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황병덕 지음 | 늘품(늘품플러스) 펴냄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통일대계연구 남북합의통일 마스터플랜)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6,000원 10% 14,4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두꺼운 책

출간일

2011.2.10

페이지

448쪽

상세 정보

우선 독일의 통일정책과 통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주민들에게 독일통일의 부정적 측면을 불식시키고 독일 평화통일의 장점과 우수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유럽분단 극복을 통해 독일통일로 다가갔던 서독의 신동방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이었지만 양대 진영의 대립을 뚫고 긴장완화를 통하여 평화통일을 이루어낸 독일의 통일정책을 논의한다.

이어서 동서독의 각종 분야의 교류협력을 분석함으로써 동서독의 교류협력이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사회 지향적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동독주민들이 통일독일의 체제를 서독의 사회적 법치국가를 선택하도록 만들고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상세 정보 더보기

추천 게시물

김정현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정현

@nurungji

@eoksooni 유연함의 힘 언제 다 읽으시나요?
3분 전
0
앙탈공주님의 프로필 이미지

앙탈공주

@angtalgongju

  • 앙탈공주님의 여섯명의 거짓말쟁이 대학생 게시물 이미지

여섯명의 거짓말쟁이 대학생

아사쿠라 아키나리 (지은이), 남소현 (옮긴이) 지음
북플라자 펴냄

읽었어요
14분 전
0
도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도리

@gamzadori

  • 도리님의 돌이킬 수 있는 게시물 이미지

돌이킬 수 있는

문목하 지음
아작 펴냄

읽었어요
17분 전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집으로 대여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우선 독일의 통일정책과 통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주민들에게 독일통일의 부정적 측면을 불식시키고 독일 평화통일의 장점과 우수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유럽분단 극복을 통해 독일통일로 다가갔던 서독의 신동방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이었지만 양대 진영의 대립을 뚫고 긴장완화를 통하여 평화통일을 이루어낸 독일의 통일정책을 논의한다.

이어서 동서독의 각종 분야의 교류협력을 분석함으로써 동서독의 교류협력이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사회 지향적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동독주민들이 통일독일의 체제를 서독의 사회적 법치국가를 선택하도록 만들고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출판사 책 소개

본 연구에서는 독일통일 사례 연구를 통하여 한국 국민에 대한 통일편익을 홍보함으로써 통일기대감을 고취시키는 동시에, 북한주민들에게 한국 주도의 한반도 통일의 긍정적 측면을 부각·홍보하는 기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주도의 점진적 합의통일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기본목적으로 삼고 있다.
우선 독일의 통일정책과 통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주민들에게 독일통일의 부정적 측면을 불식시키고 독일 평화통일의 장점과 우수성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유럽분단 극복을 통해 독일통일로 다가갔던 서독의 신동방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이었지만 양대 진영의 대립을 뚫고 긴장완화를 통하여 평화통일을 이루어낸 독일의 통일정책을 논의한다. 이어서 동서독의 각종 분야의 교류협력을 분석함으로써 동서독의 교류협력이 동독주민들의 정체성을 서독사회 지향적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동독주민들이 통일독일의 체제를 서독의 사회적 법치국가를 선택하도록 만들고 평화통일을 이루는 데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서독은 대동독정책의 단기적 목표를 동독주민들의 인권개선에 둠으로써 서독국민들로부터 동독지원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노력을 경주하였다. 특히 한국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논란에 서독의 대동독 인권정책 분석은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베를린 장벽 붕괴 이후 독일통일과정 분석 부분에서는 서독정부가 동독체제 붕괴 후 주변정세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주변국의 개입을 방지하고, 우방국 지지를 확보하는 한편, 주변국들의 우려를 불식시킴으로써 패전국 독일의 평화통일을 주도해 나가는 측면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것이 우리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데 기본 연구목적이 있다.

저자 소개

황병덕(黃炳悳)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김면회(金勉會)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김학성(金學成)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교수
독일 뮌헨대학교 정치학박사(Dr.Phil.)

송태수(宋泰洙)
한국기술교육대학 노동행정연수원 교수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랄프 하베르츠(Ralf Havertz)
계명대학교 KAC 교수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안숙영(安淑英)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SSK 전임연구원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여인곤(余仁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정치학 박사

윤덕룡(尹德龍)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독일 키일대학교 경제학 박사

이무철(李武喆)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연구교수
중앙대학교 정치학 박사

장준호(張埈豪)
경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독일 뮌헨대학교(LMU) 정치학 박사

정상돈
한국국방연구원 연구위원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 박사

정흥모
성균관대 국가경영전략연구소 책임연구원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박사(Dr. rer. pol)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더 많은 글을 보고 싶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