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3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8.6.5
페이지
223쪽
상세 정보
2008년, 한국 현대시 100주년을 맞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을 엮은 책. 「조선일보」에서 ‘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이라는 타이틀로 1월 1일부터 5월 4일까지 연재했었다. 100명의 시인들이 추천한 다양한 시는 김소월, 한용운부터 김수영과 기형도, 그리고 안현미와 김경주 같은 젊은 시인들까지 두루 소개되고 있다. 여기에 정끝별과 문태준 시인의 맛깔스러운 해설, 그리고 권신아와 잠산의 그림이 어우러졌다.
추천 게시물
김 동욱
@noin
도덕의 시간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빈칸
@binkan
역사서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빈칸
@binkan
역사서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4 /제한 없음
정모/행사 혼모노 완독하기 도전!
7월 4일 (금) 오전 12:00 · 무료 · 1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4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상세정보
2008년, 한국 현대시 100주년을 맞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을 엮은 책. 「조선일보」에서 ‘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이라는 타이틀로 1월 1일부터 5월 4일까지 연재했었다. 100명의 시인들이 추천한 다양한 시는 김소월, 한용운부터 김수영과 기형도, 그리고 안현미와 김경주 같은 젊은 시인들까지 두루 소개되고 있다. 여기에 정끝별과 문태준 시인의 맛깔스러운 해설, 그리고 권신아와 잠산의 그림이 어우러졌다.
출판사 책 소개
시시지락(詩詩之樂)을 꿈꾸며 시의 부활을 노래하다
1908년에 발표된 육당 최남선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효시로 한국 현대시가 10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하여 조선일보에서는 ‘한국 현대시 100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시 100편’이라는 타이틀로 1월 1일부터 5월 4일까지 연재하였고, 시 연재의 새 바람을 일으키며 문단과 독자들에게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전국의 시 애호가들 사이에 신문 스크랩 열풍을 불러일으켰으며, 개인 홈페이지와 블로그에 시를 퍼 나르는 ‘사이버 스크랩족(族)’들도 생겨났다. 이를 책으로 엮어 달라는 독자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마침내 민음사에서 출간되었다.
‘베스트 시 100편’이 아닌 ‘애송시 100편’인 만큼 문학사적 의미를 따지기보다는 입에 착착 붙는 시들이 많다. 해설자들이 개인적인 취향으로 시를 고른 것이 아니라 100명의 시인들이 시를 추천했기 때문에 다양한 시가 소개됐다. 김소월, 한용운부터 김수영, 기형도를 거쳐 안현미, 김경주 같은 젊은 시인들의 시가 나란히 소개된 것이 참신하다. 여기에 정끝별·문태준 시인의 깊이와 재미를 아우르는 맛깔스러운 해설과 인기 일러스트레이터 권신아?잠산의 감각적인 그림이 어우러져 시의 감동을 더했다.
해설자들은 연재할 시들의 정본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이 가장 힘들었다고 한다. 맞춤법조차 확립되지 않았을 때 쓰인 시들이 다수였고, 개정판을 낼 때 시인 스스로 작품을 고친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사투리 처리 문제도 늘 고민거리였다. 고민 끝에, 시의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현행 맞춤법 규정을 따랐으나, 단, 어감이 현저하게 달라질 경우를 고려하여 고어, 사투리, 뉘앙스가 있는 것들은 그대로 두었다.
해설을 맡은 정끝별 시인은 “전통적인 애송시와 함께 최근 발표된 시들이 골고루 포함돼 있기 때문에 독자들이 풍성함과 신선한 느낌을 함께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으며, 문태준 시인은 “예전에는 시집이 서점에서 독자를 기다렸지만, 지금은 시를 소개할 다양한 무대와 장치를 고안해서 시가 독자를 찾아가야 한다.”라고 말하며 시단의 적극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오세영 서울대 명예교수는 “신문에서 시를 연재하며 이렇게 많은 시인을 참여시킨 전례가 없다. 기획에서부터 시인들과 국민이 동참하도록 해 시 연재를 국민적 축제로 격상시켰다.”라고 평가했으며, 최동호 고려대 국문과 교수는 일러스트에 주목하며 “젊은 영상 세대들까지 끌어들인 멋진 발상이다. 함께 소개된 일러스트는 시라는 장르가 원래 그림이나 노래와 함께 하나로 향유되던 예술이었다는 점을 새삼 일깨워 주었고, 디지털 시대에 시와 다른 장르의 성공적인 합일 가능성까지 엿보게 한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애송시 100편 어떻게 골랐나
100편의 시를 선정하기 위해 현역 시인 100명에게 각자 10편씩 추천을 의뢰했다. 그 결과 156명의 시인이 쓴 작품 429편이 1회 이상 추천을 받았다. 현대시 100년이 이룬 다양한 성과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다수 추천작 순으로 시를 선정하는 대신 2회 이상 추천을 받은 시인 89명과, 1회 추천 시인 가운데 11명을 추가해 100명의 시인을 확정했고, 시인마다 1편씩 소개하는 방식으로 연재 대상 시를 골랐다.
설문 결과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시는 김수영의 「풀」이었다. 이 밖에 한용운 「님의 침묵」,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김소월 「진달래꽃」, 김춘수 「꽃」, 윤동주 「서시」, 서정주 「동천」, 신경림 「농무」, 정지용 「향수」, 박목월 「나그네」가 ‘추천 횟수 베스트 10’에 포함됐다. 작가별로는 서정주 시인이 62회 추천을 받아 이 부문 수위를 기록했으며, 김수영 시인은 58회로 2위에 올랐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