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세상의 끝

장뤼크 라가르스 지음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펴냄

단지 세상의 끝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500원 10% 15,67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3.3.29

페이지

162쪽

상세 정보

지식을만드는지식 희곡선집. 라가르스가 세 번 고쳐 쓴 희곡인 이 작품에서 불치병으로 등장하는 루이는 에이즈로 사망한 작가의 분신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의 연극적 고뇌와 성찰이 반영된 독특한 형식, 시적인 문체가 어우러져 문학성과 연극성이 고루 고취된 작품이다.

어느 일요일, 어머니가 딸 쉬잔과 함께 살고 있는 집에 10년 전에 집을 떠났던 장남 루이가 돌아온다. 다가오고 있는 죽음을 식구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다. 작은아들 내외인 앙투안, 카트린까지 모처럼 가족이 만나는 자리지만 식구들이 쏟아붓는 원망, 비난, 분노, 죄의식, 책임감 등 말의 홍수 앞에서 루이는 정작 하고 싶었던 말은 하나도 하지 못하고 집을 떠난다. 탕자 아들의 귀환, 카인과 아벨, 율리시스 같은 성경이나 신화에서 차용한 테마를 찾아볼 수 있으며 가족, 소통 부재, 고독, 사랑과 죽음, 부재, 실종, 여행, 허위의식 등의 주제도 엿보인다.

대사가 유연하게 흐르지 못하고, 망설임·반복·본론에서 벗어난 이야기·마침표와 쉼표의 나열·시적인 문체·파편화·콜라주 등의 요소로 말하기의 어려움을 표현했다. 시간 흐름이 논리적이지 않고 무질서한 기억에 따라 시간이 회귀하는 부분도 형식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김은주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은주

@lxbcdkxi9xd3

단순히 자비에돌란 영화를 보기전 읽은 원작 책

"지금까지는 전혀 알지 못했지만, 내가 불평했던 그 사랑의 결핍이 언제나 날 비겁하게 만든 유일한 이유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사랑의 결핍은 언제나 나보다도 다른 사람들을 더 상처받게 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한 마디 할 수도 없고 나한테 한 마디 할 의무도 없는 죽은 나를 사랑하는 것처럼 살아 있는 나를 그들은 이미 사랑하고 있었다는 이상하고도 절망적인 그리고 계속 사라지지 않는 생각으로 난 잠에서 깨어있던 것이다."

독백들 만큼이나 가족은 나를 이해하고 있을까
역시나 슬프게 그럴 수 없는 것이 당연한듯 아닌 듯
무엇이 가족이지?

단지 세상의 끝

장뤼크 라가르스 지음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펴냄

읽었어요
2016년 11월 9일
2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지식을만드는지식 희곡선집. 라가르스가 세 번 고쳐 쓴 희곡인 이 작품에서 불치병으로 등장하는 루이는 에이즈로 사망한 작가의 분신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의 연극적 고뇌와 성찰이 반영된 독특한 형식, 시적인 문체가 어우러져 문학성과 연극성이 고루 고취된 작품이다.

어느 일요일, 어머니가 딸 쉬잔과 함께 살고 있는 집에 10년 전에 집을 떠났던 장남 루이가 돌아온다. 다가오고 있는 죽음을 식구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다. 작은아들 내외인 앙투안, 카트린까지 모처럼 가족이 만나는 자리지만 식구들이 쏟아붓는 원망, 비난, 분노, 죄의식, 책임감 등 말의 홍수 앞에서 루이는 정작 하고 싶었던 말은 하나도 하지 못하고 집을 떠난다. 탕자 아들의 귀환, 카인과 아벨, 율리시스 같은 성경이나 신화에서 차용한 테마를 찾아볼 수 있으며 가족, 소통 부재, 고독, 사랑과 죽음, 부재, 실종, 여행, 허위의식 등의 주제도 엿보인다.

대사가 유연하게 흐르지 못하고, 망설임·반복·본론에서 벗어난 이야기·마침표와 쉼표의 나열·시적인 문체·파편화·콜라주 등의 요소로 말하기의 어려움을 표현했다. 시간 흐름이 논리적이지 않고 무질서한 기억에 따라 시간이 회귀하는 부분도 형식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출판사 책 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희곡선집>은 인류의 유산으로 남을 만한 작품만을 선정합니다. 오랜 시간 그 작품을 연구한 전문가가 정확한 번역, 전문적인 해설, 풍부한 작가 소개, 친절한 주석을 제공하는 고급 희곡 선집입니다.

라가르스가 세 번 고쳐 쓴 희곡이다. 작품에서 불치병으로 등장하는 루이는 에이즈로 사망한 작가의 분신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의 연극적 고뇌와 성찰이 반영된 독특한 형식, 시적인 문체가 어우러져 문학성과 연극성이 고루 고취된 작품이다.
어느 일요일, 어머니가 딸 쉬잔과 함께 살고 있는 집에 10년 전에 집을 떠났던 장남 루이가 돌아온다. 다가오고 있는 죽음을 식구들에게 알리기 위해서다. 작은아들 내외인 앙투안, 카트린까지 모처럼 가족이 만나는 자리지만 식구들이 쏟아붓는 원망, 비난, 분노, 죄의식, 책임감 등 말의 홍수 앞에서 루이는 정작 하고 싶었던 말은 하나도 하지 못하고 집을 떠난다. 탕자 아들의 귀환, 카인과 아벨, 율리시스 같은 성경이나 신화에서 차용한 테마를 찾아볼 수 있으며 가족, 소통 부재, 고독, 사랑과 죽음, 부재, 실종, 여행, 허위의식 등의 주제도 엿보인다.
대사가 유연하게 흐르지 못하고, 망설임·반복·본론에서 벗어난 이야기·마침표와 쉼표의 나열·시적인 문체·파편화·콜라주 등의 요소로 말하기의 어려움을 표현했다. 시간 흐름이 논리적이지 않고 무질서한 기억에 따라 시간이 회귀하는 부분도 형식에서 보이는 특징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