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이성비판 1

임마누엘 칸트 지음 | 아카넷 펴냄

순수이성비판 1 (대우고전총서 19)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28,000원 10% 26,6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06.6.25

페이지

522쪽

상세 정보

칸트가 남긴 많은 저술이 있지만, 그 모든 것이 <순수이성비판> (1781, 1787)을 접점으로 해서만 의미를 얻을 수 있기에, 이 책의 중요성은 새삼스럽게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일찍이 우리 학계에도 그 의의를 알아, 이미 8종의 한국어 번역본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번역은 일종의 해석으로서 연구 수준에 따라 그 질이 다르게 마련이고, 세월이 지나면서 사용하는 말도 제법 많이 변하기 때문에, 여전히 새로운 번역은 언제나 필요하다.

이 책은 서울대 철학과 백종현 교수의 20년 이상의 주해 연구와 강독, 그리고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국내외 연구 성과 및 최근에 학계에서 벌인 번역어 표준화 작업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상당수의 주요 번역어를 교체하면서 기존의 한국어 번역본은 물론, 주요한 영어 번역본과 일본어, 중국어 번역도 또한 참조하였다.

번역에는 칸드 원전 제 1판(A판)과 제2판 (B판)을 표준으로 삼고, 베를린 학술원판과 W.Weischedel판(1956,1983), 그리고 이용하기에 가장 편리하게 편집된 R.Schmidt판 및 가장 최근에 새롭게 교열 편집된 J.Timmenmann (1998) 등을 참조하였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3

KSY님의 프로필 이미지

KSY

@ksyi4lk

철학에 대해 어느정도 알았다 생각햐서 이 책을 펼쳤다.
문체가 어렵고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도 모르겠으며 처음에는 하루에 10장 읽기도 힘들었다. 그러나 책 내용에 그 시대에 철학과 생각을 들여다볼 수 있어서 철학을 공부하면 읽는 걸 추천한다. 다른 것을 참고해보면서 조금 씩 읽다보면 어느정도는 이해할 수 있게되었다, 10%는.....
이 책은 철학을 좀더 공부한 후 다시 읽을 예정이다.....

순수이성비판 1

임마누엘 칸트 지음
아카넷 펴냄

👍 일상의 재미를 원할 때 추천!
2021년 10월 17일
0
이경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경우

@yikyungwoo

1편은 사실상
해체편이라고 할 수 있다

순수이성비판 1

임마누엘 칸트 지음
아카넷 펴냄

2020년 5월 4일
0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Kim

@cfbivsktguze

무릇 고전(classic)이라 일컬음 받는 작품은 당대 시대의 이데올로기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둘게 하는 작품들이다. 그런 점에서 임마누엘 칸트는 당시의 미성숙한 우리의 이성의 한계가 어디에 있는지 분석하고자 했고 우리의 순수한 이성을 이성적 도구를 사용해 비판에 성공했다. 우리 이성의 한계와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는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형이상학적으로 엿보고 싶다면 이 책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구축하는것이 좋을 것이다. 적극 추천한다.

순수이성비판 1

임마누엘 칸트 지음
아카넷 펴냄

2019년 6월 29일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칸트가 남긴 많은 저술이 있지만, 그 모든 것이 <순수이성비판> (1781, 1787)을 접점으로 해서만 의미를 얻을 수 있기에, 이 책의 중요성은 새삼스럽게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일찍이 우리 학계에도 그 의의를 알아, 이미 8종의 한국어 번역본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번역은 일종의 해석으로서 연구 수준에 따라 그 질이 다르게 마련이고, 세월이 지나면서 사용하는 말도 제법 많이 변하기 때문에, 여전히 새로운 번역은 언제나 필요하다.

이 책은 서울대 철학과 백종현 교수의 20년 이상의 주해 연구와 강독, 그리고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국내외 연구 성과 및 최근에 학계에서 벌인 번역어 표준화 작업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상당수의 주요 번역어를 교체하면서 기존의 한국어 번역본은 물론, 주요한 영어 번역본과 일본어, 중국어 번역도 또한 참조하였다.

번역에는 칸드 원전 제 1판(A판)과 제2판 (B판)을 표준으로 삼고, 베를린 학술원판과 W.Weischedel판(1956,1983), 그리고 이용하기에 가장 편리하게 편집된 R.Schmidt판 및 가장 최근에 새롭게 교열 편집된 J.Timmenmann (1998) 등을 참조하였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