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1.5.11
페이지
440쪽
상세 정보
1990년대 초중반 전국적인 답사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인문서 최초의 밀리언셀러를 기록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즌 2. 1993년 5월 출간된 이래 "우리나라는 전국토가 박물관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 같은 시대적 유행어를 탄생시킨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2, 3권과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상, 하권이 각각 4, 5권으로 꾸며져 전면 개정되었다.
새로 출간된 개정판 세트에서는 1,000컷에 달하는 수록사진을 전면 컬러로 바꾸어 시원하고 아름다운 본문 디자인을 선보인다. 또한 출간 당시의 원문을 다듬으면서 새로운 유물이 발견된 부분은 서술을 추가하고 오류가 있는 부분은 바로잡았다. 권말부록에 실린 1박2일 코스의 답사 일정표는 독자들이 실제 답사여행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해준다.
답사기 제3권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는 크게 네개의 문화권으로 나누어 우리 문화유산을 서술한다. 부여.공주 일대의 백제의 미학, 경주 불국사가 보여주는 통일신라시대의 조화적 이상미, 안동문화권에 서려 있는 조선시대 양반문화의 미학, 그리고 섬진강.지리산변의 옛 절집에 담긴 산사(山寺)의 미학이 그것이다.
서산마애불의 발견과 30여년 동안 서산마애불을 관리해온 성원 할아버지의 애절한 사연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 책은 새롭게 돌아온 답사기 제6권 '인생도처유상수'와 가장 밀접하게 맥락이 닿아 있다. 전국을 답사하며 맺은 인연들에 대한 소개나 아름다운 섬진강 길에 대한 흥미로운 일화 등은 책과 함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공간을 넘나드는 인문적.예술적 체험을 하도록 해준다.
상세정보
1990년대 초중반 전국적인 답사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인문서 최초의 밀리언셀러를 기록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즌 2. 1993년 5월 출간된 이래 "우리나라는 전국토가 박물관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 같은 시대적 유행어를 탄생시킨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2, 3권과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상, 하권이 각각 4, 5권으로 꾸며져 전면 개정되었다.
새로 출간된 개정판 세트에서는 1,000컷에 달하는 수록사진을 전면 컬러로 바꾸어 시원하고 아름다운 본문 디자인을 선보인다. 또한 출간 당시의 원문을 다듬으면서 새로운 유물이 발견된 부분은 서술을 추가하고 오류가 있는 부분은 바로잡았다. 권말부록에 실린 1박2일 코스의 답사 일정표는 독자들이 실제 답사여행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해준다.
답사기 제3권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는 크게 네개의 문화권으로 나누어 우리 문화유산을 서술한다. 부여.공주 일대의 백제의 미학, 경주 불국사가 보여주는 통일신라시대의 조화적 이상미, 안동문화권에 서려 있는 조선시대 양반문화의 미학, 그리고 섬진강.지리산변의 옛 절집에 담긴 산사(山寺)의 미학이 그것이다.
서산마애불의 발견과 30여년 동안 서산마애불을 관리해온 성원 할아버지의 애절한 사연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 책은 새롭게 돌아온 답사기 제6권 '인생도처유상수'와 가장 밀접하게 맥락이 닿아 있다. 전국을 답사하며 맺은 인연들에 대한 소개나 아름다운 섬진강 길에 대한 흥미로운 일화 등은 책과 함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공간을 넘나드는 인문적.예술적 체험을 하도록 해준다.
출판사 책 소개
1993년 5월 출간된 이래 “우리나라는 전국토가 박물관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 같은 시대적 유행어를 탄생시킨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1, 2, 3권과 『나의 북한 문화유산답사기』 상, 하권이 각각 4, 5권으로 꾸며져 전면 개정되었다.
새로 출간된 개정판 세트에서는 1,000컷에 달하는 수록사진을 전면 컬러로 바꾸어 시원하고 아름다운 본문 디자인을 선보인다. 또한 출간 당시의 원문을 다듬으면서 새로운 유물이 발견된 부분은 서술을 추가하고 오류가 있는 부분은 바로잡았다. 권말부록에 실린 1박2일 코스의 답사 일정표는 독자들이 실제 답사여행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해준다. 생생하고 흥미진진한 우리 문화의 이야기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젊은시절 답사열풍을 경험했던 세대에는 당시의 열정과 추억을 떠올리게 해주고, 이후의 세대들에게는 우리 국토와 문화유산에 대한 안목과 인문지식을 높여줄 것이다.
답사기 신드롬을 몰고왔던 국내편 1, 2, 3권의 컬러 개정
인문서로서는 드물게도 제1권 ‘남도답사 일번지’는 출간(1993) 두달 만에 10만부가 판매되는 기염을 토했고 연달아 출간된 2, 3권 역시 그 대열에서 답사열풍을 지속시키며 현재까지 총 260만부(북한 답사기 포함)가 판매되었다. 이처럼 답사기가 독자들의 열광적 지지를 얻으며 전설적인 베스트셀러가 되고 그야말로 한국인의 국토와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관점 자체를 송두리째 바꿔놓았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크게는 첫째 식민지의 경험, 전쟁과 분단 등으로 크게 훼손된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자긍심을 획기적으로 되돌려놓았다는 점, 둘째 여행의 즐거움이 한가한 여흥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역사와 문화ㆍ지리 등 풍부한 인문ㆍ예술적 교양과 함께할 때 더욱 배가된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편 답사기를 이야기할 때 저자 유홍준 교수의 깊이있는 지적ㆍ예술적 안목, 우리 문화와 예술에 대한 민중적 관점, 소박하면서도 유머 넘치는 서술을 빼놓을 수 없다.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길눈이가 되고자 했던 저자의 열정은 실은 문화적 열등의식에 휩싸인 우리들의 상처받은 정체성을 치유하고자 하는 절박한 노력이었으며, 문화유산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안목을 되도록 많은 이들과 나누어 아름다운 문화의식이 이 땅에 퍼져나가기를 바라는 뜨거운 사랑에 다름 아니었다. 이번에 전면 개정된 답사기에서도 그러한 노력은 이어졌다.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편집자는 내게 이렇게 권유하였다. 1) 반드시 개정증보판을 낼 것. 2) 처음 씌어진 글도 그 나름의 역사성과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되도록 원문을 살리고 각 글 끝에 최초의 집필일자를 명기할 것. 3) 수정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첨삭을 한 다음 최초 집필일자와 수정 집필일자를 병기할 것. 4) 행정구역 개편으로 달라진 지명은 글 쓴 시점과 관계없이 현재의 지명에 따를 것. 5) 답사처로 가는 길은 변화된 도로 상황만 알려두고 옛길로 갔던 여정을 그대로 살릴 것. 6) 사진은 흑백에서 컬러로 바꿀 것. 나는 편집자의 이런 요구에 응하기로 했다. 이 원칙에 입각해 다섯 권의 책을 오늘의 독자 입장에서 다시 읽어보며 마치 메스를 손에 쥔 성형외과 의사처럼 원문을 수술하는 개정작업에 들어갔다. (개정판 서문에서)
개정판에서는 서문에 밝힌 대로, 원문의 역사성을 존중하면서도 수정과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첨삭하고 사진자료를 전면 컬러로 바꾸고 디자인을 새롭게 하였다. 1~3권의 경우, 초판 발행 이래로 증쇄 때마다 바뀐 정보나 바로잡은 사실관계를 각 글의 꼭지에 ‘부기’로 추가해놓았는데, 이번 개정과정에서 본문에 반영했으며, 전국적인 유명세를 치른 덕분에 책에 소개된 장소나 문화유산이 명소가 되거나 간혹은 훼손된 경우도 수정하거나 정정하는 내용을 덧붙였다. 특히 제1권에 실린 ‘낙산사’ 편은 2005년 낙산사의 화재 탓에 거의 새로이 집필하기도 했다. 그밖에 강진 만덕사 혜장스님 일대기라든지 1996년 감은사탑에서 새로 발견된 사리장엄구에 대한 내용, 에밀레종의 음통과 울림통에 대한 과학적 분석결과 등 새로운 내용들이 추가·보충되었으며, 부도/승탑/사리탑 등 혼용되는 문화재 명칭의 올바른 사용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더불어 부록으로 실린 답사 일정표와 안내지도 또한 현시점에 맞도록 전면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하여 충실한 답사의 길잡이가 되도록 했다. 본문의 내용을 따라 답사할 수 있도록 1박2일의 답사 시간표를 제시했으며 계절과 현재의 도로 사정 등을 감안하여 풍성한 정보를 담았다. 국도와 지방도, 문화재 소재지 등을 정확히 표시한 안내지도 역시 훌륭한 답사 가이드 역할을 해줄 것이다.
제3권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
답사기 제3권 ‘말하지 않는 것과의 대화’는 크게 네개의 문화권으로 나누어 우리 문화유산을 서술한다. 부여ㆍ공주 일대의 백제의 미학, 경주 불국사가 보여주는 통일신라시대의 조화적 이상미, 안동문화권에 서려 있는 조선시대 양반문화의 미학, 그리고 섬진강ㆍ지리산변의 옛 절집에 담긴 산사(山寺)의 미학이 그것이다.
서산마애불의 발견과 30여년 동안 서산마애불을 관리해온 성원 할아버지의 애절한 사연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 책은 새롭게 돌아온 답사기 제6권 ‘인생도처유상수’와 가장 밀접하게 맥락이 닿아 있다. 전국을 답사하며 맺은 인연들에 대한 소개나 아름다운 섬진강 길에 대한 흥미로운 일화, 안동 검제 학봉 종가에서 듣는 불천위제사 이야기, 도산서원과 퇴계 이황에 대한 일화 등은 책과 함께 과거와 현재 사이의 시공간을 넘나드는 인문적ㆍ예술적 체험을 하도록 해준다.
특히 이 책에는 통일신라시대의 이상적 미학의 지표가 되는 경주 불국사에 대한 글이 수록되어 있는데 저자 특유의 미적 시선은 흔히 읽고 듣던 불국사에 관한 소개와는 그 품격을 달리하며 불국사의 가람배치, 건축적 지향에서부터 그랭이법 석축에 이르기까지 조목조목 흥미로운 설명을 담고 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