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장 독일통일과 문학논쟁
1. 독일의 통일 과정
2. 통일 과정에서의 동독 지식인의 역할
3. 통일 과정에서의 문학논쟁
4. 통일독일의 문학논쟁 결산
제2장 독일의 분단과 통일에 대한 문학적 대응
1. 통일을 다룬 가장 상징적인 텍스트 ― 폴커 브라운 「소유물」
2. 통일독일 사회의 문제점 ― 헬가 쾨니히스도르프 『아프리카 옆에서』와 크리스토프 하인 『란도』
3. 독일문제를 성찰하는 폴커 브라운의 시 세 편
제3장 동서독과 통일독일을 성찰하는 크리스타 볼프의 문학
1. 동독사회 비판과 개혁 가능성 ― 『남아 있는 것』
2. 신화를 통한 동독사회 비판 ― 『카산드라』
3. 통일독일 사회에 대한 문학적 성찰 ― 『메데아. 목소리들』
제4장 통일 이후 독일문학의 새로운 경향
1. 통일 이후 등장한 새로운 문학 경향
2. 동독인이 제기한 새로운 과거극복 ― 토마스 브루씨히 『우리 같은 영웅들』
3. 회상을 통한 과거의 복권 ― 토마스 브루씨히 『존넨알레』
4. 통일 이후 동독인들의 삶과 운명 ― 잉고 슐체 『간단한 이야기들』
제5장 분단문학사와 통일문학사 서술
1. 통일 이전 동서독 문학의 성격에 대한 논의
2. 통일 이후 분단문학사 및 통일문학사 서술 문제
제6장 희망의 담지자 또는 미래의 중추세력으로서의 구동독인들?
1. 통일독일 사회에 적응한 동독 젊은이들의 이야기 ― 야나 헨젤 『동쪽 지역 아이들』
2. 동독 여성들의 새로운 가능성 ― 마르티나 렐린 『물론 나는 동독여자다!』
3. 독일의 미래는 구동독인들에게 ― 볼프강 엥글러 『전위로서의 동독인들』
제7장 독일통일에 비추어본 한반도 통일방안
1. 독일통일의 명암
2. 독일통일의 교훈과 한반도 통일의 기본원칙
3. 한반도 통일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들
4. 한반도 통일방안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