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으로 가는 버스

전병호 (지은이), 권진희 (그림) 지음 | 푸른책들 펴냄

봄으로 가는 버스 :전병호 동시집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1,500원 10% 10,35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09.12.30

페이지

61쪽

상세 정보

동시집 <들꽃 초등 학교>로 제37회 세종아동문학상을 수상했던 전병호 시인의 새 동시집. 평소 소외되거나 상처 입은 생명체들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며 보듬는 시를 써 왔던 전병호 시인은 새 동시집에서도 시인만의 따뜻한 희망을 전하고 있다.

전작 <들꽃 초등 학교>에서 시인이 외진 시골 마을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의 다친 마음을 껴안았다면, <봄으로 가는 버스>에서는 그 시선을 바깥으로 돌려 소외된 자들, 애잔한 현실, 우리가 지켜 주어야 할 자연환경 등을 주된 소재로 다루면서 무심히 대했던 사물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따뜻한 발견을 담아냈다.

제목이기도 한 ‘봄으로 가는 버스’는 ‘희망’이라는 연료만 채워 주면 언제든 씽씽 ‘봄’으로 달려간다. 여기서 ‘봄’은 시인과 독자가 함께 꿈꾸는 소망의 세계이다. “언 손을 호호 불며” 정류장에 서 있는 “어느 먼 나라에서 일하러 온 아저씨들”이 작은 행복을 키워 가는 것(「정류장에서」), “벌써 몇 달째 일이 없어 마당가에 세워 놓은” 낡은 짐차를 타고 아빠가 다시 신나게 일하게 되는 것(「벚꽃 지는 날」), “보고도 못 가는” 북녘 마을이지만 “비 그친 강 언덕에 나와 서서 바라보니” “손에 잡힐 듯 다가”서는 그곳에서 언젠가 손에 손을 잡게 되는 것(「휴전선 강마을」) 등 마음을 꽉 채운 소원을 버스에 가득 실었다가 우리가 서 있는 정류장마다 부려놓는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grateful님의 프로필 이미지

grateful

@grateful

  • grateful님의 단어가 품은 세계 게시물 이미지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지음
빛의서가 펴냄

읽었어요
35분 전
0
보라해님의 프로필 이미지

보라해

@lyiyjy

  • 보라해님의 만일 내가 그때 내 말을 들어줬더라면 게시물 이미지

만일 내가 그때 내 말을 들어줬더라면

나종호 지음
다산북스 펴냄

읽었어요
40분 전
0
송은주님의 프로필 이미지

송은주

@toothiclaw

  • 송은주님의 흰 게시물 이미지

한강 지음
문학동네 펴냄

읽었어요
43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동시집 <들꽃 초등 학교>로 제37회 세종아동문학상을 수상했던 전병호 시인의 새 동시집. 평소 소외되거나 상처 입은 생명체들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며 보듬는 시를 써 왔던 전병호 시인은 새 동시집에서도 시인만의 따뜻한 희망을 전하고 있다.

전작 <들꽃 초등 학교>에서 시인이 외진 시골 마을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의 다친 마음을 껴안았다면, <봄으로 가는 버스>에서는 그 시선을 바깥으로 돌려 소외된 자들, 애잔한 현실, 우리가 지켜 주어야 할 자연환경 등을 주된 소재로 다루면서 무심히 대했던 사물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따뜻한 발견을 담아냈다.

제목이기도 한 ‘봄으로 가는 버스’는 ‘희망’이라는 연료만 채워 주면 언제든 씽씽 ‘봄’으로 달려간다. 여기서 ‘봄’은 시인과 독자가 함께 꿈꾸는 소망의 세계이다. “언 손을 호호 불며” 정류장에 서 있는 “어느 먼 나라에서 일하러 온 아저씨들”이 작은 행복을 키워 가는 것(「정류장에서」), “벌써 몇 달째 일이 없어 마당가에 세워 놓은” 낡은 짐차를 타고 아빠가 다시 신나게 일하게 되는 것(「벚꽃 지는 날」), “보고도 못 가는” 북녘 마을이지만 “비 그친 강 언덕에 나와 서서 바라보니” “손에 잡힐 듯 다가”서는 그곳에서 언젠가 손에 손을 잡게 되는 것(「휴전선 강마을」) 등 마음을 꽉 채운 소원을 버스에 가득 실었다가 우리가 서 있는 정류장마다 부려놓는다.

출판사 책 소개

● 전병호 시인의 새 동시집 『봄으로 가는 버스』 출간,
‘마주보기’에서 ‘함께 바라보기’로

동시집 『들꽃 초등 학교』로 제37회 세종아동문학상을 수상했던 전병호 시인이 새 동시집 『봄으로 가는 버스』를 출간했다.
평소 소외되거나 상처 입은 생명체들을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며 보듬는 시를 써 왔던 전병호 시인은 새 동시집에서도 시인만의 따뜻한 희망을 전하고 있다. 그러나 전작 『들꽃 초등 학교』에서 시인이 외진 시골 마을 초등학교에 다니는 어린이들의 다친 마음을 껴안았다면, 『봄으로 가는 버스』에서는 그 시선을 바깥으로 돌려 소외된 자들, 애잔한 현실, 우리가 지켜 주어야 할 자연환경 등을 주된 소재로 다루면서 무심히 대했던 사물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따뜻한 발견을 담아냈다. 전작을 통해 시인이 어린이 독자와 마주 바라보았다면, 새 동시집에서는 같은 대상을 함께 바라보며 어린이 독자의 세계관을 한층 넓히고 있다.

● 희망을 가득 채운 ‘봄으로 가는 버스’ 함께 타고 가요

어느 먼 나라에서
일하러 온 아저씨들일까.

언 손을 호호 불며
정류장에 나와 섰다.

봄으로 가는 버스가
빨리 왔으면 좋겠다.

-「정류장에서」전문

제목이기도 한 ‘봄으로 가는 버스’는 ‘희망’이라는 연료만 채워 주면 언제든 씽씽 ‘봄’으로 달려간다. 여기서 ‘봄’은 시인과 독자가 함께 꿈꾸는 소망의 세계이다. “언 손을 호호 불며” 정류장에 서 있는 “어느 먼 나라에서 일하러 온 아저씨들”이 작은 행복을 키워 가는 것(「정류장에서」), “벌써 몇 달째 일이 없어 마당가에 세워 놓은” 낡은 짐차를 타고 아빠가 다시 신나게 일하게 되는 것(「벚꽃 지는 날」), “보고도 못 가는” 북녘 마을이지만 “비 그친 강 언덕에 나와 서서 바라보니” “손에 잡힐 듯 다가”서는 그곳에서 언젠가 손에 손을 잡게 되는 것(「휴전선 강마을」) 등 마음을 꽉 채운 소원을 버스에 가득 실었다가 우리가 서 있는 정류장마다 부려놓는다.
이 밖에 「연필 소리」와 같이 다양한 장면을 하나의 의성어로 꿰거나 「몽돌」처럼 속성이 전혀 다르지만 비슷한 모양을 가진 두 사물을 하나의 이미지로 묶어 독자의 상상력을 일깨우는 시, 두 손이 서로를 따뜻하게 감싸 주는 내용의 시 「손」과 “미운 꽃은 없어요 꽃은 다 이뻐요.”라는 꽃집 아저씨의 말에 끝내 꽃을 사지 못하고 돌아오는 「꽃집 아저씨」와 같이 일상을 새롭게 바라봄으로써 삶의 의미를 짚어 내는 시 등 34편의 벚꽃잎 같은 시들이 시집을 소복이 채우고 있다.


● 주요 내용

사물에 대한 애정 어린 시선과 따뜻한 발견을 통해 소외된 자들과 애잔한 현실, 우리가 지켜야 할 자연환경 등에 대한 잔잔한 희망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또한 전혀 다른 두 사물을 하나의 공통된 심상으로 엮어 독자의 상상력을 일깨우고, 일상을 새롭게 바라봄으로써 삶의 의미를 짚어 내는 시로 읽는 이의 마음에 훈훈한 봄바람이 불게 한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