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한번째 사과나무 1

이용범 지음 | 생각의나무 펴냄

열한번째 사과나무 1 (이용범 서정소설)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8,800원 10% 7,92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1.3.17

페이지

260쪽

이럴 때 추천!

달달한 로맨스가 필요할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이 소설은 한 여인을 평생동안 사랑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로 멜로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1985년 스물 세살의 나이로 <문예중앙> 신인상 중편소설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단에 나온 작가 김용범이 9년만에 펴낸 장편소설이다.

주인공은 어린시절 한 마을에서 자란 상은을 짝사랑한다. 그리고 상은과 같은 대학에 들어가고자 공부를 한다. 같은 대학에 들어가서도 여전히 상은만을 바라보며 곁을 맴돈다. 하지만 상은은 함께 운동권에 몸담고 있는 오선배를 사랑하게 되고 오선배가 시위도중 투신하여 척추를 다치자 그를 정성껏 간호한다.

오선배는 그런 상은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고, 주인공에게는 민지라는 여학생이 적극적으로 구애를 하게 된다. 결국 주인공과 상은의 만남은 엇갈리고, 상은이 아닌 민지와 결혼하게 되는데 이들의 인연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얽히고 섥힌 모든 인연들에서 주인공과 상은의 인연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게 된다.

이런 설정들은 독자의 눈물샘을 자극하게 하는, 일명 '최루소설'의 구도와 크게 다를 바가 없는 셈이다. 하지만 이 작품이 그러한 소설들과 다른 점은 단순히 슬픔을 자극하는 이야기의 나열이 아니라 한 편의 사랑 이야기 안에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상은의 해외 유학이나 민지 아버지의 제주도 호텔 소유 등 현실적인 부분에서 부유함을 전제로한 설정, 인물들 간의 갈등에 있어서 그 요인이 작위적인 부분도 몇 군데 눈에 띄긴 하지만 전체적인 구성을 볼 때 큰 무리는 없다.

이 작품은 사랑을 주제로 하는 연애소설이다. 하지만 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운동권의 모습이나, 당당한 커리어 우먼으로 살아가는 주인공의 아내 민지의 모습에서 80년대부터 2001년 현재까지 우리 사회가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등장인물들의 직업으로 보여지는 교수, 광고 카피라이터, 인터넷 벤처 사업가등 그 직업세계의 문제점 및 풍토를 잘 드러내고 있다.

그 밖에 이 책의 장점은 편집이 눈에 잘 들어오도록 깔끔하고 산뜻하게 되어있어 읽기에도 편하다는 것이다. 사랑에 빠져있는 사람들이나, 사랑이 힘겨워 지친 사람들에게 선물용으로도 좋을 듯 하다.

두 권 분량의 긴 내용의 이 소설에서 지은이가 사랑에 대해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사랑은 양보하는 게 아니라는 것, 사랑하니까 잊어야 한다는 건 거짓말이라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한가지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말하자면 지은이가 1985년 <문예중앙> 신인 소설상에 당선되었을 때 함께 상을 받은 작가는 신경숙인데 지은이와 신경숙의 생년월일시가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한다. 그래서 사주의 문운을 놓고 문단에서 두고두고 회자되어 왔다. 이번 작품을 계기로 지은이가 신경숙에게 빼았겼던 사주의 문운을 되찾을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책탐정님의 프로필 이미지

책탐정

@lucky_

완벽하게 서 있는 것만이 강함이라고 믿어온 시간이 있었다.
흠이 나면 안 되고, 감정이 새어 나오면 안 되고, 무엇보다 ‘약해 보이면 안 된다’는 마음이 오랫동안 나를 지탱해왔다.
그런데 이 책을 읽는 동안, 그 신념이 아주 조용히 흔들렸다.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는 니체의 말과 사상을 현대적 언어로 다시 엮은 편집본이다.
니체의 원전처럼 날카로운 철학적 문장 대신, 일상 속에서 곧바로 이해할 수 있는 문장들이 이어진다.
하지만 그렇다고 가벼운 책은 아니다.
오히려 더 깊고, 더 개인적인 지점을 정확히 건드린다.

책은 ‘틈’을 약점으로 보지 않는다.
완벽함을 유지하기 위해 숨겨왔던 균열, 버티는 과정에서 생겨난 상처들, 마음 어딘가에 굳은살처럼 자리한 감정들.
그 모든 틈이 새로운 빛이 들어오는 자리라고 말한다.
이 문장이 나를 오래 붙잡았다.

삶에서 마주한 흔들림은 실패가 아니라 변화의 시작이고,
부서진 마음을 감추기보다 들여다보는 순간부터 우리는 더 단단해질 수 있다고 한다.
니체의 ‘극복’이라는 사상을 이렇게 조용하고 따뜻하게 풀어낸 문장은 흔치 않다.

책을 덮고 나니, 내 삶의 금이 어디에 있는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그동안 애써 붙잡고 있던 것들, 설명하지 못해 혼자 삼켜버린 마음들,
조용히 흘러간 상처들이 하나둘 생각났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그 틈들이 부끄럽지 않게 느껴졌다.

오히려 그 틈 덕분에 내가 나를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그 틈을 통해 언젠가 빛이 들어올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빛은 흠 없는 표면으로는 스며들지 않는다.
삶의 금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
그 단순한 진리를 작고 단단하게 전해준 책이었다.

깨진 틈이 있어야 그 사이로 빛이 들어온다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페이지2(page2) 펴냄

1시간 전
0
박정훈님의 프로필 이미지

박정훈

@bsking

술술읽혀야하고 뭐가 좋은지 어디가 좋은지 콕 찝어줘야 재밌다.
소비자의 마음을 정확히 캐치했다

대한민국 최상급지 사다리 갈아타기

임실장 지음
페이지2(page2) 펴냄

1시간 전
0
데카콘을 만들 남자님의 프로필 이미지

데카콘을 만들 남자

@izrin

그래서 어떻게 찾느냐고

경제학자는 어떻게 인생의 답을 찾는가

카우식 바수 지음
인플루엔셜(주) 펴냄

1시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이 소설은 한 여인을 평생동안 사랑하는 한 남자의 이야기로 멜로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1985년 스물 세살의 나이로 <문예중앙> 신인상 중편소설 부문에 당선되면서 문단에 나온 작가 김용범이 9년만에 펴낸 장편소설이다.

주인공은 어린시절 한 마을에서 자란 상은을 짝사랑한다. 그리고 상은과 같은 대학에 들어가고자 공부를 한다. 같은 대학에 들어가서도 여전히 상은만을 바라보며 곁을 맴돈다. 하지만 상은은 함께 운동권에 몸담고 있는 오선배를 사랑하게 되고 오선배가 시위도중 투신하여 척추를 다치자 그를 정성껏 간호한다.

오선배는 그런 상은의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고, 주인공에게는 민지라는 여학생이 적극적으로 구애를 하게 된다. 결국 주인공과 상은의 만남은 엇갈리고, 상은이 아닌 민지와 결혼하게 되는데 이들의 인연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얽히고 섥힌 모든 인연들에서 주인공과 상은의 인연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지게 된다.

이런 설정들은 독자의 눈물샘을 자극하게 하는, 일명 '최루소설'의 구도와 크게 다를 바가 없는 셈이다. 하지만 이 작품이 그러한 소설들과 다른 점은 단순히 슬픔을 자극하는 이야기의 나열이 아니라 한 편의 사랑 이야기 안에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상은의 해외 유학이나 민지 아버지의 제주도 호텔 소유 등 현실적인 부분에서 부유함을 전제로한 설정, 인물들 간의 갈등에 있어서 그 요인이 작위적인 부분도 몇 군데 눈에 띄긴 하지만 전체적인 구성을 볼 때 큰 무리는 없다.

이 작품은 사랑을 주제로 하는 연애소설이다. 하지만 80년대를 배경으로 한 운동권의 모습이나, 당당한 커리어 우먼으로 살아가는 주인공의 아내 민지의 모습에서 80년대부터 2001년 현재까지 우리 사회가 어떠한 모습으로 변화해 왔는지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또한 등장인물들의 직업으로 보여지는 교수, 광고 카피라이터, 인터넷 벤처 사업가등 그 직업세계의 문제점 및 풍토를 잘 드러내고 있다.

그 밖에 이 책의 장점은 편집이 눈에 잘 들어오도록 깔끔하고 산뜻하게 되어있어 읽기에도 편하다는 것이다. 사랑에 빠져있는 사람들이나, 사랑이 힘겨워 지친 사람들에게 선물용으로도 좋을 듯 하다.

두 권 분량의 긴 내용의 이 소설에서 지은이가 사랑에 대해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사랑은 양보하는 게 아니라는 것, 사랑하니까 잊어야 한다는 건 거짓말이라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한가지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말하자면 지은이가 1985년 <문예중앙> 신인 소설상에 당선되었을 때 함께 상을 받은 작가는 신경숙인데 지은이와 신경숙의 생년월일시가 정확하게 일치한다고 한다. 그래서 사주의 문운을 놓고 문단에서 두고두고 회자되어 왔다. 이번 작품을 계기로 지은이가 신경숙에게 빼았겼던 사주의 문운을 되찾을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