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20.2.20
페이지
539쪽
상세 정보
도서관 자료분류의 일차적 목적은 장서의 지적 질서화이며, 궁극적 목적은 접근.이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제6판에서는 전판의 제1부 6개장을 11개장으로 전면 재구성하고 오류 수정 뿐만 아니라 대대적으로 가필하고 체계성을 강화하였으며, 전판의 제2부(자료분류의 실제)는 제12장으로 옮겨 재구성하였다.
추천 게시물
남쪽나라
@namjjoknara
살인 오마카세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기자^^
@hankj1015
지불되지 않는 사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기자^^
@hankj1015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2025년 상반기 독서 챌린지(경기도청 북부청사)
무료 · 90 /제한 없음
곰곰이 생각하는 곰
무료 · 1 /10명
그냥 좋아하는 문장, 책 소개 ❤︎
무료 · 1 /제한 없음
정모/행사 고양이책 읽기
5월 1일 (목) 오전 12:00 · 무료 · 4 /4명
📚 독서 연습실
무료 · 12 /제한 없음
폭주하는 독서기니방
무료 · 7 /500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17 /제한 없음
민키네
무료 · 3 /10명
정모/행사 주말 독서 챌린지
5월 1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5 /5명
정모/행사 안중고
5월 1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1 /500명
상세정보
도서관 자료분류의 일차적 목적은 장서의 지적 질서화이며, 궁극적 목적은 접근.이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제6판에서는 전판의 제1부 6개장을 11개장으로 전면 재구성하고 오류 수정 뿐만 아니라 대대적으로 가필하고 체계성을 강화하였으며, 전판의 제2부(자료분류의 실제)는 제12장으로 옮겨 재구성하였다.
출판사 책 소개
도서관 실무경력 10년과 대학 교육경력 28년이 자료분류와의 인연이다. 인(因)에 연(緣)이 더해질 따마다 과(果)가 충실해져야 함에도 부족하고 미숙함이 드러났다. 어설픈 지적 유희에 대한 고백이다. 해서 회개하는 심정으로 다시 상재한다. 전판의 제1부 6개장을 11개장으로 전면 재구성하고 오류 수정 뿐만 아니라 대대적으로 가필하고 체계성을 강화하였으며, 전판의 제2부(자료분류의 실제)는 제12장으로 옮겨 재구성하였다.
제1장(기초이론)은 자료분류의 유의어 및 관련어 정리, 분류와 택소노미 및 폭소노미의 관계, 자료분류의 아웃소싱(outsourcing)을 추가하고 재구성하였다.
제2장(지식·학문분류 발전)은 자료분류의 모태인 지식분류와 학문분류의 발전과정을 추적하여 지식과 학문, 지식(학문)분류와 자료분류, 고대에서 근대까지 지식(학문)분류의 역사와 변화, 지식(학문)분류가 자료분류에 미친 영향 등을 신설하였다. 특히 고대 지식분류에서 누락된 배다문헌 분류를 추가하고, 중세 학문분류에서 서양사회가 의도적으로 폄하한 이슬람 세계의 학문분류를 수용하였다.
제3장(자료분류의 역사와 진화)은 서양의 자료분류 역사와 발전에 고대 그리스·로마의 자료분류와 중세 서지목록과 자료분류를 추가하였고, 동양 3개국 자료분류 역사와 진화를 보충하였다. 특히 한국의 근대 이전 분류법에서는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고려국신조대장교정별록(高麗國新雕大藏經校正別錄), 고사촬요(攷事撮要), 해동문헌총록(海東文獻總錄), 규장총목(奎章總目), 누판고(鏤板考), 한국서지(Bibliographie Cor?enne), 제실도서목록(帝室圖書目錄), 조선고서목록(朝鮮古書目錄), 조선도서해제(朝鮮圖書解題)의 분류체계를 제시하였으며, 근대 이후는 경성도서관과 만철도서관 분류법, 부산 및 대구부립도서관 분류법도 추가하였다.
제4장(자료분류표의 이해와 선정)은 분류표와 분류법의 차이, 주요 현대분류법의 평가를 추가하고 재구성하였고, 제5장(주제분석과 분류규정)은 주제의 구조와 종류를 추가하는 동시에 자료분류 규정, 자료분류의 오류와 대안을 전면 수정하였다.
전판의 제5장(현대자료분류법의 이해)은 제6장(듀이십진분류법, DDC), 제7장(한국십진분류법, KDC), 제8장(국제십진분류법, UDC), 제9장(의회도서관분류법, LCC), 제10장(콜론분류법, CC)으로 분리하여 가필하고 오류를 수정하였으며 분류 용례를 대거 추가하였다. 제11장(청구기호 이해)은 랑가나단의 도서기호 조합공식과 기호조합 용례를 추가하였다.
도서관 자료분류의 일차적 목적은 장서의 지적 질서화이며, 궁극적 목적은 접근·이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데 있다. 대학에서 자료분류를 필수과목으로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사서직의 정체성과 전문직성을 가늠하는 핵심업무일 뿐만 아니라, 2022년부터 분류를 포함한 자료조직개론이 다시 사서직 공채시험의 필수과목으로 환언되기 때문이다. 문헌정보학 기본교육, 사서직 공채시험 준비, 도서관 현장의 실무수행과 질서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