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의 사람들

M. 스캇 펙 지음 | 비전과리더십 펴냄

거짓의 사람들 (스캇펙의)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2,000원 10% 10,8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3.7.8

페이지

360쪽

상세 정보

<아직도 가야할 길>에서 '악'을 게으름이라고 살짝 언급했던 스콧 펙이 이 책에서는 '악'이라는 주제만을 놓고 깊이 있게 들어간다. '악'의 본질에 대해 이렇게 소름 끼치도록 적나라하게 파헤치면서도 악에 물들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은 스콧 펙 이외에는 없으리라.

인간은 어린시절 누구나 자기중심으로 세상을 본다. 일종의 나르시시즘에 빠져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를 거쳐 비로소 나를 둘러싼 사람들을 이해하고 배려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악한 사람들은 이 나르시시즘의 상태에서 성장이 멈춘 사람들이다. 자기 자신이 불완전하며 계속 정신적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미숙아들이다. 정신적 성장은 자신이 성장이 필요한 사람이라는 인정이 선행되어야 가능하기에, 자기 비난은 성격 개조의 대전제이다. 그러나 자기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성격 개조의 고통스러운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악한 사람들은 너무나 게으르다.

히틀러만 악인인 것은 아니다.

'내'가 변해야 하는 고통을 피하기 위해 지금의 상태에 주저앉아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있다면 내가 바로 악인이다. '내'가 아니라 타인이 잘못된 거라면 난 변화할 필요가 없으니까. 그래서 악한 사람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대신 상대를 비난하고 없애버리고자 혈안이 되어 있다.

스콧 펙은 이 책에서 여러 상담사례를 통해 악한 사람들이 보이는 전형적인 특징들을 보여준다. 자신들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외면하기 위해 아들을 치료 불가능한 선천적 정신 이상자로 모는 인텔리 부부, 형이 자살한 무기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주는 바비의 부모, 자신들의 패배를 인정하기 싫어 베트남전을 질질 끌었던 1960년대의 미국 정부 등...

내가 무언가를 절대적으로 옳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비난할 때, 혹시 악한 것은 상대가 아니라 오히려 나 자신일 수도 있다는 사실에 소름이 끼친다. 내가 남들을 '악'이라 비난하고 처벌하려고 할 때, 오히려 내가 '악'의 실행자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악을 악으로써 없애려할 때 우리 스스로가 악에 오염될 수 있다고, 즉 악해질 수 있다고 한 지은이의 주장은 바로 이 때문이다. 마녀를 악으로 보고 없애려 했던 중세교회의 만행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악'은 우리가 악을 파괴함으로써 없어지는게 아니라, 우리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며 정신성장을 거듭해 나가는 가운데 저절로 설 자리를 잃는다. 악한 사람들을 구별하여 피하고(악한 사람은 대결해야 할 존재가 아니라 피해야 할 존재이기에), 스스로 악한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 이 책은 읽어볼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

* 두란노에서 나온 <거짓의 사람들>도 판매되고 있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글소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글소리

@geulsori

고통, 그 자체에 집중하는 일.
때때로 우리는 인과응보를 믿는다. 그리고 탓한다. 그것 때문이야. 그 인간 때문이야. 참 간편하고 수월하다. 현재의 고통에 집중하면 괴로울 뿐이다.

한강 작가는 그 괴로움에 천착하는 법을 너무도 잘 안다, 잘 한다. 직면하여 괴로움을 받아들일 용기가 나에겐 없다. 본능적으로 피한다. 그 고통을 감히 견뎌낼 수 없기에.

회복하는 인간 =Convalescence

한강 지음
도서출판 아시아 펴냄

읽었어요
19분 전
0
이동희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동희

@yidonghee

  • 이동희님의 지도로 보아야 보인다 게시물 이미지

지도로 보아야 보인다

에밀리 오브리 외 2명 지음
사이 펴냄

읽었어요
1시간 전
0
푸토님의 프로필 이미지

푸토

@puto6vxg

  • 푸토님의 두고 온 여름 게시물 이미지

두고 온 여름

성해나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3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아직도 가야할 길>에서 '악'을 게으름이라고 살짝 언급했던 스콧 펙이 이 책에서는 '악'이라는 주제만을 놓고 깊이 있게 들어간다. '악'의 본질에 대해 이렇게 소름 끼치도록 적나라하게 파헤치면서도 악에 물들지 않을 수 있는 사람은 스콧 펙 이외에는 없으리라.

인간은 어린시절 누구나 자기중심으로 세상을 본다. 일종의 나르시시즘에 빠져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를 거쳐 비로소 나를 둘러싼 사람들을 이해하고 배려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악한 사람들은 이 나르시시즘의 상태에서 성장이 멈춘 사람들이다. 자기 자신이 불완전하며 계속 정신적으로 성장해야 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미숙아들이다. 정신적 성장은 자신이 성장이 필요한 사람이라는 인정이 선행되어야 가능하기에, 자기 비난은 성격 개조의 대전제이다. 그러나 자기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성격 개조의 고통스러운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악한 사람들은 너무나 게으르다.

히틀러만 악인인 것은 아니다.

'내'가 변해야 하는 고통을 피하기 위해 지금의 상태에 주저앉아 다른 사람을 비난하고 있다면 내가 바로 악인이다. '내'가 아니라 타인이 잘못된 거라면 난 변화할 필요가 없으니까. 그래서 악한 사람들은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대신 상대를 비난하고 없애버리고자 혈안이 되어 있다.

스콧 펙은 이 책에서 여러 상담사례를 통해 악한 사람들이 보이는 전형적인 특징들을 보여준다. 자신들에게 문제가 있다는 것을 외면하기 위해 아들을 치료 불가능한 선천적 정신 이상자로 모는 인텔리 부부, 형이 자살한 무기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주는 바비의 부모, 자신들의 패배를 인정하기 싫어 베트남전을 질질 끌었던 1960년대의 미국 정부 등...

내가 무언가를 절대적으로 옳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비난할 때, 혹시 악한 것은 상대가 아니라 오히려 나 자신일 수도 있다는 사실에 소름이 끼친다. 내가 남들을 '악'이라 비난하고 처벌하려고 할 때, 오히려 내가 '악'의 실행자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악을 악으로써 없애려할 때 우리 스스로가 악에 오염될 수 있다고, 즉 악해질 수 있다고 한 지은이의 주장은 바로 이 때문이다. 마녀를 악으로 보고 없애려 했던 중세교회의 만행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악'은 우리가 악을 파괴함으로써 없어지는게 아니라, 우리가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며 정신성장을 거듭해 나가는 가운데 저절로 설 자리를 잃는다. 악한 사람들을 구별하여 피하고(악한 사람은 대결해야 할 존재가 아니라 피해야 할 존재이기에), 스스로 악한 사람이 되지 않기 위해 이 책은 읽어볼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

* 두란노에서 나온 <거짓의 사람들>도 판매되고 있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