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릅나무 밑의 욕망

유진 오닐 지음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펴냄

느릅나무 밑의 욕망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2,000원 10% 12,0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0.2.15

페이지

132쪽

상세 정보

미국 현대 연극의 아버지로 불리는 유진 오닐의 대표작으로, 아버지에 대한 반항, 근친상간, 영아 살해 등을 내용으로 하여 1924년 발표 당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인생을 대립되는 두 힘 사이의 갈등으로 바라본 유진 오닐의 비극적 인생관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다.

청교도적인 규율에 얽매인 아버지와 이에 모성으로 맞서는 느릅나무의 대비구도 속에서, 작중인물들은 물질에 대한 탐욕이 아닌 본능과 열정에 충실한 사랑을 깨닫게 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SIA님의 프로필 이미지

SIA

@q8kr11q58ngu

#ebook #이북
#느릅나무밑의욕망

1924년 11월11일 뉴욕시 그리니치빌리지 극장에서 초연된 이후,
근친상간, 유아살해라는 비극적인 주제를 내세우며 가족 간의 갈등을 다루고 있다. 그 때문에 발표 당시 상연이 금지되었다.

미국 극작가인 유진 오닐의 이 작품은 연극 대본을 넘어 '비극' 안에서 벌어질 수 있는 각 인물 간의 이해관계나 심리적 이해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도스트예프스키 이후로 정말 마음에 드는 작가이다.
영화 버전이 궁금해서 DVD도 구매해서 보았지만, 조금 더 유진 오닐이 표현하고자 했던 채색되지 않은 욕망 그대로를 더 강렬하게 보여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하지만 시대가 시대이니만큼 타협이 필요했을 것으로 보인다.

느릅나무 밑의 욕망

유진 오닐 지음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펴냄

2020년 11월 26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미국 현대 연극의 아버지로 불리는 유진 오닐의 대표작으로, 아버지에 대한 반항, 근친상간, 영아 살해 등을 내용으로 하여 1924년 발표 당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인생을 대립되는 두 힘 사이의 갈등으로 바라본 유진 오닐의 비극적 인생관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다.

청교도적인 규율에 얽매인 아버지와 이에 모성으로 맞서는 느릅나무의 대비구도 속에서, 작중인물들은 물질에 대한 탐욕이 아닌 본능과 열정에 충실한 사랑을 깨닫게 된다.

출판사 책 소개

미국 현대 연극의 아버지로 불리는 유진 오닐의 대표작으로, 아버지에 대한 반항, 근친상간, 영아 살해 등을 내용으로 하여 1924년 발표 당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인생을 대립되는 두 힘 사이의 갈등으로 바라본 오닐의 비극적 인생관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다. 청교도적인 규율에 얽매인 아버지와 이에 모성으로 맞서는 느릅나무의 대비구도 속에서, 작중인물들은 물질에 대한 탐욕이 아닌 본능과 열정에 충실한 사랑을 깨닫게 된다.

오닐의 비극관이 가장 잘 나타난 작품 중 하나
유진 오닐의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인생을 불행하게 만드는 불가해한 세력을 밝혀내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그는 신에 대한 신앙과 전통적 가치 체계에 대한 신념이 붕괴된 사회에서 무엇이 인간의 운명을 결정짓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것을 희극보다는 비극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인생 자체가 비극이다”라고 말하며 비극이 외면적으로는 패배를 가져다줄지는 모르지만 인간의 비극적 투쟁이 정신적인 승리를 가져다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작품은 두 대립되는 힘 사이의 갈등으로 인생을 바라본 오닐의 비극관이 가장 잘 나타난 작품 중 하나다. 느릅나무는 전제적이고 탐욕적인 캐벗의 위력에 맞서는 힘이 된다. 캐벗이 대표하는 뉴잉글랜드의 엄격한 청교도주의, 탐욕, 계율, 억압에 대비되는 느릅나무는 감성, 사랑, 열정, 욕망, 생에 대한 환희를 상징한다. 이 작품은 이 두 세력 간의 대결 구도로 전개된다.

모든 비극적 주인공이 그러하듯이 깨달음은 항상 뒤늦게 찾아온다
막내아들 이븐의 눈에 비치는 아버지 캐벗은 자신의 어머니를 혹사해 죽게 만들었을 뿐 아니라 어머니의 재산도 가로챘으며, 오로지 물질에 대한 탐욕에 눈이 멀어 이복형들을 비롯한 세 아들을 부려먹기만 하는 존재다. 청교도적인 계율에 얽매이고 복종만을 강요하는 아버지에 대한 원망과 그러한 아버지로부터 어머니를 지켜주지 못한 죄책감이 이븐의 모든 행동의 동기가 된다.
이러한 이븐과 그의 계모인 애비는 처음 만났을 때 각자가 지닌 물질과 탐욕의 성격이 충돌하여 갈등하지만, 결국 원초적인 본능에 자신들을 굴복시키면서 사랑을 하게 된다. 결국 작가가 강조하고자 한 것은 이븐과 애비가 대표하는 본능과 열정에 충실한 사랑이다. 이븐과 애비는 나름대로의 계산과 속셈을 가지고 서로에게 접근하지만 느릅나무가 상징하는 모성의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 탐욕과 갈등, 오해를 거쳐 진정한 깨달음에 이른 후, 육체적으로는 파멸을 맞을지 모르나 정신적으로는 승리하는 비극적 존엄성을 이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