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밍 딜레마

데이비드 허친스 지음 | 바다출판사 펴냄

레밍 딜레마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7,500원 10% 6,75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01.9.25

페이지

120쪽

상세 정보

조직학습과 조직변화 이론 전문가인 데이비스 허친스의 학습 우화 시리즈. 이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면 우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 지은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우화에 자연스럽게 접목시켜 각각의 등장인물들과 상황을 읽는이와 동화시키도록 한다.

학습조직에 관한 내용을 다룬 이 책들은, 개인은 물론 조직 전체의 차원에서도 끊임없이 학습해야 한다는 것, 학습을 제도화하는 것이 왜 중요하며 어떻게 가능한지, 학습조직을 방해하는 요인들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레밍 딜레마>는 '개인적 숙련(personal mastery)'에 관한 이야기다. 개인적 숙련이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창조해내는 능력. 레밍 우화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인적 숙련의 핵심은 삶의 매순간을 '창조적 긴장' 속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우화에 등장하는 레밍의 행동으로 비유한 팽팽한 고무줄 새총처럼, 우리가 원하는 미래의 상태(비전)와 현재의 모습 사이에는 고무줄과 같은 긴장이 형성되는데, 이 긴장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비전 쪽으로 이끌고 가야 한다. 이는 즉, 높은 성취도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

<레밍 딜레마>에서는 조직이 구성원들의 개인적 숙련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줌으로써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를 끊임없이 일치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후느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후느님

@hooneunim

  • 후느님님의 작은 땅의 야수들 게시물 이미지

작은 땅의 야수들

김주혜 지음
다산책방 펴냄

읽었어요
13분 전
0
카나페님의 프로필 이미지

카나페

@canape0809

자작소설, 《백일몽(白日夢) #6》
https://m.blog.naver.com/canape0809/223924384329
15분 전
0
큰목소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큰목소리

@sg4kth

  • 큰목소리님의 눈치 없는 평론가 게시물 이미지

눈치 없는 평론가

서정민갑 지음
오월의봄 펴냄

읽고있어요
22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조직학습과 조직변화 이론 전문가인 데이비스 허친스의 학습 우화 시리즈. 이 시리즈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이라면 우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 지은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우화에 자연스럽게 접목시켜 각각의 등장인물들과 상황을 읽는이와 동화시키도록 한다.

학습조직에 관한 내용을 다룬 이 책들은, 개인은 물론 조직 전체의 차원에서도 끊임없이 학습해야 한다는 것, 학습을 제도화하는 것이 왜 중요하며 어떻게 가능한지, 학습조직을 방해하는 요인들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를 말하고 있다.

<레밍 딜레마>는 '개인적 숙련(personal mastery)'에 관한 이야기다. 개인적 숙련이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창조해내는 능력. 레밍 우화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인적 숙련의 핵심은 삶의 매순간을 '창조적 긴장' 속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우화에 등장하는 레밍의 행동으로 비유한 팽팽한 고무줄 새총처럼, 우리가 원하는 미래의 상태(비전)와 현재의 모습 사이에는 고무줄과 같은 긴장이 형성되는데, 이 긴장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을 비전 쪽으로 이끌고 가야 한다. 이는 즉, 높은 성취도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한다.

<레밍 딜레마>에서는 조직이 구성원들의 개인적 숙련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줌으로써 개인의 목표와 조직의 목표를 끊임없이 일치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