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 기억

윤이형 지음 | 은행나무 펴냄

개인적 기억 :윤이형 소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8,000원 10% 7,2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5.6.29

페이지

140쪽

상세 정보

2005년 중앙신인문학상으로 데뷔해 <셋을 위한 왈츠>, <큰 늑대 파랑> 등 두 권의 소설집을 상재하고 제5회 문지문학상을 수상한 윤이형 소설. 3~4백매 분량의 중편소설 시리즈로 한국문학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고 있는 '은행나무 노벨라' 아홉 번째 수록 작품이다.

과잉기억증후군에 걸린 남자를 주인공으로,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는 개인적 기억의 의미와 가치를 묻는 소설이다. 작가는 어머니 장례식 후 보르헤스의 소설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필사하는 것으로 촉발된 주인공의 '기억 여정'을 통해 기억과 망각의 섬세하면서도 치열한 싸움의 과정을 고스란히 형상화해낸다.

그동안 발표하는 작품마다 평단과 독자들로부터 '미래적이고 낯설고 혁신적이다'라는 평가를 받아온 작가는, 이번 소설 <개인적 기억>에서도 현실과 가상, 현재와 미래의 이분법적 구분을 뛰어넘는 통합적 상상력과 의식의 흐름을 보여주는 기존 소설과의 상호텍스트성, 특유의 사유적 문장들로 독자를 새로운 소설의 세계로 안내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Jen님의 프로필 이미지

Jen

@jenbqjr

- 가치 있는 행동, 소중한 말들, 깊이 있는 것들을 내 안에 가득차게 하고싶다.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은 것들은 놓아주지 말아야겠다.

- 아픈 말들, 외면하고 싶은 것들, 내 마음을 어지럽히는 것들과는 화해하고 놓아주어야겠다. 자연스럽게 망각될 수 있게. 이게 얼마나 큰 축복이고, 행운인지...

- 다른 누군가 가지고 있는 고민,
별 것도 아니라고 여겼던 내가 생각났다.
반대로, 내 고민도 그럴 수 있겠구나.
설령 내가 이해받지 못하더라도,
나는 가볍게 여기지 않아야지.
깊은 사람이 되어야지.

개인적 기억

윤이형 지음
은행나무 펴냄

2019년 12월 22일
0
김사슴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사슴

@gimsasm

기억은 무엇일까

모든 것을 전부 기억하는 남자와
잊고 싶은 것을 잊어서 사는 여자의 이야기

개인적 기억

윤이형 지음
은행나무 펴냄

👍 외로울 때 추천!
2019년 5월 17일
0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2005년 중앙신인문학상으로 데뷔해 <셋을 위한 왈츠>, <큰 늑대 파랑> 등 두 권의 소설집을 상재하고 제5회 문지문학상을 수상한 윤이형 소설. 3~4백매 분량의 중편소설 시리즈로 한국문학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고 있는 '은행나무 노벨라' 아홉 번째 수록 작품이다.

과잉기억증후군에 걸린 남자를 주인공으로,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는 개인적 기억의 의미와 가치를 묻는 소설이다. 작가는 어머니 장례식 후 보르헤스의 소설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필사하는 것으로 촉발된 주인공의 '기억 여정'을 통해 기억과 망각의 섬세하면서도 치열한 싸움의 과정을 고스란히 형상화해낸다.

그동안 발표하는 작품마다 평단과 독자들로부터 '미래적이고 낯설고 혁신적이다'라는 평가를 받아온 작가는, 이번 소설 <개인적 기억>에서도 현실과 가상, 현재와 미래의 이분법적 구분을 뛰어넘는 통합적 상상력과 의식의 흐름을 보여주는 기존 소설과의 상호텍스트성, 특유의 사유적 문장들로 독자를 새로운 소설의 세계로 안내한다.

출판사 책 소개

‘너 하나를 기억하기 위해 세계를 잊다…’
윤이형 신작 《개인적 기억》, ‘은행나무 노벨라’ 아홉 번째 소설 출간


2005년 중앙신인문학상으로 데뷔해 《셋을 위한 왈츠》 《큰 늑대 파랑》 등 두 권의 소설집을 상재하고 제5회 문지문학상을 수상한 윤이형의 신작 소설 《개인적 기억》이 출간되었다. 이 작품은 3~4백매 분량의 중편소설 시리즈로 한국문학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고 있는 ‘은행나무 노벨라’ 아홉 번째 수록 작품이다.
윤이형의 《개인적 기억》은 과잉기억증후군에 걸린 남자를 주인공으로, 자아와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는 개인적 기억의 의미와 가치를 묻는 소설이다. 작가는 어머니 장례식 후 보르헤스의 소설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필사하는 것으로 촉발된 주인공의 ‘기억 여정’을 통해 기억과 망각의 섬세하면서도 치열한 싸움의 과정을 고스란히 형상화해낸다.
그동안 발표하는 작품마다 평단과 독자들로부터 ‘미래적이고 낯설고 혁신적이다’라는 평가를 받아온 작가는, 이번 소설 《개인적 기억》에서도 현실과 가상, 현재와 미래의 이분법적 구분을 뛰어넘는 통합적 상상력과 의식의 흐름을 보여주는 기존 소설과의 상호텍스트성, 특유의 사유적 문장들로 독자를 새로운 소설의 세계로 안내한다.

영원하지 않을 것들의 애틋함, 슬픔의 태도에 관한 은유

책을 읽어야겠어. 나 자신의 목소리가 다시 내게 속삭였다. 저길 다시 책들로 가득 채워. 하나씩 하나씩 꺼내 펼치고, 첫 페이지부터 읽는 거야. 천천히. 뭘 위해서? (…) 아마도 보통 사람들이 직관이라 부를 만한 것으로 나는 알았다. 내가 그 소설을 한 자 한 자 모니터 위에 받아 적어야 하며, 그 일을 끝낸 뒤에야 어떤 다른 책을, 아마도 세상의 다른 모든 책들을 읽을 수 있으리라는 사실을. 반드시 성공하리라는 보장은 없지만 이것이 숨겨져 있던 진짜 관문이며, 그것을 통과한 다음에야 내가 남은 삶을 살아낼 수 있으리라는 것을. _본문 15~16쪽

소설은 2058년 어느 날, 어머니의 장례식을 치르고 상심에 잠긴 ‘나’(지율)의 결심에서 시작한다. 그는 과거에 과잉기억증후군으로 고통받았지만 현재는 기억을 통제하는 훈련과 약을 통해 평범한 기억력을 갖게 된 사람이다. 책을 펼치면 단어에 관련된 모든 기억이 떠오르는 탓에 난독증을 앓았던 지율은 문득 ‘책을 읽는’ 행위가 지금 자신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리라는 생각에 사로잡힌다. 집에는 책이 한 권도 없었으므로 그는 유일하게 기억에 남아 있는 한 권의 책 보르헤스의 소설집 《픽션들》 중 단편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떠올리고 기억에 의존해 한 자 한 자 컴퓨터 화면에 받아 적기로 한다. <기억의 천재 푸네스>는 말에서 떨어지는 사고를 당한 뒤 모든 것을 기억하는 능력을 갖게 된 남자의 이야기로, 한 번 본 것을 결코 잊지 못하는 지율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푸네스 쪽이 훨씬 더 뛰어난 기억력을 갖고 있었다는 것, 그리고 푸네스와는 달리 지율 자신은 기억에 짓눌려 삶이 없어지기 직전인 상태에서 빠져나올 수 있었다는 것. 20년 전 어느 날 기억 속 ‘그녀’(은유)가 읽어준 이 소설은 글자가 아닌 소리로서 그의 머릿속에 들어 있다.

나는 키보드에 손을 얹고 새문서 파일을 열었다. 첫 문장은 쉬웠다. 예상보다는 쉬웠다. ‘나는 손에 칙칙한 빛깔의 <시계초>를 들고 있던 그를 기억한다.’ 그다음 두 문장은 어쩐지 주저하는 것처럼 느껴졌는데, 그건 그것들이 괄호 안에 들어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내가 주의를 집중하자 그것들은 순순하게 기억에서 끌려나왔다. ‘(나는 <기억한다>라는 이 신성한 동사를 입에 올릴 자격이 없다. 지구상에서 단 한 사람만이 그러한 자격을 가지고 있는데 그 사람은 이미 죽었다.)’ _본문 17쪽

통제할 수 없는 끌림으로 지율은 오로지 기억 속 목소리에 의존해 수일에 걸쳐 <기억의 천재 푸네스>의 문장들을 적어 내려간다. 개인적인 삶에 속하는 기억이라는 이유로 그의 머릿속에 남아 있던 문장들은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조금씩 의심과 두려움으로 치환된다. 작품 속에 실제로 그러한 문장들이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는 생각에 그는 책을 구해보기로 한다. 그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전화해 거의 육십 년 전에 출간되었던 민음사 판본의 보르헤스전집 2권 《픽션들》, 1994년에 1판 1쇄가 출간되고 1판 31쇄인 그 책을 수소문한다.
며칠 뒤 책을 입수한 그는 머릿속에 들어 있는 <기억의 천재 푸네스>와 한 번도 읽어본 적 없는 그 소설의 원본 텍스트를 천천히 대조한다. 몇 시간에 걸친 대조 작업을 끝마친 그의 머릿속에 열한 자리 전화번호가 떠오른다. 기억이 또 다른 기억을 소환하는 것이다. 오래전 그녀가 전화번호를 적어준 냅킨 가장자리의 무늬가 선명하게 그려지고, 그것을 만졌을 때의 촉감이 손끝에 되살아난다. 지율은 어쩐지 은유가 자신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을 것 같다는 막연한 생각에 사로잡히며 회상에 잠기는데……
삶에 관계된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와, 삶이 너무 시시해서 의식적으로 기억하기를 거부하는 여자. 오래전 연인이었던 두 사람의 빛바랜 기억에 따스한 숨이 입혀진다.

한 줄로 요약될 수 없는 우리 삶에 바치는 문학적 헌사

우리는 살면서 많은 순간을 마주친다. 의미 있는 순간은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어 하고, 끔찍한 순간은 빨리 잊고 싶어 한다. 기억력이 남들보다 조금 좋을 순 있지만 《개인적 기억》의 지율이나 <기억의 천재 푸네스>의 푸네스처럼 모든 것을 기억할 수는 없다. 산다는 것은 기억을 보태는 일이고 또 망각해가는 과정이니까. 대체로 기억은 편집과 요약의 결과이고 뜨겁게 사랑했던 사람에 대한 회상이 단 한 줄의 문장으로 남기도 하는 법이다.
《개인적 기억》에서 작가는 초기억력을 가진 주인공 지율을 통해 한 줄로 요약될 수 없는 개인의 삶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설파한다. 지율의 기억력은 너무도 왕성해서 “기억이라는 괴물과 싸우고 있다”고 표현할 정도로 현재의 삶을 괴롭힌다. 그에게 모든 순간은 선택 불가능하지만 기억할 만한 어떤 것이다. 반면 점점 기억력이 약해지는 은유에게 삶은 기억할 거리가 없는 시시한 순간의 연속이다.
《개인적 기억》은 스스로를 무력한 개인일 뿐이라고 여기는 사람들을 위한 소설이다. 작가의 말’에서 윤이형은 보잘것없는 개인, 의미 없는 개인의 기억은 없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기억은 미래이다. 무엇을 기억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진다. 사랑하는 한 사람을 기억하기 위해 다른 모든 것을 잊을 수 있다면, 그것도 꽤 특별하고 의미 있는 삶이 아닐까. 이제 당신은 무엇을 잊고 무엇을 기억할 것인가.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