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04.5.25
페이지
154쪽
상세 정보
정호승 시인이 5년 간의 침묵을 깨고 신작 시집을 출간했다. 시집에 실린 74편의 시 중 25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작이다. 시인은 "지난 5년 동안 시를 못 쓰는 상황에 대해 비참함을 느꼈다"고 고백하면서 "나는 모든 인간에게서 시를 본다"고 말한다.
시인은 맑은 시심으로 낮은 곳에 자리한 존재들의 구체적 삶을 그려내는데 몰두한다. 가난하고 버려진 사람들의 아픔에 주목하는 시인. 그는 노숙자, 독거노인, 무릎없는 걸인... 이처럼 고통받는 이들을 특유의 상상력으로 따스하게 위로한다. 장례식장 미화원 아주머니는 영안실 바닥에 앉아 주섬주섬 꽃을 주워먹고, 한 맹인 소녀는 식물원에서 나무들이 달아준 눈을 얻는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가족과 자신에 대한 이야기도 털어놓는다. 시적 자아는 '참회'를 멈추지 않는 자이며 이미 참회한 것을 깨달음으로 이어가는 자이다. 평론가 김수이는 시인이 "인간과 새, 바닥과 산정은 같은 세계'이며 "이 두 세계를 연결하는 힘은 인간이며 시인의 수고"라고 평했다.
상세정보
정호승 시인이 5년 간의 침묵을 깨고 신작 시집을 출간했다. 시집에 실린 74편의 시 중 25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신작이다. 시인은 "지난 5년 동안 시를 못 쓰는 상황에 대해 비참함을 느꼈다"고 고백하면서 "나는 모든 인간에게서 시를 본다"고 말한다.
시인은 맑은 시심으로 낮은 곳에 자리한 존재들의 구체적 삶을 그려내는데 몰두한다. 가난하고 버려진 사람들의 아픔에 주목하는 시인. 그는 노숙자, 독거노인, 무릎없는 걸인... 이처럼 고통받는 이들을 특유의 상상력으로 따스하게 위로한다. 장례식장 미화원 아주머니는 영안실 바닥에 앉아 주섬주섬 꽃을 주워먹고, 한 맹인 소녀는 식물원에서 나무들이 달아준 눈을 얻는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가족과 자신에 대한 이야기도 털어놓는다. 시적 자아는 '참회'를 멈추지 않는 자이며 이미 참회한 것을 깨달음으로 이어가는 자이다. 평론가 김수이는 시인이 "인간과 새, 바닥과 산정은 같은 세계'이며 "이 두 세계를 연결하는 힘은 인간이며 시인의 수고"라고 평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