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시아문

마이다 슈이치 (지은이), 이현주 (옮긴이) 지음 | 삼인 펴냄

여시아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노라)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2,000원 10% 10,8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2.10.25

페이지

272쪽

#깨달음 #불교 #사상 #선생 #출판사북노마드대표추천 #학생

상세 정보

참스승 같은 책을 만나고 싶다면 바로 이 책.

삶의 방향이 '반대'로 돌려질지 모른다. 그러니 조심.

현대 일본 불교 사상가 가운데 하나인 마이다 슈이치가 스승인 아케가라수 하야에 관해 쓴 글을 주로 모은 책이다. 마이다는 열여덟 살 때 아케가라수의 강연을 처음 듣고 그 인격과 가르침에 감동해 자신의 인생 행로를 바꾸었다. 마이다 슈이치에게 스승 아케가라수는 붓다의 상(像)이자 이상적인 인간이었다.

마이다는 1만 쪽이 넘는 글을 남겼는데 그 대부분이 나가노에서 아케가라수 곁에서 지낸 21년 동안에 나온 것이다. 그 모든 글이 스승인 아케가라수의 가르침을 부연 설명한 주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 일부를 엮은 이 책 <여시아문>의 주제는 ‘선생과 학생의 관계’다.

마이다 슈이치는 자신이 아케가라수를 만나지 못했다면 불교가 무엇인지 알 수 없었을 것이라 믿었다. 그리고 불교는 몇 가지 추상적인 개념들을 배우는 데서가 아니라 살아 있는 한 인간을 만나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온 생을 통해 깨달았다. 특별한 선생을 모시는 일의 중요성은 일본의 양대 불교전통인 진종과 선종에서 함께 강조되고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이미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미연

@yimiyeonohbu

설정 쳐돌이가 거하게 반한 책.
끝까지 트릭을 예측할 수 없다.
야쿠자와 휘말린 위기에 몰린 남주가 우연히 만난 노파는
자신의 딸을 잔인하게 살해한 범인 둘이 출소하면 죽여주겠다는 것을 댓가로 새 삶을 살 수 있을 정도의 돈을 준다.
새 삶으로 위장한 남주가 행복한 삶을 이어가던 어느날 편지가 한통 도착하는데....
'그들이 출소했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약속

야쿠마루 가쿠 지음
북플라자 펴냄

47초 전
0
나연님의 프로필 이미지

나연

@nayeoncje4

  • 나연님의 윤슬의 바다 게시물 이미지

윤슬의 바다

백은별 지음
바른북스 펴냄

읽었어요
5분 전
0
.oO님의 프로필 이미지

.oO

@hyunminiedesu

  • .oO님의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로 했어 게시물 이미지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로 했어

천선란, 박해울, 박문영, 오정연, 이루카 (지은이) 지음
허블 펴냄

읽고있어요
22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현대 일본 불교 사상가 가운데 하나인 마이다 슈이치가 스승인 아케가라수 하야에 관해 쓴 글을 주로 모은 책이다. 마이다는 열여덟 살 때 아케가라수의 강연을 처음 듣고 그 인격과 가르침에 감동해 자신의 인생 행로를 바꾸었다. 마이다 슈이치에게 스승 아케가라수는 붓다의 상(像)이자 이상적인 인간이었다.

마이다는 1만 쪽이 넘는 글을 남겼는데 그 대부분이 나가노에서 아케가라수 곁에서 지낸 21년 동안에 나온 것이다. 그 모든 글이 스승인 아케가라수의 가르침을 부연 설명한 주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 일부를 엮은 이 책 <여시아문>의 주제는 ‘선생과 학생의 관계’다.

마이다 슈이치는 자신이 아케가라수를 만나지 못했다면 불교가 무엇인지 알 수 없었을 것이라 믿었다. 그리고 불교는 몇 가지 추상적인 개념들을 배우는 데서가 아니라 살아 있는 한 인간을 만나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온 생을 통해 깨달았다. 특별한 선생을 모시는 일의 중요성은 일본의 양대 불교전통인 진종과 선종에서 함께 강조되고 있다.

출판사 책 소개

“나는 아케가라수 스님을 만날 수 있었다.
나에게는 그를 떠나서 다른 불법(佛法)이 있을 수 없다.
그가 불법이다. 그가 석가모니 자신이다.
만일 이 생각이 잘못된 것이라면 나의 일생도 실패작이다.
그래도 좋다. 나는 만족하면서 죽을 것이다.”

한 인간의 정신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문제는
그가 선생을 만나느냐 만나지 못하느냐, 바로 그것이다


현대 일본 불교 사상가 가운데 하나인 마이다 슈이치(1906~1967)가 스승인 아케가라수 하야(1877~1954)에 관해 쓴 글을 주로 모은 책이다. 마이다는 열여덟 살 때 아케가라수의 강연을 처음 듣고 그 인격과 가르침에 감동해 자신의 인생 행로를 바꾸었다. 마이다 슈이치에게 아케가라수는 붓다의 상(像)이자 이상적인 인간이었다. 아케가라수의 강연을 처음 들었을 때 마이다는 과학을 전공하는 고등학생이었다. 그런 그가 아케가라수에 감화되어 과학에 흥미를 잃고 종교와 철학에 관한 책을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교토 대학에 들어가 니시다 기타로 밑에서 서양철학을 공부한다.
그 뒤 마이다 슈이치는 대학을 졸업하고 중학교 교사, 사범대학 교수로 일하며 불교 경전과 불교 사상가를 공부해 불교에 상당한 식견을 가진다. 마이다 슈이치가 아케가라수를 다시 만나게 된 것은 처음 그를 만난 지 19년이 지나서였다. 다시 만났을 때, 마이다 슈이치는 자기 생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아케가라수한테 배우는 것임을 깨닫는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마이다는 직장과 가족을 고향 마을에 남겨두고 아케가라수를 찾아가 앞으로 다른 일을 하지 않고 그의 가르침을 받고 싶다는 열망을 전한다. 그리고 1967년 타계하기까지 21년간 아케가라수에게 배우고 그 가르침을 다른 사람과 나누는 일이 마이다 슈이치 인생의 전부였다.
마이다는 1만 쪽이 넘는 글을 남겼는데 그 대부분이 나가노에서 아케가라수 곁에서 지낸 21년 동안에 나온 것이다. 그 모든 글이 스승인 아케가라수의 가르침을 부연 설명한 주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 일부를 엮은 『여시아문』의 주제는 ‘선생과 학생의 관계’다.
마이다 슈이치는 자신이 아케가라수를 만나지 못했다면 불교가 무엇인지 알 수 없었을 것이라 믿었다. 그리고 불교는 몇 가지 추상적인 개념들을 배우는 데서가 아니라 살아 있는 한 인간을 만나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온 생을 통해 깨달았다. 특별한 선생을 모시는 일의 중요성은 일본의 양대 불교전통인 진종과 선종에서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 책에서 마이다 슈이치가 강조하는 바 또한 불교는 오직 선생과 학생의 관계 속에서만 존속될 수 있으며, 선생과 학생의 관계 그 자체가 곧 불교라는 점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