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소셜네트워크 시대, 가면 뒤에 숨은 욕망을 보라
Part 1 CULTURE CODE
1 가면을 쓴 사람들, 가면에 지친 사람들
안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증가│'좋아요'에 지친 사람들│페이스북 탈출하기│잊힐 권리 vs 기억할 권리│'밀회 신드롬'│'주폭'이라는 부끄러운 민낯│권위와 차별을 위한 가면
2 킨포크 스타일과 잉여들의 전성시대
킨포크 스타일과 느리게 사는 사람들│수백 년 된 고택에서의 하룻밤│제주에서 한 달 살기│멀리 더 멀리, 명절에 떠나는 사람들│멍 때리기 대회│쓸데없음의 쓸 데 있음│슈퍼마리오에 목숨 건 어른들
3 이촌향도? 이젠 이도향촌!
서울을 떠나는 사람들│전세난민 도미노│집, 팔 사람만 있고 살 사람은 없다│왜 그들은 제주로 갈까│시골에 가는 3040│귀농·귀촌에 부는 두 가지 바람│한국인의 92퍼센트가 도시에 산다
4 예쁘게, 더 예쁘게
단언컨대 한국 여자가 제일 예쁘다│SNS가 성형수술을 부추긴다?│세계에서 성형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서울 20대 여성 5명 중 1명은 저체중│셀카 열풍, 스마트폰을 바꾸다│셀카봉에 숨은 트렌드 코드
5 코딩 열풍과 공부에 대한 이중적 태도
코딩 배우는 초딩│기업이 이끄는 코딩 열풍│독서, 스펙이 되다│입시 대리모와 공부 알약│대한항공 국제선엔 왜 아동 인솔 서비스가 있을까│줄어드는 대학 진학률과 사교육│진짜 공부가 필요하다
6 불안, 일상이 되다
묻지 마 범죄에 대한 불안감│땅 밑엔 싱크홀, 땅 위엔 강력 범죄│5초마다 찍히는 CCTV 천국│가족관계증명서, 이젠 아무나 못 본다│당신의 섹스 동영상이 인터넷에 유포된다면?│'글루텐 프리' 마케팅│미세먼지의 공포
7 열심히 달렸지만 우린 행복해지지 않았다
한국인은 얼마나 행복할까│OECD 최고의 자살률│혼자만의 감옥, 우울증에 갇히다│없는 사람 걸어갈 때 있는 사람 뛰어갔다│떨어지는 민생지수, 나빠지는 서민 경제│보험을 해지하는 사람들│당장 쓸 돈도 없다│개천에선 용이 나지 않는 시대│직장인의 행복을 말하다
Part 2 LIFE STYLE
8 빵로드와 커피홀릭
빵로드에 나선 그녀들│동네 빵집에 주어진 마지막 기회│서울발 단팥빵 전쟁│밥보다 커피│왜 그녀들은 투명한 보틀에 열광하는가│마이 보틀에 담긴 욕망
9 사랑도 과외받는 시대, 달라진 연애관과 가족관
신자유주의 시대의 연애│가난하면 연애도 하지 마?│TV와 인터넷으로 연애를 배우다│연상연하 커플 증가세│요즘 착한 며느리가 예전 나쁜 며느리만 못하다?│당당한 처가살이│TV는 가족을 싣고│'프렌디'와 육아 휴직│굿바이 명절
10 노인을 위한 나라, 노인에 의한 나라
스코틀랜드 독립을 무산시킨 올드보이들│20대를 추월한 60대 고용률│디즈니랜드가 노인을 주목한 이유│고령 운전자 어느새 200만│자식 먹여 살리느라 허리 휜다│'다음 노인'은 다르다
11 뉴앙팡테리블, 일찍 철드는 아이들
문제집에 커버를 씌우는 이유│12.8세, 너무 조숙한 우리 아이들│한국의 일베와 홍콩의 10대│청소년에게 선거권을 허하라│10대 창업, 도전하고 실패하라
12 마초를 넘어 새로운 남자가 온다
이발소의 진화 '바버샵'│마초의 부활? 마초의 종말!│남자 간호사 1만 명 시대│한국에서 여자로 산다는 것│유리천장은 깨지지 않았다
13 조용한 사람들과 본질에 대한 자각
대화 금지 카페의 등장│통화보다 문자, 전화를 걸면 당황하는 사람들│템플스테이에서 나를 찾다│이효리-이상순, 정인-조정치 커플의 공통점은?│프랑스 엄마처럼│서울역 고가도로의 화려한 변신│적당히 벌고 아주 잘 살자
14 당신은 어떤 취미를 갖고 있습니까
5060, 즐거움을 찾아 나서다│등산, 독서, 음악… 변하지 않는 한국인의 여가 활동│스마트폰을 놓지 못하는 사람들│노인의 취미는 생존이자 복지
15 식탐사회, 특별함을 먹다
먹방에 열광하는 이유│김밥천국 vs 바르다 김선생│고등어 사라진 자리에 랍스터│보양식도 가볍게 편하게│슈퍼 곡물이 뜬다│한국인은 목마르다│당신만을 위한 원테이블 레스토랑
Part 3 BUSINESS & CONSUMPTION
16 잠들지 않는 대한민국, 시간을 팝니다
시간을 파는 카페│영화관에 빼앗긴 10분│가장 적게 자고 가장 많이 일하는 나라│저녁이 없는 삶│야식, 허한 마음을 채우다│늘어나는 심야식당, 우리의 밤은 여전히 밝다
17 사라진 5만 원권과 줄어드는 신용카드
그 많던 5만 원권은 다 어디 갔을까│돈이 너무 많아서 문제라고?│정승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쓴다│삼성, 현대차, SK… 기부금은 성적순│줄어드는 법인세, 늘어나는 소득세│천 원짜리 생수도 카드로 긁는다│젊은이들이 신용카드를 쓰지 않는 이유│40대의 꿈은 '인생 역전'│자영업의 위기는 계속된다│삼성이 무너지면 대한민국도 무너질까
18 연결된다, 고로 존재한다
'와이파이'는 우리의 기본 욕구│스마트냐 워치냐, 뜨거운 손목 전쟁│디자인계 거물들이 애플로 간 까닭│일상에 파고든 사물인터넷│좀비 피시보다 더 무서운 '좀비 냉장고'│지갑도 카드도 필요 없다, 웨어러블 뱅킹
19 소비의 진화, 쇼루밍과 프리미엄 인플레이션
쇼루밍족이 유통을 바꾼다│오프라인 매장은 변신 중│소비 채널의 변화, 직구족과 온라인의 성장│한국인도 '애정'하는 블랙프라이데이와 박싱데이│프리미엄 선호와 프리미엄 인플레이션│내복을 벗고 히트텍을 입다
20 욕망의 삼총사 자동차, 담배, 술
자동차 2000만 대 시대│크고 하얀 독일 차의 약진│디젤차 전성시대│담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누가 한국 남자를 담배에 중독시켰을까│2015년 치열한 맥주 전쟁
21 FAKE, 짝퉁의 유혹은 끝나지 않는다
가방에서 자동차 부품까지 '짝퉁 천국'│루이비통 뜨고 프라다 지고… 위조산업의 트렌드│해외 직구와 짝퉁의 상관관계│탐스슈즈 짝퉁을 신는 사람들│무서운 짝퉁, 샤오미와 화웨이
22 셜록이 우리 동네에 나타났다
한국판 셜록 홈즈 탄생할까│원격 진료와 의료 민영화, 이미 시작되었다│문화가 있는 수요일│일상의 불편을 해소해 드립니다│누군가의 위기는 누군가의 기회│설렁탕에 소면이 들어간 까닭은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