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1.5.1
페이지
32쪽
상세 정보
대한민국 대표 전래동화를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담아내 한국 문화가 낯선 다문화 가정 엄마와 아이들이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본문은 태국어를 함께 편집해서 우리말에 서툰 어머니가 자신의 나라 언어로 이해하며 자녀와 함께 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엄마 나라 말과 함께 전래동화를 읽으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추천 게시물
서영김
@west_0_99
멋있게 좀 살자 우리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Lucy
@lucyuayt
긴자 시호도 문구점 2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구름빵
@cloud_ppang
구의 증명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101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아침독서 챌린지(독서연합 학생동아리)
7월 21일 (월) 오전 12:00 · 무료 · 39 /6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6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게으르지만 책은 읽고 싶엉🥱
무료 · 8 /1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상세정보
대한민국 대표 전래동화를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담아내 한국 문화가 낯선 다문화 가정 엄마와 아이들이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본문은 태국어를 함께 편집해서 우리말에 서툰 어머니가 자신의 나라 언어로 이해하며 자녀와 함께 이야기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엄마 나라 말과 함께 전래동화를 읽으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기회를 마련해 준다.
출판사 책 소개
다문화 가정 자녀들, 어떤 책을 읽을까?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단어가 어색하지 않게 들리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결혼이민이 세계에서도 유례가 없을 만큼 단기간에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현재 전체 결혼의 10%, 농촌지역의 경우 30%가 국제결혼이다. 이들 사이에 태어난 초, 중, 고교 다문화 자녀수가 교육부 집계로 13,445명이라고 한다.
농어촌의 경우 다문화 가정의 비율이 30%를 넘어서 초등학교 현실에 적지 않은 교육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학교생활 중에 겪게 되는 어려움 중 가장 큰 문제는 언어능력 부족으로 인한 학업부진이다. 특히 국어, 사회, 역사와 같은 과목에서 더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 과목들은 한국어와 한국 사회 및 문화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하지만 말을 배우는 시기인 유아기에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 어머니에게 교육받으며 성장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언어 발달이 늦어지고 한국 사회 및 문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엄마와 함께 읽는 『비단쌈지 다문화 가족 전래』시리즈는 다문화 가정의 엄마와 자녀가 언어와 문화 차이로 고민하는 것을 돕고자 기획되었다.
엄마 나라 말이 함께하는 전래동화 읽으며 언어, 문화 이해
엄마와 함께 읽는 『비단쌈지 다문화 가족 전래』시리즈는 우리 역사, 문화, 전통이 담긴 한국의 전래동화를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엄마와 함께 읽으며 언어와 문화를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기획되었다. <흥부와 놀부>, <콩쥐와 팥쥐>, <은혜 갚은 호랑이> 등은 온 국민이 즐겨 읽고, 교과서 예문에도 자주 나오는 전래동화이다. 『비단쌈지 다문화 가족 전래』 시리즈는 대한민국 대표 전래동화를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담아내 한국 문화가 낯선 다문화 가정 엄마와 아이들이 즐길 수 있도록 구성했다.
또 본문에 베트남어, 중국어, 태국어를 함께 편집해서 우리말에 서툰 어머니가 자신의 나라 언어로 이해하며 자녀와 함께 이야기를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엄마 나라 말과 함께 전래동화를 읽으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이해하는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 보자.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