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0.12.10
페이지
296쪽
상세 정보
청소년 눈높이에 맞춰 영화가 얼마나 그 사회를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는지, 현대 사회의 잃어버린 가치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담론 형성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우리의 아픈 역사를 얼마나 책임감 있게 충실히 담아내고 있는지 등을 기준으로 청소년들에게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한국영화 20편을 엄선해놓았다. 다큐멘터리, 코믹, 재난, 드라마, 판타지, 역사 등 다양한 장르와 주제의 영화는 청소년들이 오락거리 영화 감상에서 세상을 보는 다양한 시각을 갖춘 비평가로 한 걸음 나아가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영화 속 인물을 분석하고 핵심 장면을 소개한 후 그 장면에 담긴 가치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교과 과정과 연계된 질문들로 구성되어있는 활동지는 청소년에게 다양한 생각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토론 논술 자료로 실제 수업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상세정보
청소년 눈높이에 맞춰 영화가 얼마나 그 사회를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는지, 현대 사회의 잃어버린 가치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담론 형성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우리의 아픈 역사를 얼마나 책임감 있게 충실히 담아내고 있는지 등을 기준으로 청소년들에게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한국영화 20편을 엄선해놓았다. 다큐멘터리, 코믹, 재난, 드라마, 판타지, 역사 등 다양한 장르와 주제의 영화는 청소년들이 오락거리 영화 감상에서 세상을 보는 다양한 시각을 갖춘 비평가로 한 걸음 나아가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영화 속 인물을 분석하고 핵심 장면을 소개한 후 그 장면에 담긴 가치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교과 과정과 연계된 질문들로 구성되어있는 활동지는 청소년에게 다양한 생각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토론 논술 자료로 실제 수업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우리 영화 20편을 통해 살펴보는 한국 사회 현주소
다양한 시각과 비판적 사고를 길러주는 영화 속 세상 읽기
영화는 청소년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미디어 중 하나이다. 영화에는 다양한 우리 사회의 모습뿐만 아니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여러 인간 군상의 민낯이 담겨있다. 이 책은 청소년 눈높이에 맞춰 영화가 얼마나 그 사회를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는지, 현대 사회의 잃어버린 가치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담론 형성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 우리의 아픈 역사를 얼마나 책임감 있게 충실히 담아내고 있는지 등을 기준으로 청소년들에게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한국영화 20편을 엄선해놓았다. 다큐멘터리, 코믹, 재난, 드라마, 판타지, 역사 등 다양한 장르와 주제의 영화는 청소년들이 오락거리 영화 감상에서 세상을 보는 다양한 시각을 갖춘 비평가로 한 걸음 나아가도록 도와준다.
이 책은 영화 속 인물을 분석하고 핵심 장면을 소개한 후 그 장면에 담긴 가치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영화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교과 과정과 연계된 질문들로 구성되어있는 활동지는 청소년에게 다양한 생각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토론 논술 자료로 실제 수업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영화관 스크린에서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보는 언택트 시대,
영화 감상이 아닌 비평가의 시각으로 영화 속 세상 바라보기
1895년 프랑스에서 세계 최초로 영화가 상영된 이후 현대인들에게 영화는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가족, 친구들, 연인들이 만나서 영화를 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우리 일상의 모습이다. 영화는 오락거리에서 나아가 문학과 예술을 넘나들며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영화를 관람하는 환경 또한 영화관 스크린에서 TV, 모니터, 스마트폰 등으로 점점 다양해져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도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영화를 즐길 수 있다. 이처럼 영화는 짧은 시간 동안 강력한 힘을 가진 대중적 매체로 자리 잡았다.
영화는 창작이라는 프레임 안에 우리 사회의 실제 모습과 숨겨진 이면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 군상의 민낯을 담고 있다. 이 책은 사춘기 아이들의 고민, 사회적 문제와 재난, 인간의 본능, 아픈 역사, 우리말과 예술의 가치 등 다양한 주제의 우리 영화 20편을 엄선해놓았다.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춰 영화의 내용을 소개하고, 인물을 분석한 후 영화 속 핵심 장면에 담긴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흥미 위주의 오락거리로 영화를 찾은 청소년들이 단순한 영화 감상자에서 한 걸음 나아가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과 비판적 사고를 지닌 비평가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우리들〉, 〈벌새〉, 〈괴물〉, 〈택시운전사〉, 〈설국열차〉, 〈82년생 김지영〉……
청소년기에 익혀야 할 올바른 가치관을 제시해주는 한국 영화 20편
2016년에 출간된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2019년에 동명의 영화로 제작되어 많은 이슈를 낳았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본 사람들 중 많은 이들이 ‘페미니즘’이라는 시각으로 영화를 재단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남자와 여자의 대결에 초점을 맞추는 페미니즘 영화가 아닌 한 사람의 아픔에 공감하고, 그 사람과 주변 사람들의 성장 과정을 그린 휴먼드라마로 바라보고 있다. 또 2019년에 개봉한 조정석, 윤아 주연의 영화 〈엑시트〉에서는 취업준비생인 주인공의 모습을 통해 ‘청년 실업’이라는 현대 사회가 만들어낸 사회 문제를 또 다른 개념의 재난이라고 시사하고 있다. 책은 이 영화를 유독가스에 뒤덮인 도심에서 살아남기라는 재난 상황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재난 영화의 공식인 영웅과 악인의 대결, 주인공의 희생정신보다 짠내 나는 현실과 실감 나는 시대상을 보여주는 한 편의 인간극장이라고 평한다.
이처럼 한 편의 영화를 보면서도 그 영화 속 세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는 청소년 시기의 아이들은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연령, 학업, 시간, 경제적인 문제 등으로 제한되는 것이 많다. 이러한 환경에서 청소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미디어인 영화는 이들에게 다양한 세상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좋은 매개체이다. 영화를 통해 사회 문제를 공유하고, 그와 연관된 자신의 삶에 관심을 가지며, 추구해야 할 가치에 대해 생각할 때 이들은 앞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비판적 시각과 논리적 사고를 길러주는 교과 연계 토론·논술 활동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좋은 추천 영화 및 추천 도서 수록
새로운 시각으로 우리 신화를 해석하여 학교 및 도서관 등 교육 현장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 《생각의 힘을 길러주는 우리 신화 읽기》를 저술한 CURI(가톨릭대학교 한국독서문화연구소)에서 이번에는 ‘우리 영화 연구팀’을 구성해 이 책을 집필했다. 전작에 실린 활동지는 교육 현장에서 각광 받고 있다. 이에 힘입어 이번 책에서도 실제 수업에 활용하기 좋은 질문들로 구성된 ‘교과 연계 토론 논술 활동지’를 실어놓았다. 각 영화가 전하는 메시지와 상응하는 국내외 영화 48편, 추천 도서 50선 또한 청소년들의 세상을 보는 다양한 시각과 비판적 사고를 길러주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