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신정일 외 2명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펴냄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3,000원 10% 11,7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6.11.25

페이지

304쪽

#건국 #고조선 #역사 #한국

상세 정보

우리 나라는 어떻게 건국되었는가?
자랑스러운 우리 역사의 뿌리를 알려주는 책

수수께끼 같은 고조선의 실체, 우리가 알고 있는 고조선은 과연 어디까지가 진실인가? 이덕일, 김병기, 신정일 세 명의 역사학자가 직접 고조선 땅을 밟으며 건져올린 생생한 현장 기록과 사진, 풍부한 사료와 유물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실체를 파헤쳤다.

수차례에 걸친 고조선 강역의 답사 결과 고조선의 항신降臣들이 고조선 부흥운동에 나섰던 사실들을 밝혀냈으며, 낙랑군의 위치를 직접 답사까지 거쳐 증명한 최초의 책이다. 또한 그간 한반도 북부에 있다고 주장되어왔던 낙랑군 수성현의 위치를 중국 고대 사료와 하북성 현지답사로 찾아내는 성과를 거뒀다.

우리 고대사의 통설과 오류를 새롭게 점검하고 국사 교과서에 드러나는 답답한 모순들을 끄집어내 통쾌하게 정리했다. 국사 교과서에서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실제로 위만조선을 고조선 역사의 시작으로 기술한 이유, 준왕과 부왕의 존재에 대한 자가당착적 모순들, 동쪽의 진국이 식민사학자의 주장에 따라 남방의 진으로 바뀐 사연 등을 다양한 사료적 근거를 들어 객관적으로 바로잡고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jeje님의 프로필 이미지

jeje

@jejexhlt

  • jeje님의 사랑과 결함 게시물 이미지

사랑과 결함

예소연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11분 전
0
최정규님의 프로필 이미지

최정규

@ggugong

책 한권을 30분만에 3회독으로 알맹이만 읽는다는 독서법
그래서 이 책도 30분만에 3회독을 해봤는데
찬찬히 읽어도 1시간 코스 책이긴 하다.
책의 모든 내용을 기억할 필요가 없고 한 문장이라도 건지면 다행이라는 게 저자의 핵심 논리다.
난 그냥 내 호흡대로 찬찬히 읽으련다.
그래도 이 책에서 공감한 부분이 있는데
'삶에 적용할 구체적 실행방법을 적어보라는 것'.

책을 읽는 근본적 이유와 목적임을 다시 한번 리마인드해본다.

부자들의 초격차 독서법

가미오카 마사아키 (지은이), 장은주 (옮긴이) 지음
쌤앤파커스 펴냄

22분 전
0
책읽는 무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읽는 무민

@pollen

  • 책읽는 무민님의 토마토 컵라면 게시물 이미지

토마토 컵라면

차정은 지음
부크크(bookk) 펴냄

읽었어요
23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수수께끼 같은 고조선의 실체, 우리가 알고 있는 고조선은 과연 어디까지가 진실인가? 이덕일, 김병기, 신정일 세 명의 역사학자가 직접 고조선 땅을 밟으며 건져올린 생생한 현장 기록과 사진, 풍부한 사료와 유물을 통해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실체를 파헤쳤다.

수차례에 걸친 고조선 강역의 답사 결과 고조선의 항신降臣들이 고조선 부흥운동에 나섰던 사실들을 밝혀냈으며, 낙랑군의 위치를 직접 답사까지 거쳐 증명한 최초의 책이다. 또한 그간 한반도 북부에 있다고 주장되어왔던 낙랑군 수성현의 위치를 중국 고대 사료와 하북성 현지답사로 찾아내는 성과를 거뒀다.

우리 고대사의 통설과 오류를 새롭게 점검하고 국사 교과서에 드러나는 답답한 모순들을 끄집어내 통쾌하게 정리했다. 국사 교과서에서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실제로 위만조선을 고조선 역사의 시작으로 기술한 이유, 준왕과 부왕의 존재에 대한 자가당착적 모순들, 동쪽의 진국이 식민사학자의 주장에 따라 남방의 진으로 바뀐 사연 등을 다양한 사료적 근거를 들어 객관적으로 바로잡고 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