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1장 왜 지금 ‘고대 로마’인가
역사는 인간이다//왜 르네상스인은 고대 로마에 관심을 가졌을까//‘인간이란 무엇인가’를 아는 최고의 힌트//다시 로마사의 시대//전무후무한 ‘보편 제국’//실패와 고난의 로마사//시행착오가 로마를 만들었다//로마의 ‘커다란 혼미’//최상의 품격을 지닌 남자들
주사위는 던져졌다!
2장 로마는 이렇게 탄생했다
주사위는 던져졌다!//카이사르가 ‘창조적 천재’인 이유//건국 신화쪾강에 흘려보낸 쌍둥이//로물루스의 ‘삼권분립’//로마는 왜 ‘빈 땅’이었을까//혈기 왕성한 젊은이 집단//‘사비니 족 여인들 강탈’//놀랄 만한 화평 제안//‘제국의 원점’은 여기에 있다//로마군은 왜 강했을까//‘직접세’였던 병역의 의무//왕들의 프로필//오만왕 타르퀴니우스//피로 물든 즉위극//스캔들은 왜 일어날까//왕의 추방//소년기의 마지막
3장 공화정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바보’의 혁명//왕에서 집정관으로//공화정의 열쇠를 쥔 원로원//노블레스 오블리주//“아버지들이여, 신참자들이여”//젊은이들은 왜 ‘저항 세력’이 되었을까//전쟁의 연속//왼손잡이 무키우스//공화정의 약점//평민들의 불만//건국 최초의 ‘스트라이크’//‘거부권’이야말로 권력 중의 권력이다//왜 계급 대립은 해소할 수 없었을까//칼을 버리고 괭이를 쥔 독재관//로마인들의 ‘의리와 인정’//카이사르는 왜 ‘오른팔’을 잃었을까//아테네의 개혁, 로마의 개혁//카밀루스의 예언//‘숲의 주민들’의 침입//로마, 불타다//수렁에서 재출발//재기를 위한 우선순위//‘리키니우스·섹스티우스법’의 놀라운 내용//원로원 개방//융화의 신전
4장 조직의 로마
이탈리아 반도 통일//아테네는 왜 망했을까//로마인이 얻은 ‘역사의 교훈’//조직의 로마//왜 로마인에게 ‘신상필벌’은 필요하지 않았을까//두 가지 네트워크//라틴 동맹은 왜 실패했을까//보수도 철저하면 혁신에 이른다//로마 연합이란//이전의 적에게도 시민권을 준 ‘로마의 지혜’//콜로니아 없이는 동맹 불가///왜 로마인은 가도를 만들었을까//왜 패자는 승자를 원망할까//운명 공동체의 필요성//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조직의 로마를 뒤흔든 남자
5장 한니발의 도전
카르타고는 ‘평화국가’인가//‘자위전쟁’으로 시작된 포에니전쟁//세부 속에 역사의 묘미가 있다//육지의 로마, 바다의 카르타고//‘로마의 상식’에 대한 반대 명제//칸나에전투//한니발은 왜 강했을까//왜 로마군은 바꿀 수 없었을까//로마군의 전력은 주로 중장비 보병//‘자기다움’을 빼 버린 개혁은 무의미하다//조직의 로마에 대한 자각//한니발의 오판//지도자의 조건//스키피오의 등장//한니발의 ‘불길한 예언’
6장 승자의 혼미
급성장의 주름살//강대해진 원로원//혼미는 왜 생겼을까//‘새로운 현실’의 아픔//자작농의 몰락//공동화되는 공화정//기사 계급의 대두//좁히기 어려운 틈//로마 연합의 ‘균열’은 왜 생겼을까//그라쿠스 형제//실업 대책//이리하여 비극은 일어났다//‘내란 시대’의 시작//‘국경 자유화’를 시도한 가이우스의 개혁//쇄국주의쪾‘비장의 무기’를 휘두른 원로원//무기 없는 예언자는 실패한다//마리우스의 군제 개혁//생각지 못한 부작용//동맹자 전쟁//‘제국’의 이정표//또 하나의 ‘재앙’//유혈의 연속//‘정치적 인간’ 술라//술라 개혁의 맹점이란
7장 ‘창조적인 천재’ 카이사르
종신 독재관//“술라는 정치를 몰랐다”//진정한 개혁이란 재구축이다//카이사르 식 ‘평화 선언’//갈리아에서 온 원로원 의원//속주도 역시 로마이다//‘일석삼조’의 식민 도시 건설//코스모폴리스//집권과 분권//공격의 시대에서 방비의 시대로//갈리아 문제는 게르만 문제였다//카이사르가 유럽을 만들었다//왜 카이사르는 ‘관용’을 내걸었을까//카이사르의 죽음
8장 ‘팍스로마나’의 길
‘국가’는 누구의 것인가//로마의 사명//로마 역사상 최대의 ‘명배우’//‘아우구스투스’의 신중한 계책//황제로 가는 ‘카드’//전군 최고 사령권//아우구스투스의 ‘작은 소원’//‘황제’의 탄생//카이사르 암살의 교훈//황제라는 존재//‘안의 평화’와 ‘밖의 평화’쪾세금 체계의 확립//상속세의 ‘발명’//로마의 소비세//‘빵과 서커스‘의 거짓말//로마에는 왜 공립학교나 공립병원이 없었을까//로마군단의 감축//‘보조 병사’ 제도에 숨겨진 지혜//운명 공동체의 길//로마 방위 체제의 구축//황제에게 부여된 말
9장 로마에서 오늘의 우리를 돌아본다
‘구조 조정’의 명인들//‘게르마니아 철퇴’의 결단//왜 로마인은 ‘법’을 찾은 것일까//로마에 성문법이 없었던 이유//역사와 전통을 무시한 개혁은 실패한다//개혁은 ‘과거의 부정’이 아니다//왜 ‘선의’가 해악을 초래할까//로마사상 손꼽히는 논전//원로원의 ‘선의’//카산드라의 비극//개혁자는 고독하다//‘맡기는’ 것에서 오늘의 문제를 해결할 영웅이 탄생한다//오해받아 온 로마사//로마사가 여러분의 인생에서 ‘이정표’가 되기를 희망하면서
특별 부록 저자에게 듣는 로마 영웅들의 성적
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