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낡은 습속을 넘어서
|1부| 우리 교실 들여다보기
네모난 교실, 네모난 시간표, 학교 종이 땡땡땡!
- 근대 교실의 시공간과 학교교육
교사들은 왜 가르치려고만 할까?
- 교사, 가르치는 존재에 대한 성찰
공부에는 때가 있다는 말은 여전히 옳을까?
- 학생, 배우는 존재에 대한 성찰
왜 새로운 교과서는 교실수업을 바꾸지 못하나?
- 성전聖傳적 교과서 넘어서기
교실 대화는 일상 대화와 어떻게 다를까?
- 교실수업의 언어적 상호작용
|2부| 가까이서 멀리서
철 지난 행동주의는 왜 여전히 살아 있을까?
- 행동적 수업 목표를 넘어서
수업 지도안은 만국 공통일까?
- 수업 지도안 꼼꼼히 들여다보기
수업연구대회 수업은 정말 우수한 수업일까?
- 수업연구대회에 말 걸기
교실수업을 비교육적으로 만드는 주범이 정말 대학 입시일까?
- 평가 제도와 수업 방식의 관계
교육공학이 교사를 대체하는 일은 가능할까?
- 테크놀로지와 교실수업의 변화
|3부| 새로운 성찰과 실천을 위하여
교과는 고정불변의 가치인가?
- 교과를 넘어서는 상상력
가르치는 활동은 과학인가, 예술인가?
-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학습자 중심 교육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있는가?
-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성찰
가르치는 일은 아무나 할 수 있나?
- 목적형 VS 개방형 교원양성체제
혁신학교, 한국 학교 변화의 희망이 되기를 희망하며
- 혁신학교라 불리는 새로운 학교개혁운동의 의미
닫는 글 일상을 바꾸는 실천 운동으로서 학교변혁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