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 이게 사는 건가
아무도 응원해주지 않는 삶 | 왜 희망할수록 절망하게 되는가 | 적당한 삶은 불가능하다 | 우리가 알던 삶은, 끝났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1부 우리가 알던 삶은 끝났다
개짱이는 없다
고만고만한 삶을 꿈꿨다 | 개미, 참 열심히 산다 | 베짱이, 개미보다 부지런해야 산다 | 열심히 일하라, 그리고 그것을 즐겨라
하면 된다? 되는 것만 하라!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질까, 나빠질까 | 격노, 삶이 기대처럼 굴러가지 않았다 | 냉소, 삶에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는다 | 지금만큼이라도 살고 싶다
모욕 주는 사회, 유령이 된 사람들
평균은 탈락이다 | 말할 수 없이 큰 고통을 말하지 못하는 고통 | 침묵해야 우리는 시민권을 얻는다 | 구체적이지 못한 죽음, 보편적이지 못한 슬픔 | 삶이 그렇듯 죽음에도 서열이 있다
2부 세상은 우리 편이 아니다
경험이 죽었다
경험에는 어른이 필요하다 | 어른은 사라지고 ‘꼰대’와 ‘애새끼’만 남았다 | 카메라와 가이드북이 대신하는 여행 | 카이로스, 첫 키스처럼 멈춰 선 시간 | 크로노스, 스케줄로 꽉 찬 시간 | 어른도, 지혜도, 용기도, 빈틈도 없는 곳, 교실
동료가 사라졌다
만나면 피곤하다 |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왕따의 죽음 | 공감은 고통을 나누는 것이다 | ‘졸라’는 왜 공감이 아니란 말인가 | 동료를 향한 용기가 죽어버렸다 | 학예회를 사랑할 수 있는가
법이 사람 잡는다
디케는 정의의 가능성에 귀를 기울인다 | 정글의 법칙보다는 법치가 낫다? | 법도 약육강식이다 | 법과 싸우는 사람들 | ‘황제’는 법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다 | 법의 이름으로 평화가 깨진다 | 법은 알아들을 수 있는 말만 듣는다 | 공화국은 이렇게 무너져 간다
3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계속된다
사람을 옹호하고 사회를 폭로하라
유 씨, 자본주의를 폭로하다 | 끊임없이 고백을 강요받다 | 증언, 사회에 대한 의심 | 증언, 진실에 대한 용기 | 불한당의 시대, 교실에서 꿈꾸는 혁명
네가 있어서 내가 기쁘다
혼자면 외롭고 함께하면 괴롭다 | 동료가 되는 두 가지 방식 | 우리는 모두 이 세계의 손님이다 | 동료가 된다는 것 | 에로티시즘, 남을 기쁘게 하려는 마음 | 동료를 위해 가면을 써라
희망은 기다림이다
언젠가는 vs 이번에는 | 희망의 개인화 | 근본적 질문이 시작되다 | 파국에 처한 삶 | 단절이 희망이 된다 | 의리, 용기의 다른 이름
나가는 글 | 두더지가 되자
두더지의 역습 | 신나게, 두려움 없이, 망해가는 이야기를 해보자 | 삶 이후에 삶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