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고

유득공 지음 | 홍익출판사 펴냄

발해고 (잃어버린 영토 발해와 그 역사찾기의 시작)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5,000원 10% 13,5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0.5.25

페이지

368쪽

#고구려 #발해 #역사

상세 정보

<발해고> 출간 20년, 2020년 올해로 정년을 맞는 송기호 교수의 발해연구 40년을 총정리하는 개정판으로 출간의 의미가 크다. 이번 개정판에는 기존의 서해응, 박제가, 유득공의 서문에 이후 발견된 이규경 발문과 「황성신문」 1910년 4월 28일 2면에 실린 논설 '발해고를 읽고'를 추가했다.

유득공은 고려가 발해까지 우리 역사에 넣어 '남북국사'(南北國史)를 쓰지 않았던 점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그 결과 거란과 여진에 넘어가버린 발해 영토를 되찾으려 해도 이제는 아무런 근거가 없게 되었다고 통탄해 마지않았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발해사를 우리 역사 속에 넣을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 역사상 최초로 발해사를 체계화했다.

역사가로서 유득공의 인식은 초기에는 삼국을 통일한 신라로 시작된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북방 중심의 역사 인식으로 변모해갔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발해고>는 그로 하여금 한국사학사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게 하였다.

그는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발해고>를 저술하였고,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사군지>를 저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고은하님의 프로필 이미지

고은하

@goeun0816

  • 고은하님의 발해고 게시물 이미지

발해고

유득공 지음
홍익출판사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발해고> 출간 20년, 2020년 올해로 정년을 맞는 송기호 교수의 발해연구 40년을 총정리하는 개정판으로 출간의 의미가 크다. 이번 개정판에는 기존의 서해응, 박제가, 유득공의 서문에 이후 발견된 이규경 발문과 「황성신문」 1910년 4월 28일 2면에 실린 논설 '발해고를 읽고'를 추가했다.

유득공은 고려가 발해까지 우리 역사에 넣어 '남북국사'(南北國史)를 쓰지 않았던 점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그 결과 거란과 여진에 넘어가버린 발해 영토를 되찾으려 해도 이제는 아무런 근거가 없게 되었다고 통탄해 마지않았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발해사를 우리 역사 속에 넣을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 역사상 최초로 발해사를 체계화했다.

역사가로서 유득공의 인식은 초기에는 삼국을 통일한 신라로 시작된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북방 중심의 역사 인식으로 변모해갔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발해고>는 그로 하여금 한국사학사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게 하였다.

그는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발해고>를 저술하였고,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사군지>를 저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왜 우리 땅을 돌려주지 않는가?
발해 땅은 바로 고구려 땅이다.”

고려가 마침내 약한 나라가 된 것은
발해 땅을 얻지 못하였기 때문이니, 크게 한탄할 일이다.
- 《발해고》 유득공의 서문 중에서

발해사 국내 최고 권위 송기호 교수(서울대 국사학과)
출간 20주년 기념 개정 특별판!

《발해고》 출간 20년, 올해로 정년을 맞는 송기호 교수의 발해연구 40년을 총정리하는 개정판으로 출간의 의미가 크다. 이번 개정판에는 기존의 서해응, 박제가, 유득공의 서문에 이후 발견된 이규경 발문과 <황성신문> 1910년 4월 28일 2면에 실린 논설 <발해고를 읽고>를 추가했다.

잃어버린 영토 발해, 그 역사 찾기의 시작
유득공은 고려가 발해까지 우리 역사에 넣어 ‘남북국사’(南北國史)를 쓰지 않았던 점을 통렬히 비판하면서, 그 결과 거란과 여진에 넘어가버린 발해 영토를 되찾으려 해도 이제는 아무런 근거가 없게 되었다고 통탄해 마지않았다. 그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발해사를 우리 역사 속에 넣을 것을 적극적으로 주장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 역사상 최초로 발해사를 체계화했다.

유득공의 역사 인식의 업적, 《발해고》
역사가로서 유득공의 인식은 초기에는 삼국을 통일한 신라로 시작된 남방 중심의 역사 인식에서 시작하여 나중에는 북방 중심의 역사 인식으로 변모해갔는데, 그 결과로 나타난 《발해고》는 그로 하여금 한국사학사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기게 하였다. 그는 발해의 옛 땅을 회복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발해고》를 저술하였고, 북방 역사의 연원을 밝혀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사군지》를 저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나중에 정약용(丁若鏞), 한치윤(韓致奫) 등의 연구 업적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발해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던 그의 노력은 더더욱 높이 평가받아야 마땅할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