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07.2.10
페이지
255쪽
상세 정보
'마키아벨리'라는 이름은 목적을 위해서 비열하게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정치가의 대명사로 사용되기도 하며, 또 이러한 정치적 행태는 '마키아벨리즘'이라는 부정적인 표현으로 규정되기도 한다. 이것은 마키아벨리의 대표작 <군주론>에서 기인한다. 군주란 불가피한 경우 권모술수와 악행을 적절히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권고하는 등 도덕적 기준에 반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이 역설적으로 <군주론>을 현실주의 정치사상을 개척한 고전의 반열에 올려놓고 있다. 이 책은 철저히 현실에 입각한 관계의 전형을 보여주며, 권력을 둘러싼 투쟁의 속성을 꿰뚫고 있고, 여기에 개입하는 인간들의 본성을 냉철히 분석해낸다.
<군주론>은 피렌체의 군주였던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헌정된 책이다. 총 26개의 장으로 구성된 책은 군주가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조언하고 있다. 마키아벨리의 시대로부터 5백여 년이 흘렀지만 그의 눈은 오늘날에도 숱한 국제분쟁, 정치적 암투를 비롯하여 우리의 주변에서 흔히 목격할 수 있는 인간사의 본질을 간파하고 있다.
이번 제3판에서는 마키아벨리 연구의 대가 앨런 H. 길버트의 해제를 수록했다. 해제에서 길버트는, 공화주의자였지만 이탈리아의 중흥을 위해 차선책으로 군주정을 옹호하게 되었던 마키아벨리의 속사정, 정치가이자 뛰어난 작가였던 마키아벨리의 인간성, 당시 이탈리아를 둘러싼 국제정세, 그리고 마키아벨리의 생애를 담담한 필치로 서술하고 있다.
추천 게시물
33
@onna
아주 오래된 농담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33
@onna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33
@onna
오늘 밤은 굶고 자야지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주말 독서 챌린지
5월 12일 (월) 오전 12:00 · 무료 · 6 /7명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5 /제한 없음
ㅁㅅㅎ 독서토론
무료 · 4 /4명
📚 독서 연습실
무료 · 1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6 /7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책책~폭폭~
무료 · 2 /2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상세정보
'마키아벨리'라는 이름은 목적을 위해서 비열하게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정치가의 대명사로 사용되기도 하며, 또 이러한 정치적 행태는 '마키아벨리즘'이라는 부정적인 표현으로 규정되기도 한다. 이것은 마키아벨리의 대표작 <군주론>에서 기인한다. 군주란 불가피한 경우 권모술수와 악행을 적절히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권고하는 등 도덕적 기준에 반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이 역설적으로 <군주론>을 현실주의 정치사상을 개척한 고전의 반열에 올려놓고 있다. 이 책은 철저히 현실에 입각한 관계의 전형을 보여주며, 권력을 둘러싼 투쟁의 속성을 꿰뚫고 있고, 여기에 개입하는 인간들의 본성을 냉철히 분석해낸다.
<군주론>은 피렌체의 군주였던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헌정된 책이다. 총 26개의 장으로 구성된 책은 군주가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 조언하고 있다. 마키아벨리의 시대로부터 5백여 년이 흘렀지만 그의 눈은 오늘날에도 숱한 국제분쟁, 정치적 암투를 비롯하여 우리의 주변에서 흔히 목격할 수 있는 인간사의 본질을 간파하고 있다.
이번 제3판에서는 마키아벨리 연구의 대가 앨런 H. 길버트의 해제를 수록했다. 해제에서 길버트는, 공화주의자였지만 이탈리아의 중흥을 위해 차선책으로 군주정을 옹호하게 되었던 마키아벨리의 속사정, 정치가이자 뛰어난 작가였던 마키아벨리의 인간성, 당시 이탈리아를 둘러싼 국제정세, 그리고 마키아벨리의 생애를 담담한 필치로 서술하고 있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