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의 말_ 영화 속 인물을 통해 정신병리를 배운다!
프롤로그_ DSM 진단체계
Part 1 영화 속 신경발달장애
정신지체의 두 얼굴
<7번방의 선물> <아이 엠 샘> <살인의 추억> <갑동이>
자폐에 대한 환상
<말아톤> <레인 맨> <굿 닥터>
말하기 어려워 힘든 고통, 언어장애
<맨발의 기봉이> <킹스 스피치>
Part 2 영화 속 정신분열장애
정신분열은 아름답지 않다
<뷰티풀 마인드>
망상과 현실 사이
<지구를 지켜라> <바닐라 스카이> <트루먼 쇼>
Part 3 영화 속 우울.양극성장애
우울의 향기
<어바웃 어 보이> <여인의 향기> <디 아워스>
천당과 지옥을 오가는 양극성장애
<미스터 존스>
Part 4 영화 속 불안장애
죽음의 공포만큼 두려운 공황장애
<카피캣>
멍석을 깔아줘도 못하는 사회공포증
<40살까지 못해본 남자> <코요테 어글리>
Part 5 영화 속 강박장애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강박장애와 강박인격은 다르다?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플랜맨>
지옥으로부터의 탈출 후 남겨진 고통,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소원> <7월 4일생>
Part 6 영화 속 해리성장애
‘나는 누구죠?’, 해리성 기억상실
<본 아이덴티티> <롱 키스 굿나잇>
해리성 정체감 장애
<아이덴티티> <프라이멀 피어>
Part 7 영화 속 성적장애와 변태성욕
성정체감 장애, 반대 성으로 살고 싶은 사람들의 이야기
<소년은 울지 않는다> <크라잉 게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정신병리, 소아기호증
<로리타> <소원> <은교> <들개들>
인류의 오래된 고질병, 관음증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 <트루먼 쇼>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 <썸머타임>
Part 8 영화 속 물질관련장애
알코올중독과 이별하려면?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
약 없이 살 수 있을까, 약물중독
<연인> <트레인스포팅>
Part 9 영화 속 신경인지장애
과거로 퇴행하다, 치매
<깡철이> <그대를 사랑합니다>
기억을 의심하다, 기억상실장애
<메멘토>
Part 10 영화 속 인격장애
믿을 수 없는 세상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편집증
<적과의 동침> <미져리> <컨스피러시>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다, 반사회성
<악마를 보았다>
치명적 매력의 비밀, 경계성
<베티 블루> <위험한 정사>
관심을 얻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 연극성
<시카고>
스스로를 가두다, 회피성
<파인딩 포레스터>
난 모든 걸 계획한다, 강박성
<플랜맨>
주
『영화 속 심리학』 저자와의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