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1998.12.20
페이지
212쪽
상세 정보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가 1516년에 간행한 정치적 공상을 담은 이야기형식의 저서. 라틴어로 쓰여졌으며, 정식의 제명은 `사회의 가장 좋은 정치체제에 관하여, 그리고 유토피아, 새로운 섬에 관한 즐거움 못지않게 유익한 황금의 저서`이다.
가공의 인물 히틀로다에우스가 신세계에서 보고 들은 가공의 여러 나라들, 특히 유토피아(어디에도 없는 장소라는 뜻)에 관해서 모어와 서로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한다.
주로 당시의 유럽사회를 비판한 제1권과, 이상적인 사회 유토피아를 묘사한 제2권으로 되어 있다. 당시의 유럽의 군주들은 자신의 부나 영토를 증대시키는 일에만 전념하며, 군주들에게 땅을 빼앗긴 민중들은 소나 말보다도 더 극심한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국가나 법률도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기 위한 <부자들의 공모>에 의해서 사유물화된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여러 악의 근원으로 화폐경제·사유재산제가 있는데, 이와는 달리 유토피아에서는 시민은 평등하며, 화폐가 존재하지 않고, 재산공유제가 시행되고 있다. 모든 인간이 노동하기 때문에 적은 노동시간으로 충분하며, 여가는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데>에 사용한다.
유쾌한 이야기의 형식을 빌려서 당시의 부패한 그리스도교사회의 개혁과 재생을 정치가·지식인들에게 호소한 이 작품은 진정한 공공성과 정의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그리스도교 인문주의자에 의해 쓰여진 것이다. 이로부터 유토피아는 일반적으로 이상향의 대명사가 되었고, 또 유토피아문학 장르의 창시로서 후대 문학에 영항을 주었다.--한메디지털백과사전
추천 게시물
써니
@sunnylikes

설국
읽었어요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0
0
원준
@wjojo

연인
읽었어요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0
0
그램
@geuraem

진짜 우주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읽었어요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0
0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야금야금 독서단📚
9월 2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67 /제한 없음
필사에 빠지다
무료 · 4 /제한 없음
정모/행사 홍차왕자 챌린지
10월 20일 (월) 오전 12:00 · 무료 · 3 /3명
정모/행사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며
9월 14일 (일) 오전 12:00 · 무료 · 11 /제한 없음
정모/행사 매일매일 1시간의 독서를!
10월 2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4 /제한 없음
정모/행사 다흰 ; 매일 10분
10월 1일 (수) 오전 12:00 · 무료 · 5 /제한 없음
정모/행사 하루 한번 책읽기
10월 11일 (토) 오전 12:00 · 무료 · 7 /제한 없음
정모/행사 무얌이랑 한 쪽 읽기
9월 24일 (수) 오전 12:00 · 무료 · 20 /20명
엇음이랑 읽겟음
무료 · 208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32 /180명
상세정보
영국의 사상가 토머스 모어가 1516년에 간행한 정치적 공상을 담은 이야기형식의 저서. 라틴어로 쓰여졌으며, 정식의 제명은 `사회의 가장 좋은 정치체제에 관하여, 그리고 유토피아, 새로운 섬에 관한 즐거움 못지않게 유익한 황금의 저서`이다.
가공의 인물 히틀로다에우스가 신세계에서 보고 들은 가공의 여러 나라들, 특히 유토피아(어디에도 없는 장소라는 뜻)에 관해서 모어와 서로 이야기하는 형식을 취한다.
주로 당시의 유럽사회를 비판한 제1권과, 이상적인 사회 유토피아를 묘사한 제2권으로 되어 있다. 당시의 유럽의 군주들은 자신의 부나 영토를 증대시키는 일에만 전념하며, 군주들에게 땅을 빼앗긴 민중들은 소나 말보다도 더 극심한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었다.
국가나 법률도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기 위한 <부자들의 공모>에 의해서 사유물화된 것에 불과하다. 이러한 여러 악의 근원으로 화폐경제·사유재산제가 있는데, 이와는 달리 유토피아에서는 시민은 평등하며, 화폐가 존재하지 않고, 재산공유제가 시행되고 있다. 모든 인간이 노동하기 때문에 적은 노동시간으로 충분하며, 여가는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데>에 사용한다.
유쾌한 이야기의 형식을 빌려서 당시의 부패한 그리스도교사회의 개혁과 재생을 정치가·지식인들에게 호소한 이 작품은 진정한 공공성과 정의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그리스도교 인문주의자에 의해 쓰여진 것이다. 이로부터 유토피아는 일반적으로 이상향의 대명사가 되었고, 또 유토피아문학 장르의 창시로서 후대 문학에 영항을 주었다.--한메디지털백과사전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