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4.7.5
페이지
272쪽
상세 정보
이종건 건축 비평집. 2013년 출간된 <건축 없는 국가>의 후속편으로 ‘오늘, 그리고 내일의 우리건축을 다르게 볼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비평적 탐문의 기록이다. 저자는 건축계의 부실한 존재 자체를 부정하며 가치 있는 이슈의 생산과 논의 구조를 통한 건축계의 구축이 급선무임을 제안한다.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는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시각에 기준하여 여러 매체에 발표된 글을 특정 주제로 다시 묶어낸 이 책의 궁극적 열쇠어는 건축 비평, 비평가의 정위에 관한 것이다.
추천 게시물
수지
@soojiht4a
달까지 가자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Ruu
@wishmtcp
내가 본 미래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만송
@msjuns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3 /70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혼모노 완독하기 도전!
7월 4일 (금) 오전 12:00 · 무료 · 1 /제한 없음
상세정보
이종건 건축 비평집. 2013년 출간된 <건축 없는 국가>의 후속편으로 ‘오늘, 그리고 내일의 우리건축을 다르게 볼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비평적 탐문의 기록이다. 저자는 건축계의 부실한 존재 자체를 부정하며 가치 있는 이슈의 생산과 논의 구조를 통한 건축계의 구축이 급선무임을 제안한다.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는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시각에 기준하여 여러 매체에 발표된 글을 특정 주제로 다시 묶어낸 이 책의 궁극적 열쇠어는 건축 비평, 비평가의 정위에 관한 것이다.
출판사 책 소개
저자 이종건은 한국건축비평의 아이콘임과 동시에 건축 판의 아웃사이더로 통한다. 이 책은 그가 지난 해 출간한 비평집 “건축 없는 국가”의 후속편으로 ‘오늘, 그리고 내일의 우리건축을 다르게 볼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비평적 탐문의 기록이다. 제목 “문제들”에서 엿볼 수 있듯이 저자는 건축계의 부실한 존재 자체를 부정하며 가치 있는 이슈의 생산과 논의 구조를 통한 건축계의 구축이 급선무임을 제안한다. 문제를 자각하지 못하는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는 시각에 기준하여 여러 매체에 발표된 글을 특정 주제로 다시 묶어낸 이 책의 궁극적 열쇠어는 건축 비평, 비평가의 정위에 관한 것이다.
저자는 에리히 프롬의 용어를 빌어 ‘혁명적 인간(들)’의 대거 출현을 통해 우리건축의 문제들이 하나둘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혁명적 인간형이 누군가. 혈연이나 지연의 속박으로부터, 부모로부터, 그리고 국가나 계급, 민족, 당파 또는 종교 등에 대한 특별한 충성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해방시키는 주체를 일컫는다. 이 같은 비판적 지식인 곧 비평가가 제 역할을 다할 때라야 만이 동료로서 건축가와 환경으로서 제도의 문제들을 풀어갈 수 있는 계기를 맞을 수 있다고 말한다. 그 작은 해방구를 저자는 이 책 “문제들”을 통해 제안하고 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