정한 서간집 사이에서 특히 이중섭이라는 남자의 사랑과 가족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연애 시절인 1940년 말부터 1943년까지 글 없이 오로지 그림으로만 전한 1백여 남짓 엽서의 일부들과, 그리고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일본에 있던 아내 마사코와 두 아들에게 이중섭이 보낸 편지 글과 그림이 차곡차곡 담긴 이 책은 두 사람과 가족만이 알 수 있는 상징과 기호가 가득한 비밀 연서이자 현재의 우리들에게 보내는 사랑과 행복, 그리고 가족에 대한 진심 어린 이야기다.

1916년에 태어나 1956년까지 대략 마흔의 삶을 살았던 이중섭은 길지 않은 생 속에서 식민지 백성으로 피란민으로 그리고 식민지 종주국의 여자와 결혼하여 가족을 꾸린 가장으로 그리고 전 생애 그림 그리는 사내로 살아온 우리에게는 아주 각별한 마음을 갖게 하는 화가이다.

스물다섯, 일본으로 그림 공부를 떠난 그는 2년 후배인 마사코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지배를 받는 나라의 남자, 지배하는 나라의 여자. 이 둘의 만남은 전쟁과 식민만큼 아프고 애달았다. 이 책에는 이 둘이 만나서 연애하고 결혼해서 짧게 함께 살고, 오래 헤어져 산 강물처럼 길고 긴 이야기가 담겨 있다.

출판사 책 소개

60년만에 한국으로 돌아온 3점의 그림 최초 수록!
화가 이중섭(1916∼1956)을 살피는 여러 걸음의 책 중 이 책 <이중섭의 사랑, 가족>은 묵직한 평전과 다정한 서간집 사이에서 특히 이중섭이라는 남자의 사랑과 가족에 얽힌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2016년 탄생 100주년을 앞두고 만들어진 이 책은 일본으로 떠나 보낸 부인과 두 아들에 대한 애틋한 사랑과 그리움을 담는 엽서와, 편지, 은지화에 담긴 그의 그림과 글을 모은 책으로 1955년 당시 주한 미대사관 문정관이던 아서 맥타가트가 구입해 뉴욕현대미술관(MOMA)에 기증했고, 드디어 60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온 은지화 3점뿐 아니라 그동안 한번도 세상에 내놓은 적 없는 가족에게 보낸 미공개 편지 20점이 실려 있어 ‘소’로 알려진 ‘국민화가’ 이중섭의 숨겨진 그림들을 꼼꼼하게 다시 살필 수 있는 귀한 자료다.

이중섭, 사랑의 기록자
연애 시절인 1940년 말부터 1943년까지 글 없이 오로지 그림으로만 전한 1백여 남짓 엽서의 일부들과, 그리고 1953년부터 1955년까지 일본에 있던 아내 마사코와 두 아들에게 이중섭이 보낸 편지 글과 그림이 차곡차곡 담긴 이 책은 두 사람과 가족만이 알 수 있는 상징과 기호가 가득한 비밀 연서이자 현재의 우리들에게 보내는 사랑과 행복, 그리고 가족에 대한 진심 어린 이야기다.

1916년에 태어나 1956년까지 대략 마흔의 삶을 살았던 이중섭은 길지 않은 생 속에서 식민지 백성으로 피란민으로 그리고 식민지 종주국의 여자와 결혼하여 가족을 꾸린 가장으로 그리고 전 생애 그림 그리는 사내로 살아온, 우리에게는 아주 각별한 마음을 갖게 하는 화가이다.
.
스물다섯, 일본으로 그림 공부를 떠난 그는 2년 후배인 마사코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지배를 받는 나라의 남자, 지배하는 나라의 여자. 이 둘의 만남은 전쟁과 식민만큼 아프고 애달았다. 이 책에는 이 둘이 만나서 연애하고 결혼해서 짧게 함께 살고, 오래 헤어져 산 강물처럼 길고 긴 이야기가 담겨 있다.

뜨거웠던 남편, 듕섭
홀로 가난과 고독의 먼지를 닦아내던 그가 그 생의 쓸쓸함, 기쁨을 굵직한 펜(꼭 G펜으로)으로 꾹꾹 눌러 담아 띄운 국제우편 엽서와 편지는 그대로 사랑의 기록이자 그의 일기였고 캔버스였다. 끝없이 이어진 수십 편의 그 편지 중엔 ‘나의 귀엽고 소중한 남덕 군’에게 보내는 것이 가장 많았다. 그의 글엔 혀가 달린 듯했다. 자분자분 비벼대고, 매만지는 그의 표현이 그러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었다.
‘나의 살뜰한 사람. 나 혼자만의 기차게 어여쁜 남덕군. 이상하리만큼 당신은 나의 모든 점에 들어맞는 훌륭한 미와 진을 간직한 천사요.’, ‘내 귀여운 당신의 볼에 있는 크고 고운 사마귀를 생각하고 있소. 그 사마귀에 오래 키스하고 싶소’, ‘다음에 만나면 당신에게 답례로 별들이 눈을 감고 숨을 죽일 때까지 깊고 긴긴 키스를 몇 번이고 몇 번이고 해드리지요. 살빛 뜨거운 그 문장 속에는 한 여자를 집약하듯 열심히 사랑한 사내 이중섭이 들어 있다.

다정했던 빠빠, 중섭
그의 귀여운 두 아들 태성과 태현에 대한 사랑도 아내에 대한 사랑 못지 않았는데 어여쁜 사내놈들에게 보낸 편지들을 보면. 어떤 영혼이라도 아버지라는 외투를 입으면 몰랑몰랑해지는 법임을 이 편지글을 통해 알 수 있다. 물론 이들이 주고 받은 편지엔 갖가지 소금으로 절인 온갖 비린내, 땀 내, 눈물 내도 물씬했다. 막연하기 그지없는 생활책, 떨어져 있는 가족에게 향하는 단심과 풀리지 않는 오해, 스미는 고독도 편지에 담겨 있었다.

가족의 화가, 이중섭
이중섭만큼 가족을 많이 그린 화가도 없다고 할 정도로 여러 점의 가족 그림이 우리에게 남았다. 어머니를 비롯한 혈육과 헤어진 데 이어 아내와 자식과도 헤어져야 했던 이중섭은 그 비극에 마침표를 두지 않기 위해, 그의 그림 속 가족은 재회하고 행복하고 평화로운 한때를 즐긴다. 이 책 <이중섭의 사랑, 가족>에는 그가 그린 가족에 대한 애정과 환상으로 가득하다. 가족이 황소를 끌고 따뜻한 남쪽 나라로 간다거나, 가족 모두가 색띠를 부여잡은 채 새와 꽃을 희롱하고, 생명과 사랑을 낳는 닭 가족과 사람 가족이 한데 노닌다. 한 시절의 그늘을 온몸으로 내리받은 이의 그림이라기엔 지극히 밝고 희망적인 건 그의 의지 때문이었다. 서로를 부여잡고 가는 존재, 가족이라는 숙명을 그는 온 맘으로 기꺼워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