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2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0.2.21
페이지
360쪽
상세 정보
미국 하버드 대학 교수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을 본격적으로 비판한 책. 전쟁이 아닌 대화와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적극적인 대안을 내놓고 있다.
헌팅턴이 주장하는 것은 앞으로 세계 정치에서 문명과 문명의 충돌이 세계 평화에 가장 큰 위협이 되며, 문명에 바탕을 둔 국제 질서만이 세계대전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어 수단이라는 점이다. '문명', 특히 종교를 중심으로 한 21세기 세계 예측은 발표 이후 수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하랄트 뮐러는 헌팅턴이 주장하는, 서구를 위협한다는 적대적인 문명들의 존재가 실제로는 얼마나 설득력이 없는 환상인지 밝힌다. 그리하여 '우리 대 너희' 식의 이분법적 세계관, 적대적인 이미지들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일이 얼마나 위험하고 유혹적인지 설명한다.
<문명의 공존>은 세계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들의 경제, 사회, 국가 간의 관계를 살펴, 그 정치적 발전을 예견한다. 뮐러는 여러 가지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를 펼쳐 보여주며 문명 간의 전쟁이 아니라 대화만이 세계 공동체의 평화로운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고 힘주어 말한다.
상세정보
미국 하버드 대학 교수 새뮤얼 헌팅턴의 <문명의 충돌>을 본격적으로 비판한 책. 전쟁이 아닌 대화와 공존의 길을 모색하는 적극적인 대안을 내놓고 있다.
헌팅턴이 주장하는 것은 앞으로 세계 정치에서 문명과 문명의 충돌이 세계 평화에 가장 큰 위협이 되며, 문명에 바탕을 둔 국제 질서만이 세계대전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어 수단이라는 점이다. '문명', 특히 종교를 중심으로 한 21세기 세계 예측은 발표 이후 수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하랄트 뮐러는 헌팅턴이 주장하는, 서구를 위협한다는 적대적인 문명들의 존재가 실제로는 얼마나 설득력이 없는 환상인지 밝힌다. 그리하여 '우리 대 너희' 식의 이분법적 세계관, 적대적인 이미지들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일이 얼마나 위험하고 유혹적인지 설명한다.
<문명의 공존>은 세계정치적으로 중요한 지역들의 경제, 사회, 국가 간의 관계를 살펴, 그 정치적 발전을 예견한다. 뮐러는 여러 가지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를 펼쳐 보여주며 문명 간의 전쟁이 아니라 대화만이 세계 공동체의 평화로운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고 힘주어 말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