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06.5.10
페이지
190쪽
상세 정보
평생동안 강연과 저술활동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불러온 지두 크리슈나무르티가 여러 가지 삶의 문제에 대한 조언을 주제별로 다룬 '크리슈나무르티 테마 에세이' 시리즈 네 번째 책이다. '삶과 죽음', '사랑과 외로움', '관계'에 이어 이번에 다루는 주제는 두려움.
지은이는 두려움이 우리로 하여금 참된 우리 자신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어떻게 방해하는지, 두려움의 정체와 그 근본 원인, 그리고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 등에 대해 깊이 관찰한 사유를 들려준다. 그리고 자신의 두려움을 의식하고 관찰함으로써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라고 조언한다.
추천 게시물
10215 김우림
@y010215
죽이고 싶은 아이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Jay Choo
@jaychoo
이웃집 백만장자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siha
@siha
말은 안 되지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7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6 /70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3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2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7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주말 독서 챌린지
5월 1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5 /5명
상세정보
평생동안 강연과 저술활동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삶에 변화를 불러온 지두 크리슈나무르티가 여러 가지 삶의 문제에 대한 조언을 주제별로 다룬 '크리슈나무르티 테마 에세이' 시리즈 네 번째 책이다. '삶과 죽음', '사랑과 외로움', '관계'에 이어 이번에 다루는 주제는 두려움.
지은이는 두려움이 우리로 하여금 참된 우리 자신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어떻게 방해하는지, 두려움의 정체와 그 근본 원인, 그리고 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방법 등에 대해 깊이 관찰한 사유를 들려준다. 그리고 자신의 두려움을 의식하고 관찰함으로써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라고 조언한다.
출판사 책 소개
무엇이 두려움을 만드는가?
이 책은 <두려움>이 참된 우리 자신을 보지 못하게 어떤 식으로 방해하는지에 대해 크리슈나무르티가 깊이 관찰하고 생각한 것을 발췌해 모아놓은 것이다. 그는 두려움을 의식하고 관찰하라며 그렇지 않으면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을 두려워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면 그대가 하려는 건 무엇인가? 어떤 의향을 갖고 있든, 지금과는 다른 것이 되고자 하는 것이라면 역시 생각이다. 난 욕심이 많은데, 욕심을 부려선 안 된다―역시 생각이다. 생각은 온갖 자질구레한 것들, 교회 안에서 계속되는 온갖 일들을 짜 맞춰 놓았다. 이 텐트처럼, 생각이 꼼꼼하게 생각하도록 만들었다. 언뜻 보기에 생각이 바로 우리 존재의 뿌리인 것 같다. 그래서 우리는 아주 진지한 질문을 하고 있는 것이다. 생각이 이루어놓은 것들, 즉 가장 놀라운 것들인 컴퓨터, 전함, 미사일, 원자폭탄, 외과수술, 내과의학 그리고 또 인간이 달에 가게 만든 일 등을 보면서 말이다. 생각이 바로 두려움의 뿌리이다. 우리가 그걸 알고 있을까? 어떻게 하면 생각을 끝낼까가 아니라, 생각하는 것이 두려움의 뿌리 즉 시간이라는 것을 진정으로 보라. 보는 것, 말이 아니라 정말로 보는 것 말이다.
두려움을 이기는 방법이란?
어제의 고통이나 어제의 쾌락은 어제로 끝내야 한다는 것을 우리도 말로는 알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러지 못하고 오늘이나 내일까지 짊어지고 다니며 힘들어한다. 말로는 다 알고 있는 것을 왜 실행하지 못할까. 손에 들고 있는 공을 땅에 떨어뜨리듯 한순간에 놓아버리면 될 텐데. 우리에게 참으로 필요한 것은 점진적인 변화가 아니라, 한순간에 일어나는 변형이므로. 말처럼 쉽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래서 그의 말대로 다음과 같이 해봐야 하는 것이다.
“두려움에 대해 뭔가를 하려고 하지 말고, 다만 지켜보고 또 지켜볼 것. 그리고 지금 서 있는 그 자리에서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자각할 것.”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