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10.9.15
페이지
183쪽
상세 정보
'지만지고전선집' 616권. 윌리엄 블레이크는 시에 삽화를 그려 넣어 특별한 작품을 만들어 냈던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미술성이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다. 1793년까지의 짧은 시 전체와 장시 세 편을 실었다. 단순한 시어를 통해 민중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영국 현실의 모순을 폭로하고 비판한다.
추천 게시물
다화
@dahwak7jt
타인을 읽는 말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
@syj9v1v3pmdc
이처럼 사소한 것들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책읽는엄마곰
@k_jin
오즈의 마법사
1명이 좋아해요
이런 모임은 어때요?
정모/행사 [100일] 플라이북 리딩 챌린지 📚
5월 19일 (월) 오전 12:00 · 무료 · 94 /제한 없음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5)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8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3)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4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4)
5월 20일 (화)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2)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6)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29 /180명
.
무료 · 1 /1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1-1)
5월 22일 (목) 오전 12:00 · 무료 · 30 /180명
정모/행사 안용 아침독서 챌린지(교직원용)
7월 1일 (화) 오전 12:00 · 무료 · 13 /70명
2025년 상반기 독서 챌린지(경기도청 북부청사)
무료 · 95 /제한 없음
상세정보
'지만지고전선집' 616권. 윌리엄 블레이크는 시에 삽화를 그려 넣어 특별한 작품을 만들어 냈던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미술성이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다. 1793년까지의 짧은 시 전체와 장시 세 편을 실었다. 단순한 시어를 통해 민중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영국 현실의 모순을 폭로하고 비판한다.
출판사 책 소개
윌리엄 블레이크는 시에 삽화를 그려 넣어 특별한 작품을 만들어 냈던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미술성이 뛰어난 시인이기도 했다. 1793년까지의 짧은 시 전체와 장시 세 편을 실었다. 단순한 시어를 통해 민중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영국 현실의 모순을 폭로하고 비판한다. 신과 인간과 자연을 새롭게 인식해야한다는 블레이크 시의 주장은 여전히 현실성을 지니고 있다.
블레이크 시의 탄생 지점
그가 시를 쓰고 동판화를 제작한 1780년대 이후는 1789년에 발발한 프랑스혁명으로 영국 및 유럽의 경우 격동의 시기였다. 18세기 초엽에 영국으로부터 일어난 산업혁명은 일반 민중들의 삶을 그 근간에서부터 바꾸어 놓고 있었다. 산업혁명이란 사실 중세의 종언을 불러온 자본주의가 가속적으로 발전해 가는 과정이었다. 이런 변화는 영국을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로 만들어 주긴 했지만, 다수 민중들의 삶을 더욱 곤궁하게 만들었다.
현실 모순의 대응 방식
그의 시는 런던의 시민들, 나아가 영국의 민중들을 불행하게 만드는 현실의 모순을 낱낱이 폭로하고, 그 원인을 드러낸다. 당시 영국 민중들의 삶을 불행의 나락으로 밀어 넣은 것은 민중들의 개혁 열망과 생활의 곤궁함을 무시하는 왕과 귀족들의 폭정이었으며, 새로이 부상한 자본가 계급의 탐욕이었다. 또한 이러한 현실의 모순을 수수방관하거나, 그 현실을 재생산하는 데 기여하는 성직자들의 무능과 무책임이었다. 현실의 역사를 주도하는 지배자들은 폭정과 전쟁을 일삼았고, 성직에 종사하는 이들은 신의 진정한 가르침이 무엇인지 고민하지 않았다.
우선 그는 시에서 사람들의 인식 구조를 바꾸어 만물을 새로운 모습으로 보도록 교육하고자 한다. 현실의 온갖 모순들은 블레이크가 보기에, 기본적으로 신과 인간과 자연을 대하는 사람들의 그릇된 태도에서 기인하기 때문이다.
블레이크가 ≪순수의 노래≫의 작품들에 경험의 노래들을 더해 합본 ≪순수와 경험의 노래≫(1794)를 준비했던 1790년대 초반은 영국의 정치적, 사회적 분위기가 보수화의 일로를 걷고 있을 시기다. 한편 자본주의의 발전과 산업혁명의 진전은 빈부의 격차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런 현실의 모순을 목도한 블레이크의 경험의 노래들과 일부 예언 시들은 더욱 직접적으로 인간의 왜곡된 가치 체계와 관련한 현실을 비판하게 된다.
또한 1790년대 중반을 지나가며 그의 시는 신화적 측면을 강하게 드러내는데, 그의 장시들이 주로 구상되고 쓰이기도 하는 1790년대 후반쯤에는 블레이크의 개인적 신화 체계가 거의 완성된다.
블레이크 시의 신화 체계는 한편으로 유럽의 실제 역사 너머에 있는 인류 역사의 또 다른 가능한 모습에 대해 교육하기도 하며, 때로는 당시의 왜곡된 사회 현실을 직접적으로 비판하기도 하고, 또 동시에 과거의 오류로부터 벗어나 신성한 세계의 건설에 동참하지 않는 당대의 지배자들에 대한 예언적 심판을 행할 수 있게 해 주는 시적 장치로 기능하는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